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여부에 따른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의 실효성
이윤아(Yoona Lee),연강흠(Kang Heum Yon),김한나(Hanna Kim) 한국증권학회 2017 한국증권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내역을 공시한 유가증권시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여부에 따라 기관투자자의 안건 반대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투자자의 안건 반대율이 높을수록 타깃 기업의 내부지배구조인 이사회의 실질적인 독립성이 개선되는 유인효과가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특히 경영진제안 안건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사내이사와 사외이사 즉, 이사회 구성원의 선임관련 안건에 대한 반대율이 높을수록 이러한 개선효과가 더 강하게 관측되었다. 둘째,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가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효과는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이 수반되는 경우에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당기보다 차기의 기업가치에 보다 강한 유의성을 보였다. 셋째, 경영자지분율과 기업가치 간 비선형적 U자형 2차 곡선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변곡점을 기준으로 그룹을 분리하여 구간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영자안주 효과가 지배하는 경영자지분율의 하위구간에서만 기관투자자의 안건 반대율과 이사회 독립성 개선여부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관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행동이 타깃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시키고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유인을 통제하는 직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기관투자자가 수탁자로서의 책임과 주주 일원으로서의 권리 행사를 충실히 이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shareholder activism of institutional investors and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affect firm value in KOSPI from 2005 to 2014. We measure shareholders activism in `vote no` ratio and us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to independent outside board of directors. We find that the higher opposite ratio of institutional investors` voting right, the better improving the independence of board of directors. In addition, the improving effect of firm value by opposite voting from institutional investors is more significant in case of being better independence of board of directors. Also,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no` voting ratio and improvement of board of directors` independence is observed significance in the bottom section that is satisfied with managerial entrenchment hypothesis. As a result, active shareholder behaviors of institutional investors improve the governance of target firm and control the optimistic managers. So, we suggest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carry out their duties faithfully.
배당 관련 적극적 주주권 행사가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이윤아 ( Yoona Lee ),김태동 ( Tae-dong Kim ),배창현 ( Chang-hyun Bae ) 한국회계학회 2021 회계학연구 Vol.46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shareholder activities regarding dividend policy on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First, using a sample of Korean firms that are targeted by dividend-related “vote no” activities and shareholder engagement, we find that shareholder activitie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al earnings management. In addition, if low-dividend targeted firms try to increase the level of payout, manager’s incentive to manage earnings upward is lower. Second, we analy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dend-related shareholder activities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depends on targeted firms’ financial status. The evidence shows that when firms with higher free cash flow, the negative effect of dividend -related shareholder activities on earnings management is more pronounced. However, for firms with the lack of capacity to pay dividends, the dividend pressures motivate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dividend cuts. Third, we also find that dividend-related shareholder activities incrementally decrease earnings management for targeted firms with strong corporate governance. Lastly, this study is conducted using the unique data set of proxy voting decisions by domestic institutional investors, including three major pension funds and all private institutional investors. Overall, our findings contribute to shareholder activism literature by examining the effect of various type of shareholder activit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생각모아: 중학교 여성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AI 생각 기록 일기 앱 서비스
이윤아(YoonA Lee),김진영(JinYoung Kim),서가은(GaEun Seo),이정연(JeongYeon Lee),박수이(SuE Park),최종인(JongIn Cho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4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4 No.11
