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앙부처 조직개편의 정합성에 관한 연구: 실국과(室局課) 수준에서 ‘디커플링 현상’을 중심으로

        이윤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subordinate organizations (offices, bureaus, and divisions) in the proces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reorganization since democratization. The analysis found several results. First, the exchange of sub-organization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existing ministries was very limited in the proces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reorganization, and the phenomenon of decoupling was broa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ub-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eorganization. Third, time (policy la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hanges in sub-organizational exchanges beyond the boundaries of existing ministries.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about the normative judgmen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utilization,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areful progress of reorganization in essential areas where both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urposes are considered. 이 연구의 목적은 민주화 이후 정권마다 관례화되고 있는 부처급 중앙행정기관의 조직개편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위조직(실국과) 변화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다. 개편과정에서 개편목적이 ‘실국과’ 수준까지 반영되어 기존 부처의 경계를 뛰어넘는 교류가 활발하게 나타나는지, 또는 조직개편과는 별개로 개편 후속 작업에 대한 혼란을 최소화하는 ‘조직 내부 합리성’을 추구하는 ‘디커플링 현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개편 과정에서 기존 부처 경계를 뛰어넘는 교류는 아주 제한적으로 나타나며, ‘조직 내부 합리성’을 추구하는 ‘디커플링 현상’이 폭넓게 나타났다. 둘째, 조직개편 유형에 따라 하위조직(실국과) 수준에서 다른 모습이 나타났다. 특히, ’흡수통합’ 유형에서 기존 부처 경계를 뛰어넘는 교류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셋째, 시간(정책 시차)은 기존 부처의 경계를 뛰어넘는 교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미래의 조직개편 가능성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축소지향 개편 시 향후 기존 조직규모를 최대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 내부 합리성’을 추구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규범적 판단은 신중할 필요가 있으며, ‘대통령 5년 단임제’라는 행정환경을 고려했을 때 향후 조직개편이 필수영역에서 더욱 신중하게 진행되는데 이 연구가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 KCI등재

        X.509 대리 인증서 환경에서 위임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ID 기반 암호 시스템 기반 권한 위임 프로토콜

        이윤호,김병호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9

        Currently, the X.509 proxy certificate is widely used to delegate an entity's right to another entity in the computational grid environment. However it has two drawbacks: the potential security threat caused by intraceability of a delegation chain and the inefficiency caused by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right grantor and the right grantee on the delegation protocol. To address these problems for computational grids, we propose a new delegation protocol without additional cost. We use an ID-based key generation technique to generate a proxy private key which is a means to exercise the delegated signing right. By applying the ID-based key generation technique, the proposed protocol has the delegation traceability and the non-interactive delegation property. Since the right delegation occurs massively in the computational grid environment, our protocol can contribute the security enhancement by providing the delegation traceability and the efficiency enhancement by reducing the inter-domain communication cost. 계산적 그리드 환경에서 개체간 권한 위임 및 Single Sign-on 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X.509 대리 인증서 표준은 추적 불가능성으로 인한 잠재적인 보안 위협 및 권한 위임자와 권한 대리자간의 다수의 대화식 (Interactive) 통신으로 야기 되는 비효율성에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기존의 X.509 대리 인증서 표준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권한 위임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ID 기반 서명 알고리즘 및 키 생성 방법을 권한 위임 과정에 적용시켜 권한 대리키로 사용한다. 이러한 결과 권한 대리자와 권한 위임자간의 통신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본 제안 프로토콜을 계산적 그리드 환경에 적용시키면, 연속된 위임 과정으로 생성되는 대리 인증서 사슬의 참여자를 알 수 있음으로써 생기는 보안성 향상 뿐만 아니라 광대역 네트워크상에서 진행되는 위임 과정의 통신량 및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계산적 그리드 환경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후이개 공여부의 다양한 이식편을 이용한 미용수술

        이윤호,정재훈 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 2008 Archives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Vol.14 No.1

        Harvesting grafts at another area in facial surgery would be complicating and troublesome. Moreover the additional scar would be remarkable. So authors have harvested grafts from the postauricular area. Between March of 2004 and January of 2008, we had harvested grafts from the postauricular area in 132 patients. We incised along the postauricular hair line. We made deep incision until we found adequate tissues. Then we dissected to the side as much as the right size. After harvesting, we closed the wound and made an aseptic compressive dressing. We compared pre-operative states to post-operative results with medical photos and made a survey of the patient's degree of satisfaction. We obtained various grafts such as the skin, hair, dermis, dermofat, fascia, fasciofat and bone from the postauricular area. We could use these in the eyelid, nose, chin, scar and anywhere. The fat graft was useful in the thin area such as eyelid. We got good results by using dermofat graft in nasal dorsum and fasciofat graft in nasal tip area. The scar was not seen in the frontal view and camouflaged by the hair easily. By harvesting grafts from the postauricular area, we can get various grafts in the same operative field and this procedure is very simple. Moreover the scar is not seen easily. Therefore this method is not only the good choice but also the best choice of the graft donor site.

      • KCI등재후보

        안면부 파라핀 종양의 부분제거 후 진피지방이식 및 얼굴당김술을 이용한 동시 재건술

        이윤호,이상우 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 2006 Archives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Vol.12 No.1

        Paraffin injection for aesthetic purpose by unauthorized people has many problem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s the paraffinoma. Because of problems after paraffinoma removal, such as flap necrosis and facial nerve injury, the treatment of the choice is only partial removal. But there can be some depression and sagging of the cheek left after paraffinoma removal. So we have treated 8 patients who have suffered from paraffinoma in forehead and cheek by partial removal of paraffinoma and correction of the depression and the sagging of the cheek with dermofat graft and face lift. Through the extended preauricular incision, after skin flap elevation we removed paraffinoma as much as possible. Dermofat graft from the gluteal area was performed at paraffinoma removed site. And we prevented the sagging of the cheek skin by the suspension pull through suture. The follow up period was from 2 to 26 months(mean, 12 months). All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duction of the paraffinoma and they did not complain any deformity. One patient had flap necrosis on nasal dorsum and postauricular area, but they healed with dressing only in two weeks. We concluded that one-stage reconstruction with dermofat graft and face lift after partial removal of paraffinoma is reliable method in treating of paraffinoma in forehead and cheek.

      • 영지식 상호 증명 방식에 의한 암호키 분배 방식

        李潤浩,元東豪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2 論文集 Vol.43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zero-knowledge key distribution scheme using zero-knowledge interactive prrof(ZKIP) system. The scheme performs identification using ZKIPs known to be secure and show two end users can generate session key without additional transmission. And the scheme can reduce the degree of dependency on key distribution center(KDC) using additional identification scheme which uses secret key that is generated by us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