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상남도 남해군 망운산의 식생군집구조 분석

        이운자,장원영,이민숙,이재완,정용주,김동후,김정수,추갑철,김민호 한국산림공학회 2022 산림공학기술 Vol.20 No.2

        경상남도 남해군 망운산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23개의 방형구(400㎡)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 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의 조사구는 상수리나무-서어나무-팥배나무군집, 서어나무 -때죽나무-산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희귀수 종인 산닥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산닥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레피나무, 산철쭉, 싸리류의 상대우점치가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굴참나무와 팥배나무; 신갈나 무와 조록싸리; 쇠물푸레나무와 산철쭉; 조록싸리와 노린재나무나무나무나무; 산검양옻나무와 졸참 나무, 진달래; 졸참나무와 진달래; 때죽나무와 노각나무, 층층나무, 당단풍나무, 감태나무; 노각나무 와 당단풍나무, 감태나무; 당단풍나무과 감태나무 등의 수종 사이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 고, 신갈나무와 서어나무;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등의 수종 사이에는 부의 상관이 높은 편이었다. 군 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5930∼0.8205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별 분포는 군집Ⅰ에서 서어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가 경쟁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Ⅱ에서는 상층에서는 직경급이 고르게 연속으로 분포하고 개체수가 비 교적 많은 서어나무림이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Ⅲ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세한 가운데 상수리나무와 소나무의 경쟁이 예상되나 두 수종의 성상으로 보면 상수리나무가 신갈나무 다음으로 우세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23 plots(400㎡) were set up to understand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Mangunsan Section. three groups of Quercus acutissima-Carpinus laxiflora-Sorbus alnifolia group, Carpinus laxiflora-Styrax japonica-Cornus kousa group, Q. mongolica group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In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es, it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such as between Q. variabilis and Sorbus alnifolia; Q. mongolica and Lespedeza maximowiczii; Fraxinus sieboldiana and Rhododendron yedoense; Lespedeza maximowiczii and Symplocos chinensis; Rhus sylvestris and Q.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Q. serrat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Styrax japonicus and Stewartia pseudocamellia, Cornus controversa,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glauca; Stewartia pseudocamelli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glauc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Lindera glauca. The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from 0.5930 to 0.8205. As for the distribution by DBH grades, in cluster I, Carpinus laxiflora dominates, and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competition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In Cluster II, the DBH grades were evenly and continuously distributed in the upper layer, and it is judged that Carpinus laxiflora forest with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individuals will be maintained for the time being. In cluster Ⅲ, Quercus mongolica was dominant, but competition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densiflora was expe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pecies, it is judged that Quercus acutissim will dominate after Q. mongolica.

      • KCI등재

        진주시 남강변 식생과 식물상 분석

        김혜인,박삼봉,이운자,송진헌,황준,박정근,안종빈,김봉규,추갑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veget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Namgang river side. Survey of the flora was carried outvegetation survey on 5 routes. A total of 549 taxa comprising of 98 families, 320 genus, 496species, 1 subspecies, 43 varieties and 9 forma were investigated and it corresponds to about11.2% of 4,881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n peninsular. Gramineae was the most abundantas 69 species (12%), followed by Compositae as 57 species (10.4%), Leguminosae as 35species (6.4%), Cyperaceae as 28 species (5.1%), and Rosaceae as 25 species (4.6%). A total of30 indicator plants appeared. Annual plants, geophyte, and hemicryptophyte were 159 species(29%), 58 species (10.5%), and 109 species (19.8%), respectively. Shrub, subtree, and treespecies were 41 (7.48%), 32 (5.83%), and 65 species (11.8%), respectively. A total of 50 taxa(9.12%) of aquatic plants and a total of 4 taxa (0.72%) of epiphyte were surveyed. A total of10 taxa of rare plants comprising of 10 families, 10 genus, 9 species, and 1 variety were investigated.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investigated to be 54 taxa including 37 families,50 genus, 52 species, and 2 varieties. A total of 10 taxa of endemic plants to Korea werefound. Naturalized plant species were 76 taxa including 22 families, 57 genus, 73 species, and3 varieties in this area. A total of 9 taxa of invasive alien species including 5 families, 8genus, and 1 variety were investigated. 본 연구는 진주 남강변의 식물상 조사를 통하여 남강 수변지역의 식생 관리방안 도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총 5개 지역(Ⅰ: 진양호~천수교, Ⅱ: 천수교~진양교, Ⅲ: 진양교~상평교, Ⅳ: 남강교~금산교, Ⅴ: 대곡면~장박교)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98과 320속 496종 1아종 43변종 9품종, 총 549종이 출현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종의약 11.2%에 해당한다. 벼과가 69종(12%)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국화과 57종(10.4%),콩과 35종(6.4%), 사초과 28종(5.1%), 장미과 25종(4.6%)의 순이었다. 지표식물은 30종(5.47%)이 출현하였으며, 이중에서 일년생과 반지중식물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년생식물은 159종(29%),지중식물은 58종(10.5%), 반지중식물은 109종(19.8%)이 출현하였다. 지상식물은 관목 41종(7.48%), 아교목 32종(5.83), 교목 65종(11.8%)이 출현하였다. 수생식물과 착생식물은 각각 50종(9.12%)과 4종(0.72%)이 출현하였다. 희귀식물은 10과 10속 9종 1변종 10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구계학적특정식물은37과 50속 52종 2변종으로 총 5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8과 9속 10종으로 총 10분류군,귀화식물은 22과 57속 73종 3변종 총 76분류군, 생태계 교란종은 총 5과 8속 8종 1변종으로 총 9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