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축광 노면표시의 재귀반사도 및 휘도 성능 평가에 대한 연구

        이용문,김경수,김상태,김흥래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교통안전시설물은 도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전에 전달하고, 또한 행동을 동일하게 통제함으 로서 도로상의 안전 확보 및 교통 소통을 증진하는 시설이다. 교통안전시설 중 선으로 표시하는 중앙선, 구분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에게 진로 및 도로선형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운행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야간에 차선이 보이지 않아 운전자들의 야간 주행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야간 주행 문제는 최근 3년간 야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체 사망자 수의 52.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노면표시의 시인성은 자동차 전조등에서 나오는 빛을 유리알에 의해 재귀반사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유리알에 의한 재귀반사는 전조등 거리 에 따른 시인거리에 한계가 있고, 전조등 빛이 닿지 않는 구간인 굴곡이 심한 산지부 도로나 커브가 있는 회전구간에서 시인거리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해외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축광 노면표시는 재귀반 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조명시설이 부족한 구간에 설치 시 야간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 다. 하지만, 대부분 축광에 의해 도료 자체에서 방출되는 빛만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는 기술로 자동 차의 전조등이 비추는 영역에서는 축광에 의한 시인성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자동차 전조등이 비추는 근거리에서는 재귀반사를 통한 시인성을 확보하 고, 원거리에서는 축광에 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축광 노면표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을 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유리알 성능과 노면표시 두께에 따른 축광 노면표시의 재귀반사도 및 휘도 성능을 비교・분 석하였고,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축광 노면표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재귀반사와 휘도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노면표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축광 노면표시 의 색도는「KS M 6080」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축광 노면표시의 건조상태 재귀반사 실험 결과,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 살포시 경찰청 재귀반사 기준인 240 mcd/(㎡・Lux)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습윤상태 재귀반사 실험 결과도 유리알 1종 1호를 제외한 유리알 1종 3호와 2종 1호를 살포 한 축광 노면표시 시편은 경찰청 우천시 재귀반사 기준인 100mcd/(㎡・Lux)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따라 축광 노면표시에서도 유리알 살포시 자동차 전조등에 의한 재귀반사로 근거리 시인성 확보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축광 노면표시는 일반 노면표시에 비해 유리알을 살포하지 않아도 도료 자체적으로 건조상태 재귀반사 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축광 노면표시 도료가 자체적으로 빛 을 발산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 살포시 축광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 고, 유리알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휘도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광 노면표시의 두께가 두 꺼워질수록 휘도가 증가하긴 하지만 일정수준 이상으로 두께가 증가할 경우 축광 성능이 포화되어 더 이 상 휘도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소형 차선도색 자동화 장비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이용문,김상태,김흥래,최기주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4

        In order to improve the nighttime visibility of the lan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ed line marking equipment is on the 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ology that can be assessed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productivity, safety and quality performance of line marking equipment an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erformance of hand-operated and automated equipment based on field test.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It suggested a methodology capable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line marking equipment in terms of productivity, safety and quality. Automated equipment for line marking was analyzed that can be obtained productivity achievement rate of 156.3% as compared with hand-operated equipment. On the basis of the expert advise and literature review, we derived twelve safety factors and ten quality factors of unit work in line marking. By utilizing the AHP technique, we estimated the importance of safety and quality factors. Automated equipment for line marking was analyzed to have been able to expect safety improvement rate of 49.8% and quality improvement rate of 47.2%. It is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analyzing objective and quantitative validity and expected effectiveness of the line marking equipment. 차선의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차선도색 자동화 장비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차선도색 장비의 성능을 생산성, 안전성 및 품질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현장실험을 바탕으로 수동식 장비와 자동식 장비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선도색 장비의 성능을 생산성, 안전성 및 품질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제시하였다. 생산성 측면에서 차선도색 자동화 장비는 기존 수동식 장비와 비교하여 156.3%의 생산성 달성비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가 자문 및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차선도색 단위작업의 안전성 요인 12개와 품질 요인 10개를 도출하였다. AHP 기법을 활용하여 안전성 및 품질 요인별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안전성 및 품질 측면에서 자동화 장비 개발로 인한 성능평가 결과, 안전성 향상률 49.8%와 품질 향상률 47.2%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능평가 방법론을 통하여 차선도색 장비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개발타당성 및 기대효과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Poorly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with Gross Internal Jugular Vein Invasion and Multiple Lung Metastases

