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의 현황과 발전과제

        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우리 나라 특수교육의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향후 우리 나라 특수교육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권위 있는 국제기구인 UN 및 UNESCO가 추진하고 있는 장애아동 교육관련 정책과 미국, 영국, 스웨덴 및 덴마크 등 특수교육 주요 선진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특수교육 정책과 실제를 고찰하고 그것이 우리 나라 특수교육 정책추진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우리 나라 특수교육 현황과 주요 당면문제 및 과제를 정책적 및 실천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들의 특수교육 동향 탐색과 우리 나라 특수교육 현황 분석을 통하여 향후 우리 나라 특수교육 정책추진을 위한 대응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policy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r this purpose, we inquired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derived by authoritativ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UN and UNESCO, and the special education practices of some advanced countries like USA, Britain, Sweden, and Denmark. And we discussed about what they suggest to our country. Next, we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field of our country, and from that analysis, we extracted the urgent problems and tasks of our special education field. As the result of these inquiries and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rete counter-plan for special education of Korea.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패러다임의 이동과 대응방안

        이유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imitations and problems according to paradigm shift from traditional segregated education to inclusive education at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s follows:First, limitations and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revealed to regard disabilities as individual problems rather than social problems, the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only psychology and biology, objective research attitude, physical state of inclusive education, and behavioral education based on functionalism. Second, countermeasures according paradigm shift in special education is to reorganize the special education on paradigmatic viewpoint, to establish the special education in multi-paradigmatic and multidisciplinary way, to approach in assimilative way in special education and dissimilative way in regular education, to secure an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inclusive education, to try for self-criticism of professional groups, to inquire exact features of special class, to set up and manage model school for inclusive education, and to renovate the special education based on research and evidence.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이 전통적인 분리교육 패러다임에서 통합교육 패러다임으로 패러다임 이동에 따른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 특수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은 장애를 사회적 문제보다 개인적 문제로 파악하고 특수교육적 요구보다 장애를 더 우선하는 장애 인식, 심리학과 생물학에만 기초를 둔 특수교육의 지식, 객관주의적 연구태도, 물리적 수준의 통합교육, 기능주의에 입각한 행동주의 교육 위주라는 점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응방안은 특수교육의 비판과 개혁, 다중 패러다임적이고 다학문적인 특수교육학의 정립, 교육의 공동성 실현을 위한 특수교육의 동화와 일반교육의 이화적 접근, 통합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 따른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보, 특수교육 혁신을 위한 전문가 집단의 자기비판, 특수학급에 대한 분명한 성격 규정, 통합교육을 위한 모델학교의 설치·운영, 연구중심과 증거중심의 특수교육 개혁인 것으로 나타났다.

      •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 Ⅱ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는 우리 나라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지원 및 정책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정 특수학급 1개 학급,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시각, 청각,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5개 학교, 총 6개 학교(급)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활동은 사전활동, 본 조사활동, 사후활동으로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는데, 사전활동은 인터넷 혹은 각종 자료를 통해 해당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며, 사후활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진 조사내용을 보충 및 보완하고, 조사결과를 숙의하기 위한 정보공유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특히,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과정에서는 연구자가 연구대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를 구성 하고 있는 학교장, 교감,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인적 구성원들과 학교를 배경으로 한 내·외적 교육환경,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심층적이면서도 다면적인 조사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와 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주된 수단으로 하는 질적 분석방법의 적용은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실제에서 일반화될 수 있는 것은 아주 제한되어 있다는 점과 교육실제의 의미구조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교육실제가 전체적인 맥락속에서 조망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적절하고도 유용한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일련의 수행과정과 사전활동,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그리고 사후활동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은 교육적 차원과 복지적 차원이 병행되는 교육 서비스 제공기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총체적인 질 관리차원의 학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생현황 관리, 교육 요구사항 파악, 적절한 교육배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기존의 지역단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특수학급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특수학급 운영모델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교육여건 등이 다양한 것이 특징 이지만, 참조할 수 있는 기준적 인 특수학급 운영모델을 개발 · 보급하여 특수학급에 정착시키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갖은 틀 속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적 재량이 발휘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현재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의 장애가 중도·중복화 되는 경향이 해를 거듭 할 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및 지원대책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교육의 이념추구와 그에 따른 특수교육 정책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에 특수학교에 다수 배치되어 있던 경도 및 중등도 장애학생들이 특수학급으로 이동하면서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는 점차 중도·중복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는 이들 중도·중복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운영체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중도 및 중복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지원대책으로써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전담교사의 배치 및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조속히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의 중도 및 중복화 경향에 따라 치료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치료교육활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 실천에 있어서도 선택적 치료교육을 강조함으로써 치료교육이 학생이 갖고 있는 장애에 맞게 개별화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특수학교의 경우 치료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수가 부족하고, 치료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형편이어서 적절한 치료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강구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치료교육이 교실수업 자체에서 실천되도록 하는 노력이 단위학교에서 권고되어야 한다. 