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리 특징 추출을 위한 효율적인 청각 정보의 표현 방법과 차원 축소에 관한 연구

        이용진,최승진 한국뇌학회 2003 한국뇌학회지 Vol.3 No.1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NMF)과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를 이용한 음성 정보 표현과 특칭 추출 그리고 차원 축소에 관한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하여 non-negativity 조건이 ICA와 같은 non-gaussianity 기반의 방법들에 비해 더 효율적인 음성 표현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간-주파수 영역에 표현된 음성 신호를 PCA와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BPN)를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한 후 조음 위치 분류 실험을 통하여 두 특징 추출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We suggest feature extraction and data dimension reduction for speech signal using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e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non-negativity constraint is more efficient for voice coding than non-gaussianity, which is used in ICA. And We extracted features from voice signal represented in time-frequency domain using PCA and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BPN) and compared two methods through articulation point classification experiments.

      • KCI등재

        자회사의 일반직에 대한 현지화인사정책과 인사관리효과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중국산동성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자회사를 중심으로

        이용진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국제경영에서 글로벌 통합과 현지적응은 핵심이슈 중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국제인사관리연구에서 자회사의 인사관리현지화와 본사와의 표준화통합에 대한 논의도 중요한 연구이슈로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기업의 중국법인들을 대상으로 자회사의 일반직에 대한 현지화인사정책, 관리직에 대한 본사화인사정책 및 인사관리효과성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에 본사를 가지고 있는 중국산동성에 소재한 한국기업들의 자회사 126개 기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회사의 일반직에 대한 현지화인사정책은 인사관리효과성에 직접적인 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고 조직상황으로의 관리직에 대한 본사화인사정책과 자회사의 현지경험은 일반직에 대한 현지화인사정책과 인사관리효과성간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한국기업의 중국자회사에서 일반종업원에 대한 현지화인사정책은 관리직 종업원들에 대한 본사화인사정책에 따라 조직의 인사관리효과성이 높아짐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일반종업원들에 대한 현지화인사정책은 자회사의 현지에서의 경험이 많을수록 조직의 인사관리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추후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adaptation is one of the key issues among international management. Therefore, it is also an important research issues that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localization with integration with headquarters by standardization in subsidiaries. This research studied the relationship among regular employee localized HR management policy, management level headquarter HR management policy, and HR effectiveness. This research used 126 subsidiaries survey data in Shandong province of China. By using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stated as below. Regular employee localized HR management policy isn’t related to the HR management effectiveness, while management level headquarter HR management policy is proved to be valid to effectiveness. It is also proved that the more localized experience gained the more effective the regular employee localized HR management policy i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proposed research implications in theory and practices, and describ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latter study directions.

      • KCI등재

        Analytical model for mean web object transfer latency estimation in the narrowband IoT environment

        이용진,Lee, Yong-Jin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2015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1 No.1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mathematical model to find the mean web object transfer latency in the slow-start phase of TCP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which is one of the main control techniques of Internet. Mean latency is an important service quality measure of end-user in the network. The application area of the proposed latency model is the narrowband environment including multi-hop wireless network and Internet of Things(IoT), where packet loss occurs in the slow-start phase only due to small window. The model finds the latency considering initial window size and the packet loss rate. Our model shows that for a given packet loss rate, round trip time and initial window size mainly affect the mean web object transfer latency. The proposed model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mean response time that end user requires in the IoT service applications. 본 논문은 TCP 혼잡제어 메커니즘의 슬로우-스타트 단계에서 웹 객체의 평균전송 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제안한다. 평균 지연은 네트워크의 종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중요한 서비스 품질이다. 제안하는 모델의 적용대상은 작은 윈도우 크기로 인해 패킷손실이 슬로우-스타트 구간에서만 발생하는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와 대역폭이 작은 사물 인터넷을 대상으로 한다. 모델은 초기 윈도우 크기와 패킷 손실률을 고려하여 지연시간을 구한다. 제안한 모델은 주어진 패킷손실에 대해 라운드 트립 타임과 초기 윈도우 크기에 따라 주로 영향을 받게 되며, 종단 사용자가 사물 인터넷 응용 서비스에 요구하는 응답시간을 추정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 SCOPUSSCIEKCI등재

