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長(장) 특집 이원희 : 지역발전특별회계의 발전과제 ; 박근혜정부 지역발전특별회계의 과제

        이원희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14 지방재정 Vol.2014 No.3

        국가균형발전정책이 구체적으로 추진된 건 참여정부 시절부터. 참여정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만들어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였다. 이 같은 정책은 이명박 정부에이어서 박근혜 정부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는데,그 목적과 전략, 성격은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박근혜 정부 지역발전 정책의 특징을 살펴보는 한편, 앞으로 지역발전특별회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살펴본다.

      • KCI등재
      • Non-decaying 모드 해석을 이용해서 설계한 원통형 유전체 공진기 여파기의 최적 결합 방법에 대한 분석

        이원희,박장원,김태신,허정,이상영,Lee, Won-Hui,Park, Chang-Won,Kim, Tai-Shin,Hur, Jung,Lee, Sang-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8 No.7

        본 논문에서는 유전체가 삽입된 공진기를 이용하여 C-band용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공진기의 높이는 인접 유전체 공진기의 도파관 차단 주파수로부터 결정된다. 공진기의 지름은 도체 손실을 고려하여 유전체의 두 배로 결정하였다.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는 비소멸(non-decaying) 모드 해석법으로 계산하였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는 Cohn 모델로 해석하였는데, 이것은 공진기의 벽과 유전체벽 사이에서 전자파가 소멸(decaying)된다는 가정 하에 해석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근사적인 해석방법이다. 외부양호도(external quality factor)인 $Q_{ex}$는 Ansoft의 Maxwell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유전율 45인 유전체를 사용하여 설계한 대역통과 여파기는 5.065GHz의 중심주파수를 가졌다. 삽입손실은 1dB, 밴드 폭은 20MHz, 감쇠 특성은 30dB$(f_0{\pm}15MHz)$)로 설계목표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fabricated C-band bandpass filter using dielectric resonators. From waveguide cutoff frequency which applied the region between adjacent dielectric resonators, the height of cavity is determined. The cavity's diameter is determined to the twice of dielectric resonator? diameter considering the conductor loss.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DR cavity is calculated with non decaying mode analysis. Conventionally, cylindrical dielectric resonator is analysed by Cohn's model which use the decaying mode in the region between dielectric resonator wall and circular cavity wall, which is an approximated method. The external quality factor, $Q_{ex}$ has found with simulation result using Ansoft's Maxwell simulation tool. The designed filter using dielectric resonators with dielectric constant of 45 has the passband center at 5.065GHz. The bandpass filter using dielectric resonators has about 1dB insertion loss, 20MHz bandwidth and more than 30dB attenuation at $f_0+15MHz$.

      • 원통형 공동 공진기의 $TE_{011}$ 모드를 이용한 유전체의 전자기적 특성 측정 방법

        이원희,김태신,허정,이상영,Lee, Won-Hui,Kim, Tai-Shin,Hur, Jung,Lee, Sang-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8 No.5

        원통형 공동 공진기를 이용한 유전체의 전자기적 특성들의 측정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여기에 관련된 유전체의 전자기적 특성들은 비유전율, 손실 반젠트, Q factor 등이 있다. 동심 유전체 봉이 삽입된 원통형 공동 공진기에서 $TE_{011}$ 모드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TE_{011}$ 모드는 유전체 봉과 공진기 벽면 틈에 의한 공진주파수 민감도가 가장 덜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동심 유전체 봉이 삽입된 원통형 공동 공진기의 $TE_{011}$ 모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새롭게 제안된 non-decaying 모드의 정확한 전자계 표현은 유전체의 전자기적 특성들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소개되었다. This paper describes measurement method of dielectric properties of dielectric materials using cylindrical cavity resonator's. Dielectric properties of concern here are relative permittivity, loss- tangent, quality factor and so on. An analysis of $TE_{011}$mode in dielectric properties of concentric dielectric-rod inserted cylindrical cavity resonator is presented. The frequency variation by the air gap at $TE_{011}$ mode turns out to be the least sensitive. A technique using a $TE_{011}$ mode of concentric dielectric-rod inserted cylindrical cavity resonator and an exact field representation of neo non-decaying mode are introduced for 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 KCI등재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양상 -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원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2 교회사학 Vol.0 No.9