        이용문,박재현,최준정,배금석,강성준 대한갑상선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Vol.8 No.1

        A rare case of poorly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PDTC) with gross intraluminal invasion to the internal jugular vein whose clinical manifestation was multiple lung metastases is described. A 66-year-old man was referred to the outpatient clinic of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emato-oncology subdivision for multiple lung nodules found by his regular health check-up. These lung nodules showed variable sizes with irregular shapes, and typical distributions throughout the parenchyma, which were consistent with metastatic nodules. Ultrasonography revealed a 4.5 cm sized hypoechoic mass with irregular shape in his left thyroid lobe and a huge thrombus in the left internal jugular vein. PDTCs associated with gross intraluminal invasion to the great cervical vein and multiple lung nodules as their first clinical manifestation are extremely rare. We w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operative detailed evaluation of the disseminated disease by ultrasonography in suspected patients.

      • SPME를 이용한 저먼캐모마일과 감국 꽃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이용문,정섭,안송희,양진호,김동원,안민실 한국약용작물학회 2018 한국약용작물학술대회 발표집 Vol.2018 No.10

        Background : Matricaria recutita and Dendranthema indicum are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and they are used as processed food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s a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lowers during cultiv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smetics using M. recutita and D. indicum.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October, 2017 at Unbong-eup (500 m above sea level) in Namwon, Jeollabuk-do. M. recutita and D. indicum were planted in late May. Then, flowers were collected in October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analyzed by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 method. Samples of flowers for component analysis were weighed in 0.4 g each and placed in a 20 ㎖ vial. GC/MS was used with Agilent Technologies 7890A/5975C (Agilent, USA). Column and carrier gas were DB-5MS (30 m × 0.25 ㎜ × 0.25 ㎛) and helium ga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 recutita flowers, we identified a total of 24 components. The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mono terpenes and ketones. The main compounds were β-ocimene (24.08%), artemisia ketone (22.82%), γ-terpinene (16.65%), cis-3-hexenyl isovalerate (3.92%), artemisiatriene (3.72%) and O-cymene (3.4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D. indicum flower, we identified 33 kinds of ingredients. The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The main compounds were sabinene (19.67%), trans-oiperitol (13.22%), α-phellandrene (10.05%), myrcene (7.53%), cineole (4.36%), α-terpinene (3.60%) and trans-ocimene (3.57%). Conclusion : We identified 24 flavor components and 33 flavor components in flower of M. recutita and D. indicum, respectively. Eight of the identified or estimated compounds were common to both samples. The reason why the flavor components kinds of M. recutita flowers were few was thought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collection time. The main flowering period of M. recutita and D. indicum were May and October, respectively, but the use of the samples collected in October seemed to have influenced.

      • KCI등재

        Superior Bonding Properties of Dissimilar Steel Joint Produced by Electroslag Remelting

        이용문,이태경,김병홍,이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 2015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1 No.6

        The joining of dissimilar steels, called clad steel,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recently due to its good material performances and productivity. The present work utilized an electroslag-remelting (ESR) process to join dissimilar carbon and stainless steels with enhanced bonding properties.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bonding properties of the developed ESR-clad steel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to those of other clad steels manufactured by conventional methods, including hot roll-bonding and weld overlay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developed alloy gradually changed within the bonding layer; this change is discussed in light of the phase transformation and fracture behavior. The ESR-clad steel had much higher bonding strength compared to the other steel joints in shear testing. Such an improvement in the bonding properties was attributed to the defect-free interface and low residual stress in the graded bonding layer of the ESR-clad stee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