        두개강 내로 파급된 여자에서 발생한 비인강 혈관 섬유종 1예 보고

        이용진,김동규,심보성,지제근 대한신경외과학회 198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9 No.1

        Juvenile nasopharyngeal angiofibroma is a histologically benign, but clinically troublesome neoplasm occuring in adolescent makes. This neoplasm is a basically otolaryngeal disease, but at times makes problem in neurosurgical department because of intracranial extension. This neoplasm is diagnosed by history, clinical feature, cerebral angiography, and C.T. scan. But at present time there remains controversy in adjunctive surgical therapy and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this tumor. In spite of controversy in treatment, in the case of intracranial extension, many authors agree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radiation therapy. We experienced a case of nasopharyngeal angiofiboma with intracranial extension which occured in female patient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 SCOPUSSCIEKCI등재

        천미추부의 기형종 1예 보고

        이용진,정희원,최길수 대한신경외과학회 1978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7 No.2

        Sacrococcygeal teratoma should he differentiated from low-lying meningocele or anteriorly-locating meningocele in sacral region in nenrosurgical field.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sacrococcygeal teratoma in a 5day-old girl.

      • SCOPUSSCIEKCI등재

        외상성 뇌실질내 출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용진,홍순기,변진수,허철,김헌주,한용표 대한신경외과학회 1994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3 No.1

        This retrospective analysis shows 87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our department of neurosurgery due to traumatic intracerebral hemorrhage(TICH) from June, 1990 to May, 1992. Our analyses were performed according ta the patients' age, sex, operation, initial GCS, serum glucose level. platelet counts,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rterial C02 and 0 2 level. Follow-up CT scans were performed post-operatively lday, and 2weeks after the operation and in the cases that newly neurologic deficit were developed or patients were not improved neurologically. The TICHs were located mainly on the frontal and/or temporal lobe(74%)), and increased after craniotomy(68.6% ). Other risk factors increasing the hematoma volume were poor neurologic status(GCS, (7) at admission, low PaCO₂(8OmmHg) and high PaC0₂(&45mrnHg) level. The remaining factors, such as serum glucose level, number of platelets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did not influence the change of intracerebral hemorrhage.

      • KCI등재후보

        사물인터넷에서 객체전송지연을 계산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링 및 휴리스틱 알고리즘의 개발

        이용진,Lee, Yong-Jin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0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6 No.3

        This paper aims to integrate the previous models about mean object transfer latency in one framework and analyze the result through the computational experience. The analytical object transfer latency model assumes the multiple packet losses and the Internet of Things(IoT) environment including multi-hop wireless network, where fast re-transmission is not possible due to small window. The model also considers the initial congestion window size and the multiple packet loss in one congestion window.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at the lower and upper bounds of the mean object transfer latency are almost the same when both transfer object size and packet loss rate are small. However, as packet loss rate increases, the size of the initial congestion window and the round-trip time affect the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mean object transfer latency. 본 논문은 평균 객체 전송 지연 시간에 대한 기존의 모델들을 하나의 프레임워크로 통합하고 실제 계산 경험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석적 객체 전송 지연 시간 모델은 다중 패킷 손실과 작은 혼잡제어 윈도우로 인해 빠른 재전송이 불가능한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를 위시한 사물 인터넷(IoT) 환경을 가정한다. 이 모델은 또한 초기 혼잡 윈도우 크기와 하나의 혼잡 윈도우에서의 다중 패킷 손실을 고려한다. 성능평가에 의하면, 전송 객체 크기와 패킷 손실률이 작은 경우 평균 객체 전송 지연의 하한값과 상한값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패킷 손실률이 커지면 초기 혼잡 윈도우의 크기와 왕복 시간이 평균 객체 전송 지연의 상·하한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