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 맥락이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책읽기와 놀이를 중심으로

        이다예(Da Ye Lee),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책읽기와 놀이 상황에 따라 영아들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는 12-18개월, 19-24개월, 25-30개월의 세 연령집단의 영아가 각각 10명씩, 총 30명이 참가하였다. 각 영아를 대상으로 책 보기와 놀이 조건에서 상호작용 행동을 10분씩 분석하였다. Lee와 Lee (2016)의 기준과 정의를 따라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와 기능별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상호작용 조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의사소통기능 빈도는 연령 및 조건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즉, 책읽기에서는 동시주의 기능이, 놀이에서는 행동통제 기능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두드러졌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영아의 의사소통행동이 상호작용 맥락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의사소통행동 평가 및 중재 시 상호작용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al context on the intentional communication acts of toddlers. Methods: A total of 30 toddlers aged 12-30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12-18 months, 19-24 months, and 25-30 months. The behavior samples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in both free play and book reading contexts; and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acts was measur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act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ve functions. Results: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act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the interactional context.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act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ve function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interactional context. The frequency of behavior reg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free play than book reading. On the other hand, joint atten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book reading than in the context of free pla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the interactional context increased depending on ag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us to understand that the intentional communication acts of toddlers have been affected by interactional contexts. Interactional contexts have to be considered for assessing the communicative acts of the toddlers.

      • 디스플레이 응용을 위한 능동 제어형 전계 에미터 어레이의 회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이윤경,송윤호,유형준,Lee, Yun-Gyeong,Song, Yun-Ho,Yu, Hyeong-Jun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8 No.2

        능동제어형 전계방출 디스플레이의 전자공급원으로서 능동제어형 전계 에미터 어레이의 회로모델이 제안되었다. 능동제어형 전계 에미터 어레이는 전계방출을 안정화시키고 저전력구동을 위한 수소화 된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와 Spindt형 Mo 전계 에미터 어레이로 구성되었고 같은 유리기판 위에 제작되었다. 비정질 박막 트랜지스터와 Spindt형 Mo 전계 에미터 어레이의 전기적 특성으로부터 추출된 기본 모델 변수는 제안된 능동제어형 전계 에미터 어레이 회로모델에 입력되었고 SPICE 회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측정값과 DC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두 값이 상당히 일치함으로써 등가회로 모델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작된 소자의 transient 시뮬레이션 결과 전계 에미터 어레이의 게이트 커패시턴스와 TFT의 구동능력이 반응시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능동제어형 전계방출 에미터 어레이는 pulse width modulation으로 구동하는 경우 15㎲의 반응시간을 얻었고 이 값으로는 4bit/color의 계조(gray scale)표현이 가능하였다. A circuit model for active-controlled field emitter array(ACFEA) as an electron source of active-controlled field emission display(ACFED) has been proposed. The ACFEA with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thin-film transistor(a-Si:H TFT) and Spindt-type molibdenum tips (Spindt-Mo FEA) has been fabricated monolithically on the same glass. A-Si:H TFT is used as a control device of field emitters, resulting in stabilizing emission current and lowering driving voltage. The basic model parameters extracted from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ated a-Si:H TFT and Spindt-Mo FEA were implemented into the ACFEA model with a circuit simulator SPICE. The accuracy of the equivalent circuit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simulated results with the measured one through DC analysis of the ACFEA. The transient analysis of the ACFEA showed that the gate capacitance of FEA along with the drivability of TFT strongly affected the response time. With the fabricated ACFEA, we obtained a response time of 15$mutextrm{s}$, which was enough to make 4bit/color gray scale with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 홈네트워크 보안 표준화 동향

        이윤경,한종욱,정교일,Lee, Y.K.,Han, J.W.,Chung, K.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2 No.1

