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국민안전의식지수(PSCI) 및 응급상황대처 자기효능감에 대한 안전교육 효과

        이옥철(Og cheol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지수와 응급상황대처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 전체학과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한 63명이었으며, 실험처치로 심폐소생술을 포함하여 25시간의 안전교육이 제공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국민안전의식지수(Public Safety Consciousness Index, PSCI) 측정도구와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응급상황대처에 대한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한 t-test, 분산분석, 그리고 R version 3.02를 이용한 모비율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민안전의식지수는 평균점수 59.20에서 67.20점으로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등급의 평균은 보통등급에 속하나, 우수등급 해당자가 3배 이상 증가하는 등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응급상황대처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평균값은 51.16점에서 80.9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응급상황 시 가족(100%)과 타인(76.2%)에게 심폐소생술을 제공할 의향에서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응급상황대처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 안전교육이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은 안전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 안전의식 수준을 우수등급을 달성하도록 권장할 것과, 정부는 PSCI 측정도구의 개선과 생애주기별 안전교육맵을 개발하고, 안전교육의 성과관리를 체계화 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on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self-efficacy of the emergency response i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design was single group, pre- and 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63 students who were given 25 hours of safety education inclu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The instruments were the Public Safety Consciousness Index(PSCI) and self-efficacy index.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d ANOVA using SPSS 21.0 program, and 1-sample proportions test using the R version 3.0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ercentile score of PSCI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9.20 to 67.20 which is moderate level. After receiving safety education, one third of the participants were promoted from moderate to excellent level. The average percentile score of the self-efficacy of emergency respons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1.16 to 80.95. The willingness to provide CPR to family(100%) and others(76.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safety education raises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the emergency response. Universities are recommended to provide safety-related subjects to encourage students to attain the excellent level of the PSC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renew the PSCI tool, develop a life-cycle specific map for safety education, and provide a monitoring system.

      • KCI등재

        다중이용시설 근무자의 안전의식 및 응급상황 대처능력의 영향요인

        황경희(Kyung Hui Hwang),이옥철(Og Cheol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8

        본 연구는 국내 다중이용시설 근무자의 안전의식 및 응급상황 대처능력의 수준과 영향요인을 파악 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 3개 대도시에 위치한 공항, 지하철, 쇼핑센터, 버스터미널등 4개 다중이용시설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임의추출 하였으며, 최종 200명(남자 53.3%, 여자 46.7%) 의 응답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의식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응급상황 대처능력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안전의식과 응급상황 대처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변수에 대한 영향요인은 안전의식의 경우 시설과 학력이었으며, 응급상황 대처능력의 경우 시설, 성별, 응급 처치 교육여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다중이용시설의 정기적인 안전교육과 전 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응급처치 훈련 프로그램 제공은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중이용시설 근무자의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과 각각의 시설 및 시설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어질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of public facility employees and the relevant influencing factors.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at airport, subway, shopping center, and bus terminal located in three big cities in Korea. Analysis of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200 responden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was above moderate, while their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was relatively low. The higher safety awareness, the higher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afety awareness were facilities and education, whereas those affecting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were facilities, gender, and first aid training. In conclusion, regular safety education and first aid training for all employees can improve the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of public facility employees.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develop a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assessment of the specific needs of public facility workers.

      • KCI등재

        재외동포의 미충족 의료 현황 분석

        윤연(Yun, Yeon),이옥철(Lee, Og-Cheo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의 미충족 의료의 유형을 탐색하고, 재외동포 보건의료지원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서 문헌고찰, 선진사례 방문, 초점집단인터뷰, 재외동포 단체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동포단체는 34개국, 86개 단체였다. 분석결과, 재외동포의 미충족 의료 유형은 ‘국가보건서비스 기반 선진국형’, ‘국가보건서비스 기반 개발도상국형’, ‘건강보험기반 선진국형’, ‘건강보험 기반 개발도상국형’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건강소외계층은 유형과 관계없이 무의탁 노인, 다문화가정, 저소득층 및 불법체류자로 확인하였다. 재외동포가 원하는 보건의료지원은 순회진료팀 파견, 건강소외계층 지원, 모국의 선진의료기술 공유, 모국의 건강보험 가입자격 확대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외동포 대상보건의료지원 사업전략으로서, 첫째, 사업 대상자를 선택과 집중에서 보편적 사업으로 전환할 것, 둘째, 동포참여형 사업에서 동포주도형 사업으로 운영자립도를 넓혀 갈 것, 셋째, 개발도상국 ODA 사업과 연계하여 수혜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 등을 전략으로 삼을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es of unmet healthcare needs of overseas Koreans over the world, and to suggest strategies of the healthcare support for them. In the study, literature review, visiting successful cas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online-survey were implemented. The survey was answered by 86 overseas Korean groups from 34 different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types of unmet healthcare needs of overseas Koreans were categorized into ‘National Health Service (NHS)-based Advanced Country Type’, ‘NHS-based Developing Country Type’, ‘Health Insurance-based Advanced Country Type’, and ‘Health Insurance-based Developing Country Type’. Regardless of the type, the health underprivileged were identified to be the elderly alone, multi-cultural family, low-income class and illegal immigrants. Also they desired the motherland to support the unmet healthcare need by dispatching mobile medical teams, caring the health underprivileged, sharing advanced medical technology, extending qualification criteria of health insurance.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o expand the scope of healthcare support beneficiaries, to facilitate the participatory healthcare support system, and to expand the scale of benefits in connection wit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for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