다섯째, 특수학교는 직업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인력 및 공간, 지원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특수학교 교육의 실제적 목표는 장애학생의 신변자립 및 사회적 자립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에 대한 지원이 현실적 수준에서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특수학교는 학생들의 장애정도가 이전보다 훨씬 중증화되고 있고, 심지어는 사물의 인지조차 어려운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이 지적능력을 가진 일부 학생들만의 교육으로 전략하여서는 안되며, 그 대상폭을 확대하여야 한다. 교과교육이 아닌 직업교육에서조차 소외되는 학생들이 없도록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또한 직업교육과 관련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장애학생들의 직업적 요구가 다양한데 비해 특수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학교간에 차별화되지 않은 채, 직종과 장애영역이 상호 고착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장중심의 직업교육, 지역사회와의 연계교육 및 산학연대를 통한 직업교육의 확대, 장애학생 취업직종 확대를 위한 노력 등이 요구된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지원 및 학교차원에서의 실행방략에 대한 대책의 강구가 요구된다. 특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은 일반학교와의 교류형태 혹은 특수학교에 적을 둔 개별학생이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의 통합교육은 주로 발달장애학생들을 지도하는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고, 후자의 통합교육은 감각장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이들 통합교육이 활성화되고, 실효성 있게 실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일반학교 교과서에 장애이해관련 자료의 삽입, 일반교사의 반편견 교수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이 요구되고, 단위학교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학생준비도 파악, 사전교육, 보조원의 지원 등과 같은 전반적인 통합교육 지원체제가 갖추어져야 한다. 끝으로 특수교육의 전환적 시점에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위상정립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청됨과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에 대한 세부적인 영역에 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d to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Based on analysis of the transfer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 theoretical studies on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alysis models and analysis factors were established.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survey questionnaire for quantitative analysi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or qualitative analysis. While implemen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belong to anthropological research, researchers visited schools and carried out comprehensive survey activities on the school personnel such as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environment of the schools and interaction among them. In implementing this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generalization is fairly restricted due to the various and uniqu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and each factors of educational practices should be viewed not in unrelated fragments but in the whole educational context. This qualitative research included one elementary course special class of a regular school and five special schools of different disability category; vision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sability, and emotional disturbance. The proces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eps; preparatory activities, main survey step, post survey activities. During preparatory activities, researchers collected materials about the schools through internet or other resources and during post survey activities they supplemented the data acquired and shared ideas and information to consult the survey result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cquired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set up to support special schools which have increasingly larger propo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recently since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disabilities tend to move to special classes of regular schools under the trend of inclusion education and accompanying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policies. The management of special schools need a large scale transfer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by developing prope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and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aide system soon. Second, efficient therapeutic education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The current seven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therapeutic education in order to meet each student's need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education. However, special schools suffer from shortage of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nd awareness on therapeutic education has not been properly promoted.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conditions and also to connect education and therapy in many ways. Third, special schools should be equipped with human resources, space and support system to provide appropriate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the ultimate practical goal of special schools can be said as each student's achievement of independent daily and social life, therefore, support for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its practices. Above all, vocational education should include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variety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needs in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do not reflect them properly with holding old-fashioned and specifically fixed occupation-disability relationships.