        강원지역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 양상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임시 집회 장소로서의 개인 집의 활용이었다. 개인 집의 활용할 때에는 일정한 규식이 있었으며, 박해를 받던 시기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별도의 건물을 짓지 못한 채 개인 집을 활용하였다. 두 번째는 한옥 형태의 별도 건물이었다. 한옥형 성당의 경우 기존 한옥의 활용이라는 토착화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한옥형 성당은 오래된 교우촌을 중심으로 신자들의 모금에 의해 이루어졌다. 강원지역에서도 19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한옥형 성당이 만들어졌고 이러한 한옥형의 별도 건물은 성당뿐만 아니라 공소집으로도 만들어졌다. 집회장소의 변화 세 번째는 서구식 성당의 도입이다. 서구식 성당은 선교사의 주도하에 건립되었고 강원지역의 성당들은 다소 뒤늦게 건립되었지만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어 초기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개인 집에 몰래 숨어 하던 집회가 한옥형 성당으로 표현되고, 이후에는 지역을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집회장소의 변화는 천주교 전래 이후 정착과정에서 교회의 지위 역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variation of Catholic venue in Gangwon district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one is coming to a private house as a temporary gathering place. There had been certain rules and formalities to be observed in using a private place. A separate building had not been available even after the persecution period thus the private house had still been utilized. The second one is gathering at a separate place in the form of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The traditional Cathedral had been achieved by the fund raising of longstanding fellow believers, and we can access from an aspect of the indigenization of the existing traditional Korean house as a Cathedral. Traditional Cathedrals had been created from 1900s until 1920s in Gangwon district and these separate buildings had been also utilized for kongso(mission station) as well as the cathedral. The third change is the introduction of Western-style cathedrals. Western-style cathedrals had been buil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ssionaries, established somewhat belatedly in Gangwon thus maintained the early appearances with relatively less changes. The change of place from hiding in a private house into a traditional cathedral later moved into the area where can enjoy the whole view is showing that the position of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changed as well during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 定常狀熊에 있어서 木材의 濕氣傳達과 透濕速度

        李元熙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2 慶北大農學誌 Vol.10 No.-

        목재투습성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밝혀졌다. 1) 시편두께 0mm에 외삽한 투습저항없이 正이므로 목재표면서에서의 수분전달현상을 고려함이 인정되었다. 2) 목재내부의 함수율분포는 함수율 9%를 경계로 두 개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또 시편 양측의 공기중 평형함수율이 9%이상일 때는 한 개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수분확산계수는 함숭류 9%를 경계로 두 개의 일정한 값을 가지며, 이 값들은 오직 함수율에만 관계한다. 4) 수분이동량은 목재내의 함수율구배에 의존한다. 5) 목재의 수분전달계수는 시편두께에 의존하였다. 이 현상의 기구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 In general, the behavior of moisture transmission is estimated by vapor permeability or vapor transmission resistance, but its values obtained by experiments do not have great adaptability for practical situations because of changes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is fact is why only theoretical discussion have advanced. Thus, the fundamental study of the moisture transmission phenomenon has been treated lightly. Here, as the first step toward the basic research of moisture transmission, the amount of moisture transmission and the moisture distribution in specimens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eady state, and the moisture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slicing and weighing the specimens. From the examination of the vapor transmission resistance, the phenomenon of moisture transmission was dealt with devide the moisture transfer on the wood surface and moisture diffusion in wo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henomenon of moisture transmission should be approached by its division into moisture transfer on the wood surface and moisture diffusion in the wood because the positive values of vapor transmission resistance exist in the extrapolation of thickness 0㎜. 2) The distribution of moisture in wood can be illustrated by two straight lines intersecting at the point of nine percent moisture content : namely, diffusion coefficients have two constant values at moisture contents below and above nine percent.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curve of moisture content is similar irrespective of the wood thickn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isture contents on both sides was more than nine percent, the distribution of the moisture content could be illustrated by one straight lines. 3) The amount of moisture movement is determined by the moisture gradient in wood. 4) Coefficients of the moisture transfer depend on the thickness of the specim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