최근 10대 우울증과 불안장애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개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중학교 여성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 인지행동치료(CBT) 기반 앱 서비스 ‘생각모아’를 제안한다. 생각모아는 사용자가 하루 동안의 상황, 사고, 감정을 기록하고, 이러한 사고를 분석하여 인지적 오류와 대안적 사고를 제공함으로써 자기 성찰을 돕는다. DTR과 인지적 오류 이론을 검토해 서비스의 페르소나, 가치, 기능, 컨셉, 유저 시나리오를 도출하였으며, 프로토타입을 중학생 사용자 대상으로 테스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CBT 기반 서비스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고, AI를 활용한 인지 재구성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ases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among adolescents, highlighting the growing need for interventions targeting negative emotions. In response, we propose an AI-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pp service called 'Collecting Thoughts' to support the emotional stabilit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app allows users to record their daily situations, thoughts, and feelings, and analyzes these inputs to provide insights into cognitive errors and alternative perspectives, thereby facilitating self-reflection. The study reviews the Dysfunctional Thought Record (DTR) and theories of cognitive errors to derive the app's persona, value, feature list, concept, and user scenarios, and a prototype was test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CBT-based services tailor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distinguishes itself through the use of AI in the cognitive restructuring process.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 및 교육공동체 인식 비교 연구: 유아 부모와 초등 부모를 대상으로
이윤아(Lee, YoonA),박희경(Park, HeeKyung):정계숙(Chung, KaiSook),박수홍(Park, Su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는 유아 자녀를 둔 부모와 초등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공동체로서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에 대한 인식, 부모교육 참여정도, 기관만족도를 살펴 보고자 한 것으로, B시와 K지역의 유아 자녀를 둔 부모와 초등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설문지는 유아 부모 대상이 총 544부, 초등 부모 대상이 총 422부이며,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 부모는 부모의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 교육공동체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월수입에 따라 부모교육 참여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초등 부모는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서 교육공동체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육공동체 인식과 기관만족도는 유아 부모가 초등 부모보다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교육 참여정도는 유아 부모보다 초등 부모가 더 높았다. 넷째, 유아 부모는 교육공동체 인식과 부모교육 참여정도, 기관만족도 사이에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초등 부모는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공 동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between early childhoods’s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It conducted surveys targeting early childhood’s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in B city and K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find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nd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ccording to their monthly income, which figures are from early childhood’s parents. Second, it shows meaningful figur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ird, early childhood’s parents have higher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Forth, it shows correlations which are the higher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higher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were also discussed.
김효정(Kim, HyoJeong),이윤아(Lee, YoonA),배진호(Bai, JinHo),박수홍(Park, Su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에서는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방법으로 조직개발기법을 활용한 학교공 동체 컨설팅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기반으로 박사급 연구자 4인의 구성원검토를 실시하여 모형의 초안을 제시하였으며, 초안은 전문가 검토를 거처 수정하고 내용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교공동체 컨설팅 모형은 학교공동체로의 학교변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컨설팅 모형의 초안에는 Lewin의 조직변화 3단계 과정과 Rogers의 혁신 확산 그래프에 따른 세부 과정과 각 단계별 대상과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통한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렇게 제안한 모형의 최종안에는 학교체제의 변화 모색기, 학교체제 변화 확산기, 새로운 학교체제 정착기로 단계명이 변경되었으며, 컨설턴트와 컨설티가 각 단계에서 해야할 구체적 역할과 실제적 도구를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학교공동체를 지향하는 컨설팅모형으로 각 단계마다 구체화된 컨설턴트와 컨설티의 활동과 지원 도구를 포함한 모형을 제안하고 있어 현장의 활용가능성이 높다. 또한 기존의 학교컨설팅 모형의 비판적 논의와 재구성 사례로 의미를 지닌다. It offers a school community consulting with organization development tool as a method to form a school community. To achieve this purpose, offer a draft which four doctoral members check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Second, examine by experts and modify the model. Then, assess the model through expert verification and reflect feedback. Finally, offer the final draft detailed consulting activities and supporting elements are included in this research based on Lewin’s three process in organization change and Rogers’s innovation diffusion graph. Core activity process is comprised of three phases. Each phase’s supporting elements are relevant information, main activities and tools. The school community consulting model aims developing consultee s competency to manage issues and detailed consulting activities and supporting feasible elements are included in this research, so that it is practical in the aspect that it has high applicability in school field. So, this research suggests a school consulting model which aims school community so that it can be a turning point for the research of applicability i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