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vide hands on vocational education, to promote connection with community and businesses to extend occup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state level and school level measures to activate efficient inclusion education should be set up. Inclusion education of special schools is usually implemented in two different ways. One is school level exchange programs mostly for schoo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ther is an individual student's visit and involvement in programs of a regular school and this type of inclusion is usually carried out for students with sensory impairments. In order to activate inclusion education more efficiently, state level initiative of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interposition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textbooks for non-disabled students, extension of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to support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tiprejudice instructions is in need and school level efforts to grasp students' readiness for inclusion, to provide preparatory education and to operate teacher aide system should be made. Fifth, since a special class is an institute providing welfare services as well as educational service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which is in charge of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network and management of comprehensive student services such as general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each student and appropriate placement. Existing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Sixth,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pecial class management models are needed as references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practices of special classes even though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conditions of regular schools which operates special classes vary. It is important to set up measures to extend discretionary power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fforts for the settlement of identity. transfer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hould be continued and subsequent researches need to be followed to investigate each factor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운영지침

        이유훈,권주석,김용한 국립특수교육원 1999 연구보고서 Vol.- No.2

        장애학생의 적절한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에 알맞은 교육계획이 구안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특수교육진흥법에서는 개별화 교육계획의 작성과 운영을 법제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아직 개별화, 교육계획의 작성과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없어 학교 현장에서 상당한 혼란과 애로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에게 적절한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학교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개별화 교육계획을 작성·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는데 그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구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주요 여러 나라의 개별화 교육계획 관련 문헌 및 지침들을 중심으로 개별화 교육계획의 이념, 작성 목적, 작성 방법, 발전 동향 등을 분석하여 이론적 기초로 삼는다. 둘째, 개별화 교육계획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의견 및 특수교육 현장의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운영 실태를 분석한다. 셋째, 주요 여러 나라의 지침 및 우리 나라 학교현장의 실태 분석을 통하여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우리 실정에 적합한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운영지침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현장 의견조사 및 실태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첫째는 개별화 교육계획과 관련된 연구문헌 및 관련 법규, 교육과정 관련 자료, 그리고 주요 선진국들의 작성, 운영지침 등에 대한 문헌분석을 하였다. 둘째는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실시한 각종 연수회의 분과 토의 자료 가운데 개별화 교육계획과 관련된 자료를 중심으로 의견조사를 분석하였다. 셋째는 특수학교 현장에서 현재 작성·활용되고 있는 개별화 교육계획을 수집하여 그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연구결과를 각 장별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 교육계획의 이론적 기초에서는 그 이론을 개관하고, 개별화 교육계획의 발전 동향을 알아보았으며,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화 교육계획은 장애학생의 '적절한 교육의 보장'이라는 교육의 질적 보장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장애학생의 교육권을 지원해 줌으로써 인류평등권이라는 이상을 실현하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별화 교육계획은 교사와 가족간의 관계 및 가족에 대한 특수교육의 이해를 향상시키며, 학생의 진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교사들이 시간을 계획하고 목적과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교수단계를 사전 제시해 준다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의 지침을 분석한 결과,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운영지침에는 관련 규정, 작성 책임자, 참가자, 기재 내용, 유효 기간, 통지 및 발효, 불복 신청 기간, 부모의 권리 등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현장 교사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개별화 교육계획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학생에 대한 정확한 실태가 파악되고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원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장·단기목표와 지도계획을 작성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부여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한 인적 자원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개별화 교육계획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학습자료 및 교육과정의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그 작성기간이 짧고, 현재 수행수준의 평가, 장·단기 교육목표의 설정, 개별화 교육계획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수·학습의 문제점과 해소 방안은 교육목표의 진술, 학습집단의 편성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었다. 넷째, 특수학교의 개별화 교육계획을 분석한 결과, 일부 학교에서는 구체적인 지침을 작성하여 모든 교사가 바르게 이해·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었다. 개별화 교육계획의 양식은 학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학생의 인적사항, 장·단기 교육목표, 승인서, 교육과정 진도계획표, 주간 교수·학습 계획안, 그리고 학습평가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학교(급)별로는 중학부와 고등부 학생의 진로상담 내용 및 직업교육에 대한 내용을 추가로 기록하고 있었으며, 개별화 교육계획은 장애영역별·학교(급)별 공통적인 내용을 학교 교육계획서나 학교 교육과정에 삽입하여 운영함으로써 개별화 교육계획이 전체적인 학교 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었다.

