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사.문화자원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관광코스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우종 한국공간정보학회 200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8 No.2

        최근 들어 관광산업은 지역경제의 활성화, 도시환경의 정비 등 장소마케팅의 일환으로 그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특정시설을 위주로 한 단일기능적 접근방식에 의해 관광객의 주목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관광코스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상대적으로 관광 경쟁력이 확보되지 못한 실정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 관광자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를 활성한 관광코스 개발방안을 강릉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모색해 보았다. 역사·문화자원을 비롯한 여러 관광자원, 관광지원시설에 대한 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일차적으로 자원의 관리상태, 유형, 가치, 숙박가능 지역,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관광코스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인터넷을 통한 관광서비스의 제공을 비롯한 교육, 자원의 관리 등 많은 영역에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tourism industry is on the trend of expanding its activity arena, boosted by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and reorganization of urban environment,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place marketing. However, Korea has not been able to develop a variety of tourism itineraries that can attract the interest of tourists because most tourism resources are isolated with single function. This constraint has prevented tourism industry in Korea from attaining competitiveness. In attempting to overcome this constraint, this study seeks to develop tourism itineraries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database o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resources based on the case of Kangneung Cit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system o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ourism support facilities, optimal tourism itineraries that take into account maintenance conditions, types, values, lodging availabilities and accessibility of tourism resource areas can be developed.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information system will have a high level of usage in the future, for it can provide a wide range of tourism services on the internet and education materials as well as facilitate resources management.

      • KCI등재

        조선 초기 목조건축물 상부가구 도리열 구조의 공포 형상 적용 및 변형

        이우종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3

        이 연구에서는 조선 초의 여러 건물의 실내 도리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결구할 때 도리 방향의 수평재들, 즉 도리장혀와 뜬창방을 주두, 소로, 첨차, 화반 등과 어떤 방식으로 조합하여 공포의 형상, 즉 공포의 결구 방식 및 장식성을 실내 상부가구에 도입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포계와 주심포계에서 각각 특징적인 기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다포계의 초기 건물들에서는 도리 하부에 간략하게 재현한 공포들을 수평재 사이의 주간에 늘어놓아 상부공포대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주심포계에서는 수평재들 위아래와 사이사이에 주두, 소로, 또는 첨차 등을 추가하여 대공이나 내주 위의 지지점에 유사 공포조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부가구에 공포 형상을 구현하였다. 이들 두 방식은 조선 초의 가장 이른 시기인 15세기 초까지는 각각 상당히 독자적인 성격과 질서체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5세기 후반으로 넘어가면서 일부 건물들에서 질서가 흐트러지고 두 계통의 수법이 서로 뒤섞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1484년의 개심사 대웅전 상부가구에서는 상부공포대와 유사 공포조직이 서로 상당한 정도로 융합된 결과물이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ystems of purlin-row frameworks in roof structures which include horizontal wood parts under pulins(dori) such as dorijanghyeos(wood strips supporting purlins) and ddeunchangbangs(lintels crossing in the roof structures) in wood buildings of early Joseon period, and their conditions of adapting shapes of gongpo system for structural and ornamental solutions. In dapo type buildings of late 14th and early 15th century, sangbugongpodaes(upper layer of gongpo in roof structures) were structured between dorijanghyeos and ddeunchangbangs, with cheomchas(bracket arm), soros(small supporting wooden blocks) and bokhwabans(decorated wooden board of camel’s hump). In Jusimpo type buildings of early 15th century, horizontal parts under pulins were directly thrusted into the frames of cheomchas, soros and judus(capitals) to form analogues of gongpo systems. In late 15th century, the orders of both methods disturbed and they were fused and transformed drastically in the roof structure of Gaesimsa Daeungjeon.

      • 신속시작체계 정립 방안

        이우종,홍유석,이용한 대한기계학회 1993 大韓機械學會誌 Vol.33 No.4

        이 글은 제품개발과정 중 하나인 시작품 제작과정의 경쟁력 향상 방안을 연구, 조사하였다. 이 글 에서는 시작품 제작과정을 대별하여 비금형방식, 무모델방식, 마스터모델의 복제방식으로 구분 하였으며, 이들 방식의 향후 연구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비금형 방식의 향후 발전성은 신기술인 3차원 인쇄장치의 발전 방향과 그 맥을 같이 할 것이다. 둘째, 무모델방식에 의한 시작품의 제작인바, 이는 제작 정밀도의 우수성 때문에 양질의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중점적으로 설명되어진 복제에 의한 시작금형의 제작은 복제의 기본인 마스터 모델의 제작 정밀도 및 신속성이 각종 NC공작기계 및 3차원 인쇄장치의 발전으로 가능 하여져서 최근에 크게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다.

      • KCI등재

        한국 주심포계 공포의 첨차에 나타나는 초각의 기원 재고

        이우종,전봉희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rigin and meaning of carvings of bracket arms that are the characteristic parts of Korean jusimpo type architecture. For the purpose, I clarify the beginning of carved bracket arms of East Asia, clear up the meaning of double-S curves that were used for carving at bracket arms, and verify the possible period and region of the origin of the double-S carvings of bracket arms. In Korea, there are no extant carved bracket arms before middle Goryeo(高麗) period. However, some bracket units of Northern Qi(北齊) that have concave carvings look similar with the oldest of the extant Goryeo jusimpo type bracket units with double-S carvings. The double-S carvings of Korean jusimpo type bracket arms seem to be developed from the vine shape patterns, such as water plant patterns(藻紋) and arabesque patterns(唐草紋) that was widely used for decorating wooden structures in East Asia. And their shapes were influenced by water chestnut flowerage(菱花飾). Therefore, to emphasize those relationship, I suggest naming them 'Water Chestnut Vine Shape(菱蔓形).' The water chestnut vine carvings on bracket arms were first used at late Silla period and early Goryeo period. Unlike some tentative theories, the origin of water chestnut vine bracket arms cannot be concluded as Fujian, even though we can imagine some relationship among some design factors of the Goryeo jusimpo type architecture and those of Fujian architecture.

      • KCI등재

        조선 후기 영건의궤에 실린 안초공의 기능과 표기법 연구

        이우종,Lee, Woo-Jo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18 건축역사연구 Vol.27 No.4

        This study is focusing on anchogongs(按草工) in yeonggeonuigwes(營建儀軌), which were recorded with few details and in unsettled transcriptions. First, the positions and functions of anchogongs in $18^{th}$ censtury are analyzed by comparing to anchogongs in more detailed early $19^{th}$ century yeonggeonuigwes and those in extant buildings. Second, with the result,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are presumed in changing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in those uigwes. In $18^{th}$ century uigwes, most of anchogongs are functioned as matbo-anchogongs and only four anchogongs in a gate building were used as jongryang-anchogongs. It is mainly because the sorts of buildings in $18^{th}$ century yeonggeonuigwes had only several varieties: most of the buildings belonging royal shrines.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had been changed for reflecting functional developments of anchogongs in $18^{th}$ century. However, reflections were much later than changes of actual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