        홈네트워크는 이종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프로토콜이 합해져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때문에 많은 보안 헛점이 존재할 수 있다. 설사 유무선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들 각각에 대한 보안이 고려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들의 혼재로 인한 새로운 취약점이 생길 수 있고,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취약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에서의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국내외에서 다양한 표준이 제정되고 있고, 또한 많은 표준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홈네트워크 보안에 관한 국내외 표준화 진행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고, 각 표준 및 표준안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시간-주파수 스무딩이 적용된 소프트 마스크 필터를 이용한 단일 채널 음성 분리

        이윤경,권오욱,Lee, Yun-Kyung,Kwon, Oh-Wook 대한음성학회 2008 말소리 Vol.67 No.-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single-channel speech separation to extract the speech signal uttered by the speaker of interest from a mixture of speech signals. We propose to apply time-frequency smoothing to the existing statistical single-channel speech separation algorithms: The soft mask and the minimum-mean-square-error (MMSE) algorithms. In the proposed method, we use the two smoothing later. One is the uniform mask filter whose filter length is uniform at the time-Sequency domain, and the other is the met-scale filter whose filter length is met-scaled at the time domain. In our speech separation experiments, the uniform mask filter improves speaker-to-interference ratio (SIR) by 2.1dB and 1dB for the soft mask algorithm and the MMSE algorithm, respectively, whereas the mel-scale filter achieves 1.1dB and 0.8dB for the same algorithms.

      • 익명 인증 기술과 동향

        이윤경,한승완,이석준,정병호,양대헌,권태경,Lee, Yun-Gyeong,Han, Seung-Wan,Lee, Seok-Jun,Jeong, Byeong-Ho,Yang, Dae-Heon,Gwon, Tae-Gyeo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4

        인터넷 이용이 활성화 되면서 각종 웹 서버에서의 개인정보 과다 수집 및 노출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인터넷이 우리 생활에 주는 편리함을 그대로 누리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익명 인증 기술이 있을 수 있다. 익명 인증은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서명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다.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서명 방법은 전자화폐와 전자투표 시스템 등의 응용을 위해서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익명 인증 방법의 하나로써 연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익명성을 제공하는 전자서명 방법에 관하여 소개하고, 이들 전자서명 방법 중 익명 인증을 위해서 가장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그룹 서명 방법의 최근 연구동향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AMP kinase/cyclooxygenase-2 pathway regulates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cancer cells treated with quercetin

        이윤경,박송이,Young-Min Kim,Won Sup Lee,Ock Jin Park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09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1 No.3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s highly conserved in eukaryotes, where it functions primarily as a sensor of cellular energy status.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AMPK activation strongly suppresses cell proliferation in non-malignant cells as well as in tumor cells. In this study, quercetin activated AMPK in MCF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HT-29 colon cancer cells, and this activation of AMPK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to a decrease in COX-2 expression. The application of a COX-2 inhibitor or cox-2-/- cells supported the idea that AMPK is an upstream signal of COX-2, and is required for the anti-proliferatory and pro-apoptotic effects of quercetin. The suppressive or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on COX-2 were abolished by treating cancer cells with an AMPK inhibitor Compound 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PK is crucial to the anti-cancer effect of quercetin and that the AMPK-COX-2 signaling pathway is important in quercetin- mediated cancer control.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s highly conserved in eukaryotes, where it functions primarily as a sensor of cellular energy status.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AMPK activation strongly suppresses cell proliferation in non-malignant cells as well as in tumor cells. In this study, quercetin activated AMPK in MCF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HT-29 colon cancer cells, and this activation of AMPK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to a decrease in COX-2 expression. The application of a COX-2 inhibitor or cox-2-/- cells supported the idea that AMPK is an upstream signal of COX-2, and is required for the anti-proliferatory and pro-apoptotic effects of quercetin. The suppressive or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on COX-2 were abolished by treating cancer cells with an AMPK inhibitor Compound 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PK is crucial to the anti-cancer effect of quercetin and that the AMPK-COX-2 signaling pathway is important in quercetin- mediated cancer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