      •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 Ⅰ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3

        우리 나라 특수교육은 전환기적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른바 특수교육 요구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라는 양적 교육의 시기를 넘어 현실적 여건에서 최상의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질적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양적 교육에서 질적 교육으로의 전환을 패러다임 이동이라는 맥락에서 본다면,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은 특수교육기관의 내·외적 체제를 재구조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 바, 여기에는 현 체제의 틀 속에서 그 개선을 요구하는 온건한 경향성도 있지만 체제 자체를 붕괴하고 재편하고자 하는 급진적 경향성도 나타나고 있다.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나라 특수교육기관 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우리 나라의 특수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그 분석모형의 설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의 경향성, 선진 외국의 특수교육 추세, 특수교육기관의 운영형태와 방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서 분석모형을 정립하였다. 이런 분석모형은 현특수교육 체제 의 틀 속에서 그 개선점을 찾고, 나아가야 할 지향점 을 정립하는 방향에서 설정되었다. 즉, 본 연구의 분석모형은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학교교육 재구조화의 측면에서 그 실상과 개선점, 지향점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분석요인은 특수교육기관의 일반현황,교육활동,교육지원활동으로 세분화하고, 그 영역에 따른 요인을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조사지에 의한 양적접근과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접근에 의해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정립, 분석요인 추출, 분석방법의 적용이라는 일련의 수행과정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 첫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에 대한 제도적 지원방안이 단계적으로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특별한 법적·제도적 규정과 지원이없이 그 수요에 따라 급증하였고, 제도와 규정이 이를 뒷받침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상황은 제도적 지원이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다양한 장애 영·유아의 교육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상황에 기초한 단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을 설립유형별 및 운영형태별로 특성화하고, 장애 영·유아에 대한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는 전문화된 기관으로 유도하면서 장애 영·유아의 교육비에 대한 지원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장애의 발견, 진단, 배치, 교육 및 통합이라는 일련의 연속적인 체제에서 충분한 역할을 하여야 한다. 발달지원센터와 같은 진단 및 평가를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기관으로서 장애 영·유아의 발견 및 진단, 개개인에게 적절한 조기교육기관의 선정 및 배치, 적절한 조기중재와 조기특수교육, 치료교육 이후의 학교교육 배치라는 일련의 연속적 체제에서 자체의 역할을 모색하여야 한다. 즉, 부모 및 가족지원에 중점을 둔 장애영아에 대한 조기중재, 그리고 통합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유아의 장애를 경감시키기 위한 전문적 조기특수교육의 충실한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방법과 교육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 연구가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장애 영·유아 조기교육을 위한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또 영세한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들의 운영난으로 인한 교육의 질적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행·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장애 영·유아에 대한 조기교육은 부모의 재정부담이 크고, 이로 인해 교육기관들의 시설 및 교육환경이 열악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교육의 국가관리라는 측면과 장애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장애 영·유아의 교육을 위한 지원 및 통제를 점차 확대하여 장애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특수교육의 질을 확보하고, 사교육비 증대에 따른 부모의 가계부담을 덜어 주어야 한다. 넷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공교육의 틀 안에서 나름대로의 특성화를 통한 독자적인 정체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장애 영·유아에 대한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1~2세까지의 장애영아에 대한무상교육과 3~5세까지의 장애유아에 대한 의무교육을 조속히 실시하여 장애 영·유아 의 교육기회를 보장하여야 하며, 현재 유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설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들에 대해서도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장애 영·유아교육을 보완하는 기관으로 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모든 기관을 획일적으로 통제하기보다는 현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과 치료를 장애 영·유아 개개인의 욕구에 맞게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특수학교 첫째, 사립 특수학교에 대한 지원대책 및 특수학교 설치형태에 있어서의 변화가 요청된다.우리 나라 특수학교 교육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립학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일반학교 내 혹은 일반학교 밀집지역에 소규모 특수학교를 설치하여 교육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는 특수학교 교육 서비스를 요구하는 중증 장애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의 보장차원과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에 대한 지원적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특수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하는 차원에서 법령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학교의 재학생이 점차 중증·중복화되고 있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대도시의 경우 초·중학교 과정은 법정 학급당 학생수가 과밀한 상태에 있고, 전국 대부분의 고등학교과정은 법정 최고 학생수에 거의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부담 경감 및 학생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 학급당 법정 학생수의 감축을 위한법령 개정이 요구된다. 셋째, 특수학교는 교육적 차원과 복지적 차원이 병행되는 교육 서비스의 제공기관이 되어야 한다. 총체적인 질 차원의 학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생현황 관리, 교육 요구사항 파악, 적절한 교육배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기존의 지역단위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넷째, 특수학교 교원정책에 있어서의 일부 개선이 요구되어진다. 특수교육 자격소지자의 학교배치 비율을 점차 확대하고, 교원의 처우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동시에 의무기한 연수제를 두어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반드시 교원연수를 받도록 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의 업무과중과 교육부담등을 감안하여 특수교육 보조원을 배치하는 방안이 조속히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환교육과 직업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환교육을 IEP에 포함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수가 전국 단위로 실시되어져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 재학생들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직업교육을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보다 체계적인 협력체제가 조성되어야 한다. 여섯째, 특수학교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교육활동 이외에 부가되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즉, 학생 진단 · 평가, 치료, 지역사회연계, 학부모 연수 등의 활동을 학교 교육계획에 입안하여 연중 실시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 계획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일곱째, 국가수준, 학교수준, 학생수준이 연계된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발센터(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CDC)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기관을 두어 개발하고, 단위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원기구를 지역교육청에 설치 · 운영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수준 교육과정을 위한 학교별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기구를 설치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연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특수학급 첫째, 특수학급은 관(국가) 주도의 설치로 지역별 분산율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교과정별 설치에서의 불균형 상태를 해소하여야 한다. 