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감시장치가 제왕절개술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철(YC Kim),이우홍(WH Lee),박완석(WS Park),김영제(Y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3

        1976년 9월 1일부터 1981년 8월 31일까지 만 5년간 국립의료원 산과에 입원 분만한 1,500gm 이상의 출산하 총 5,953예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분만 5,953예중 5,074예(85.2%)는 질식 분만을 하였고 869예(14.8%)는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하였다. 2. 이상태위는 총 253예이며 192예(75.9%)에서 제왕절개 분만을 실시하였다. 3. 난산으로 인한 제왕절개 분만은 277예로써 총 제왕절개 분만의 31.5%에 해당된다. 4. 태아 절박증의 빈도는 총 분만 5,953예 중 254예(4.3%)이며 이중 142예(2.4%)에서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였다. 5. 총 분만 5,953예중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은 난산이 277예로 가장 많고 제왕절개술의 기왕력 211예, 이상태위 192예, 태아 절박증 142예 및 전치태반 51예의 순이다. 6. 태아감시 장치의 적응빈도는 1978.9-1979.8은 2.7%이며 본격적으로 시행한 1979.9이후는 평균 16.8%이다. 7. 태아 감시 장치의 적응증은 과숙아(24.7%), 임신중독증(22.0%), 유도분만(18.4%) 및 태변착색 (13.1%)등의 순이었다. 8. 태아 절박증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142에중 태아 감시 장치를 시행한 예는 92예(67.7%)이다. 9. 총 분만 5,953에중 주산기 사망율은 19.7이며 매년 감소 추세이다. Many authors had found a moderate increase in Cesarean section rate, after the introduction of fetal monitoring system whereas others no change or decrease in its rate.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tal mornitoring on Cesarean section rate, we studied and analysed cases underwent Cesarean section at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sep. 1976 to Aug. 1981. Fetal morntoring was employed in 455 patients, most of whom were thought to be at high risk group of pregnanc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mean Cesarean section rate was 14.8% and showed a gradually increasing tendency by year. 2. the factors leading to Cesarean section included dystocia (31.5%), repeat C/S (24.0%), abnormal presentation (21.8%), fetal distress (16.2%) and others. 3. the incidence of fetal monitoring application was 7.6%, because of the introduction and liberal using from the late part of 1978. and its rate was trend to increase gradually by year. 4. The incidence of fetal distress leading to Cesarean section increased by year(mean: 2.4%), the reason for this increment was thought to overemphasized fetal distress andn not-well established criteria for fetal distress. 5.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decreased, especially after the period of fetal mornitoring application (27.1/1976-77, 15.7/1980-1981).

      • KCI등재

        악성 난소종양 환자의 혈청내 LDH황성도에 관한 연구 ( 제1보 )

        김용철(YC Kim),조성진(SJ Cho),박찬용(CY Park),이우홍(W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4

        혈청내 LDH치와 난소암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71예의 양성 난소종양의 혈청내 LDH는 평균 187.2 18.2 units로 정상군(241.4 21.0 unit)보다 높지 않았다. 2.13예의 양성골반 내 질환에서도 176.8 48.7unit로 특이한 사항은 없었다. 3.악성 난소암 13예의 수술 전 혈청내 LDH치는 정상보다 평균 2.6배(624.1 51.5 unit)ㄹ 증가를 보였으며 적절한 처치를 시행 치 않고 단지 시험개복만을 행하였던 2예에서는 수술 후 혈청내 LDH치는 (625/476,620/528 unit) 수술 전 보다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다. 4.침윤성 자궁경부암 11예의 경우 LDH는 209.5 21.1 unit로 정상과 차이를 발견 할 수 없었으나 융모성 상피암 5예의 편균 LDH 치는 442.8 69.6 unit로 정상 보다 증가되어 있다. The incidence and prognosis of ovarian cancer were variable. Recently the diagnostic methods of other gynecologic malignancy such as cervical cancer and choriocarcinom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unfortunately there was no effective secreening techinques available to detect the ovarian cancer in the early siage. In addition to variable familial methods for evaluation of ovarian cancer, biochemical investigations as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lpha-fetoprotein and lactic gehydrogenase were attempted. These studies were designed to gind correlation between serum-LDH activity and ovarian cancer. 97 patients who were impressed as ovarian tumor were checked by means of routine studies and serum-LDH at National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77 to December 1979. The results were as follews: 13cases with ovarian cancer gad a signigicant elevated level of serum-LDH(mean; 642.1 51.5 unit) and which dropped agter proper managemen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erum-LDH level and voth cases of benign ovarian tumors (mean; 187.2 18.2 unit) and other benihn pelvic masses (mean; 176.8 48.7 unit), but other gynecologic malignancier had a normal or rather elevated value of serum-LDH in contrast to normal group (cervical cancer; 209.5 21.1 unit, choriocarcinoma; 422.8 69.6 unit).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에 있어서 초음파장치의 임상적 이용 ( I )

        박찬무(CM Park),박영세(YS Park),김용철(YC Kim),박찬용(CY Park),엄승호(SH Ohm),이우홍(W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3

        저자는 자궁내 태낭의 성장속도와 태아의 성숙도 및 태아예상체중을 위한 방법으로 정상임 신부 422명중 63명에게는 태낭을 위해 1회의 초음파 단층촬영을, 359명에게는 아두대횡경치 를 위해 1회의 초음파단층촬영을 실시했고 아두대횡경치에 의한 태아 예상체중을 위해 신생 아 97명의 분만후 24시간내에 신생아 체중을 계측하여 임신월령에 따른 태아 아두 및 예상 체중의 희귀직선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재태기간 제 5주부터 12주사이의 정상임신부에서 태낭은 제 5주에 5명중 3명에서 (66%) 제 6주는 9명중 7명에서 (77%) 최초로 태낭이 보였고 7주 이후에서는 모든 예에서 태 낭이 관찰되었다. 2. 임신재태기간 제 5주부터 12주까지 임신주수에 다른 태낭의 성장은 y=0.62 X (wks) - 1.75로 0.57cm/week의 비율로 성장한다. 3. 임신재태기간 제 11주부터 40주까지 임신주수에 따른 아두대횡경치는 y=0.27 X (wks) - 0.88로 성장하고 임신재태기간 제11주부터 20주까지는 0.34cm/week로 제 21주부터 40주까지 는 0.23cm/week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4. 임신제대기간 제 35주부터 40주까지 각 임신주수에 다른 아두대횡경치에 의한 아두대횡 경치에 의한 태아 예상체중은 y=1.14 X (mean BPD) - 7.2(kg)로 0.16kg/week의 증가율로 나타난다. The ultrasonic measurements of fetal biparietal diameter (BPD) were obtained by real time scanning (ADR 2130) from 380 times in normal 359 pregnant women between 11th to 40th gestational weeks. Before 11th gestational weeks of pregnancy, gestational sac was measured by same method from 81 times (63cases). The results of these data were as follows; 1. the regression line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gestational sac between 5th and 12th gestational weeks; y=0.62 X (wks) - 1.75. 2. The regression line from 11th to term of biparietal diameter ; y=0.27 X (wks) - 0.88 and the growth rate of the biparietal diameter during same period (0.34cm/week) was faster than one of 21th-40th gestational weeks (0.23cm/week). 3. The expected fetal body weight was calculated from the regression line (y=1.14 X (mean BPD) - 7.2(kg)) was obtained from sonar measurement of biparietal diameter (from 35th to 40 th gestational wee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