초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수에 비해서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에서 특수학교에 역통합되거나 일반학교에 무방비한 상태로 입학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증설이 요구되며,특히 읍·면 지역의 고등학교 과정 특수학급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서 특수학급 교육의 연계성 확보, 고등학교 과정의 학급당 인원수 감축, 장애학생 학부모의 교육부담 경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지역별로 초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이 일정 수에 도달하면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설치를 의무화하는 것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둘째. 장애학생 교육의 질 및 특수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원정책의 일부 조정이 요구되어 진다. 특수교사 자격소지자의 완전 배치,특수학급 담당교사의 가산점 제도 개선, 특수교육+일반교육 교사자격 소지자의 전근(보) 방지를 위한 조치, 일반 교과수업 및 특수학급수업 담당으로 인한 고충 해소책 등의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개발·제공 등을 통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기하고, 특수학급 학생의 중증화 경향에 대처하도록 하여야 하며,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업무부담을 경감하는 차원에서 순회치료교육교사 제도를 도입하여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의 치료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특수학급에서의 통합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특수학급 재학생의 중증화 경항과 중복 장애학생의 배치율이 확대됨에 따라 특수학급의 주된 목적인 통합교육 실천에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해야 하며,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도입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합교육의효율적인 실천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일반학교 교과서에 장애이해 관련 자료의 삽입, 일반교사의 반편견 교수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이 요구된다. 넷째. 특수학급 학생들의 환경적 요인이 너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서 이들에 대한 교육적 차원뿐만 아니라 복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요청된다. 다차원적 영역(학업, 직업, 건강, 심리 및 정서, 가정환경 등)에서의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법제화함으로써 기존의 학습 진도표 및 학습계획서 수준의 개별화 교육계획서를 대치 혹은 보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환교육과 직업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환교육을 IEP에 포함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수가 전국 단위로 실시되어져야 찬다. 또한 특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학생들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직업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의 보다 체계적인 직업전환 체계를 조속히 만들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특수학교와는 별도로 특수학급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구축하여야한다.별도의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특수교육 교육과정으로 통일하고 그 안에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을 구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에 교육과정 개발센터(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CDC)끼의 기능을 담당하는 별도의 기관을 두고, 지역단위 특수학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원기구를 지역교육청에 설치·운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일곱째, 특수교육 장학진의 전공자 해치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특수학급 담당교사와 지역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의 긴밀한 연계는 특수학급 학생의 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중요한 관건이므로 지역교육청에 특수교육을 전공한 장학사를 배치하고, 이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수교육 장학지침서 개발은 물론, 장학관련연수기회를 대폭 확대하여야 한다. Special education of Korea faces transitional phase on which it should move the focus on quality education from quantity education that emphasized the opportunities of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ransitional phase can be called the transfer of paradigm which demands comprehensive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e demand of reconstruction appears in two different directions, moderate tendency which demands revision under the current frame and radical tendency which calls for overturn of current system and total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ssues, and the desirable future directions of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Since the analysis model which the viewpoint of the study stands on is important, it was established through scrutinizing the tend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 trends of special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and types an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management. Special classes of regular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re two representative institutes for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ial clas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inclusion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constr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reform current measures and search for future directions. Analysis factors consisted of general stat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ive activities, and each category has its own factors.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survey questionnaire,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hich were acquired through processes of the establishment of analysis model, extraction of analysis factors and implication of analysis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needs to be reconstructed. Recently, educational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diversified by the idea of quality of education and practical inclusion education policies. However, special classes do not meet students' educational needs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Special schools should demonstrate rudimentary changes in their management owing to transfer of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dlsabilities to special classes and the subsequent problem of facing the fact that most of their students have multiple/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y continue the old-fashioned management. Therefore, special classes should be reconstructed as institutes for serving students with mild and moderate disabilities and special schools should be reframed as institutes for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Polic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also followed in order to enforc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service system which includes screening, diagnosis, educational placements,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services after schooling. Second,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need changes in their identities and more initiatives in their roles. Special classes should be managed to implement inclusion education efficiently and special schools should have the identity as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which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divided region. Currently special classes are recognized as inclusion education system, however, students in special classes a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 support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is considered to be unreliable. It is because the conditions of inclusion education at regular schools are not appropriate, the curriculum of special classes is unrealistic, and required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are not provided properly. Therefore, preparation of the conditions of regular school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and materials for raising awareness on disability among non-disabled students, implementation of teacher-aide system should be supported effectively by the government policies. . On the other hand, the gradually increasing propo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is one of the salient features in the field. However, the reality manifests that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o not believe in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Therefore, the process is quite slow and special schools still serve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t can be concluded that most special schools currently go through difficulties serving a whole array of different levels of disabilities. Though the process is slow, special schools should be prepared for the future changes. In the near future they will have to serve mostly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and they should transfer their identity to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which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alloted region as well as their own students. Third, proper steps should be devised to promote connection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pecial classes are fairly dispersed in all areas nationwide, however, special schools cluster around the center of specific areas. That is the reason collaborative connection among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s needed so that special schools can support special classes with its plentifu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pecial schools are supposed to play the central role in special education services connecting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and special classes. Through the system the functions of special schools and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can be promoted and the services of special classes can be supplemented. The future changes of management system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will be able to make progress more effectively with the changes in awarenes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omo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various curriculums, improvement of all environments surroun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0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제7차 특수학교(급) 교육과정이 특수학급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돕는 차원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시·도 교육청 지침분석에 기초하여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의 다섯 가지 기본원칙을 제시하였으며, 그리고 특수학급 운영유형별 교육과정 편성·운영방안으로서 전일제 특수학급과 시간제 및 특별지도실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절차를 예시와 함께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다양한 모형을 제시하기보다는 그 절차를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를 가진 장애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수준별, 교과 및 영역별 교수·학습모형 및 교과 교육과정 수정을 위한 모형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청되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searching the method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order that the 7th special school curriculum may be applied to special classes efficiently. For this purpose, not only the five basic principle of special class curriculum organization was presen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precedent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but also special class curriculum organization·implementation methods of each implementation types in special classes along with examples. But this study has limitation in that it just shows only the processes rather than showing various models for adaptation of curriculum in inclusive education situation, therefore, future research associated with various models which can be adapted to students who have different needs through the each levels·subject domains teaching resource materials and subject curriculum adaptation should be suggested, and so as the organize and implement effectively to classes fields through these special class curriculum, following measure should be taken about making collaborate relation, the role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y etc, between special and regular teachers.

      •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중심 통합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이유훈,김영미,윤광보,홍성두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7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적합한 통합교육과정을 특수학교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인 배경을 밝히고, 제 7차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통합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국의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학교를 대상으로 통합교육과정의 편성·운영방안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얻어진 요구와 시사점을 토대로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학교중심 통합교육과정의 편성·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내용별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고찰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은 창의력과 비판적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이런 창의적인 사람을 기르기 위해서는 삶의 맥락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스스로 의미와 가치를 생성하여 자신의 세계를 열어가도록 하여야 한다. 그래서 교육과정은 이 시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성과 협동성을 기르기 위해 삶을 중심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교육과정은 구성주의적인 관점과 다중지능이론의 입장에서 볼 때, 발달장애학생들의 신체적, 지적, 심리적, 인성적인 제 측면에서 교과단위의 분과교육과정에 비해보다 큰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을 정당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합교육과정은 통합의 수준과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으나, 우리 나라 교육체제에서 볼 때 단위학교에서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위해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통합교육과정은 교육내용 구조면, 통합의 중심 내용면, 수업 운영면에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즉 주어진 학년 또는 학교급별 등의 전체 교육과정 속체서 통합의 아이디어를어떤 체제로 투입시킬 것인가 하는 교욱내용 구조면과 통합의 핵심 또는 통합을 통해서 강조하고자 하는 목표를 어디에 둘 것인가 하는 통합의 중심 내용면, 그리고 통합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하는 수업 운영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통합교육과정의 편성준거는 그 통합방식이 어떠하던 간에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어야 하고, 또한 학교라는 시간과 공간의 제한된 상황에서 실천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통합교육과정의 편성은 지적인 준거와 실제적인 준거가 모두 반영되어야 한다. 제 7차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 발달장애학생들의 사회적응능력은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이며, 그들이 적응하며 살아가야 하는 사회 자체가 종합적인 시각에서 파악되어야 할 대상이기 때문에 교과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그래서 제 7차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에서는 교과군별로 통합시수를 배정하고 필요에 따라 교과를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교과용 도서 교과내 및 교과간 내용을 생활영역 중심으로 연결시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통합교육과정으로 편성ㆍ운영할 수 있도록 전자도서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통합되어 있지 않으며 교과서 또한 통합교과서로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합교육과정을 학교중심 교육과정으로 문서화하는 방안과 학급에서수업의 필요에 따라 통합단원 지도안을 구안하여 교과통합지도를 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제 7차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전자도서에서 연결시키고 있는 관련 과제와 활동을 활용하여 주제별 통합단원을 구성하여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통합교육과정의 편성 · 운영실태통합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실태 조사에서 특수학교 대부분이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높은관심을 보이고 있고, 또한 그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교수·학습자료의 부족, 통합교육과정의 편성·운영경험 및 수행능력의 부족, 교과별 시간배당 기준 준수의 어려움, 생활장면으로의 전환 및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어려움 등을 원인으로 들고 있었다. 이를'위해서는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과 전문적인 연수가 제공될 필요가 있고, 아울러 효율적인 통합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해서는 시설·설비 및 교수·학습자료의 확충이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통합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요구에서 있어서는 통합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주체로는 담임교사와 통합교과 팀을 들고 있다. 그리고 통합교육과정의 조직형태는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분야에서 관련 내용을 끌어다 새로운 내용을 구성하는 주제중심 통합과 학습자의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통합교육과정의 모형으로는 연간계획에서 생활단원명을 설정하고 단원 내에서 관련 교과를 통합하는 모형과 교과의 선을 넘어서 관련 있는 몇 개의 교과를 묶는 교과간의 통합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통합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교사의 연수기회 확대, 지도교사의 증원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특히, 학교환경 개선사항으로는 학급당인원수를 줄이고 학습자료와 매체를 보다 많이 구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을 위한 평가방법으로는 지필검사는 기초학습기능에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만 실시하고, 나머지는 행동관찰을 포함한 여러 가지 평가방법을 활용하자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통합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방안 통합교육과정 편성·운영방안에서는 단위학교에서 통합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통합교육과정 편성의 일반적인 절차와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고, 통합교육과정의 여러 모형 가운데에서 특수학교에서의 적용이 용이한 4가지의 통합교육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적인 절차인 편성, 운영, 평가과정에 대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통합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거쳐야 할 과정으로서 계획, 설계, 소규모 시행, 적용이라는 4단계를 제시하였고, 특히 통합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따라야 할 단계를 통합의 주제 결정,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 수집 및 정리, 제시된 아이디어들과 교육과정 목표의 내용영역과 관련 지우기, 제시된 아이디어들의 교과별 관련성 찾기, 제시된 아이디어들의 다른 교과 아이디어와의 관련성 찾기, 아이디어들과 교육과정 목표의행동수준 관련 지우기, 활동계획안 작성 등의 전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통합교육파정을 편성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지원체제, 의사결정 구조, 교사의역할인식 변화, 참여동기 부여, 조직 풍토 등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을 위한 기본지침을 조직형태, 통합방법, 통합유형, 교육활동 계획안 개별화 교육계획안 수업시간표 작성, 평가방법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넷째, 완전 통합교육과정 모형, 교과간 통합교육과정 모형,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모형, 교과내 통합교육과정 모형 등 4가지 모형을 조직형태, 통합방법, 통합유형, 교육활동 계획안, 개별화 교육계획안, 수업시간표 작성, 평가방법에 따라 편성 ·운영 ·평가의 여러 가지 가능한 방안과 예시자료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일반학교 통합교육과정 사례와 특수학교 통합교육과정 사례를 정리하여 부록에제시하여 실천자료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teachers to organize and implement integrated curriculum which is adequate for the psychologit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special school sites. For this purpose, we presen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by analyzing the 7th Special School Basic Curriculum,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integrated curriculum. We collected opinions about methods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from the teachers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emotional disturbance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e needs and suggestions revealed through these data, we proposed strategies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ajor results according to each topic are as follows: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ideal people needed by the 21st knowledge-based society is those who have creativity and cri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For rearing this kind of people, we have to require people to solve problems within real-life contexts and open their own world by spontaneously generating new meanings and values. Therefore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revolving on real-life concerns to develop creativity and cooperation demanded by this society. Also, in the light of constructivistic perspectives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tegrated curriculum can be justified in that it has more educational meaning in physical. intellectual, psychological, and dispositional aspects than subject-oriented curriculum has. Typically, in integrated curriculum, there can be many forms according to the level and methodology of integration. However, when considering our current educational system, we have to take the structure of contents, core contents of integration, and class management into consideration to efRcientlyimplement integrated curriculum withi.n each school contexts . The structure ofcontents refers to how and with what system the idea of integration will beembedded into the whole curriculum at given grade or school level. Corecontents of integration mean where the core of integration or goals that wewould like to emphasize through integration will be placed, and classmanagement refers to how to rrianage integrat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integrated curriculum organifation have to be meaningfuleducationally regardless of the ways of integration. and should be set in orderto be implemented in the settings of schools where time and space arelimited. Hence, the organiz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have to reflect boththe intellectual and practical criteria.7th Special School Basic Curriculum and Integrated CurriculumBecause the social adapt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disabilities have comprehensive and 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because thesociety itself wher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apt themselves and live is the object to be understood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s,the subject contents have to be educated synthetically. Therefore according tothe 7th Basic Curriculum, the number of hours for integration is allocated bysubject areas, subjects can be implemented by integrated approach ifnecessary. and textbooks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electronic ones so thatwithin- and between-suhjects contents can be organized based on real-lifeconcerns and implemented by integrated approach whenever it is necessary.However, research on the ways how to transform integrated curriculum intowritten school-based curriculum, and how to design integrated unit teachingplans according to lesson demand in classrooms and implement integratedsubjects should be conducted because both the Basic Curriculum at nationallevel and textbooks were not developed in integrated form. Especially,research on strategies for forming and teaching integrated units by theme,vsing related tasks and activities with which electronic textbooks that areadopted in the 7th Basic Curriculum associate, is necessaryCurrent Status i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Curriculum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ven though most special educationteachers are highly interested in and feel the necessity of integratedcurriculum, they have many difficulties in it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on account of the lack in teaching-learning materials ; lack in the teachers'experiences with organizing and implementing integrated curriculum andabilities to carry out it; difficulty in adhering to time allotment standards foreach subject; difficulty in students'transition to daily life settings, andproblems with evaluating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Thus, it is needed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n and professional in-serfce training inintegrated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to expand educational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efHciently organize and ,implement integrated curriculum.Meantime, accordini: the results, the special school teachers demand that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madethrough team approach. And among the organizational forms of integratedcurriculum, theme-centered integration ir which teachers select relatedcontents from several subject matters based on a theme and then constructnew contents, and learners'life experience-centered integration are the mostpreferred. As (or integrated curriculum model, models by which teachers setthe titles of life vnits in the really plan and then integrate related subjectmatters within the units. and by which teachers integrate related subjectsbeyond their borders are preferred.The results also showed that increase in opportunity for teacher trainingand the number of teachers is required in order to efnciently implementintegrated curriculum. Especially.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it was proposed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to beequipped with more learning materials and media. As for the methodology for.evaluating integrated curriculum, it was'predominantly reported thatpaper-and-pencil tests have to be used only for contents related to basiclearning skills , and various ways of evaluation including behaviour observationhave to be utilized for the , other contents.Strategies for the Organization and trnplernentation of IntegratedCurriculumAt flrst, we presented the general procedures of and considerations in theorganiB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to help each school to organize andimplement it. And based on four types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s whichare easy to adopt within special school contexts, we provided practicalstrategies for organizing. implemen?ing. and evaluating integrated curriculumas the general procedure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details are as follows : First, we present 4 steps, that is, planning, designing, Performing in asmall way, and adapting, as the procedul·e needed to 9o through whenorganiz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Furthermore , we also concretely presentthe steps that have to be followed in design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steps are 1) deciding the topic of integration; 2) collecting and arrangingideas related to the topic through brainstorming; 3) establishing therelationship between the su99ested ideas and the corltent areas of thecurriculum goals ; 4) searching the relevance of the su99e~3ted ideas accordingto subject; 5) looking for relation between the suggested ideas and the ideasfrom other suhjects; 6) connecting the ideas to behavior level of thecurriculum goals ; 7) drawing out the activity plan.Second, as the things to be considered when organizing the integratedcurriculum, we Present the support system. the structure of decision making.change in recognition about teacher's role, encouragement for participation,organization climate, and so on.Third, based on survey and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integratedcurriculum, we propose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organization andmanagement of the intesrated curriculum from the various aspects such asorganizational form, way and type of integration, plan for educationalactivities ,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class schedulir19, and methodologyfor evaluation.Fourth, we present the diverse possible plans arid examples aboutorganiBing, managing, and evaluating such models as full integratedcurriculum model, between-subjects integrated curriculum model,topic-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model, and within-subject integratedcurriculum model according to organizational form, way and type ofintegration, plan for educational activities ,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class scheduling. and methodology for evaluationFinally, we arrange the cases of integrated curriculum in both general andspecial schools, and put them in the appendix for later refer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