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및 산욕기의 신우신염

        이영희(YH Lee),박채원(CW Park),변명현(MH Byun),우복희(BH W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6

        본 이화대학 산부인과 교실에서는 1972년 1월 1일 부터 1976년 5월까지 4년 5개월간 입원한 산과 환자 7,122명중 신우신염을 병발한 환자 90명에 대한 임상적 연구 관찰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신우신염의 발생빈도는 총 환자중 1.26%를 정하였고 그중 임신부에선 0.8%, 산후엔 0.46%였다. 2. 원인적 소인 : 연령적으로 26세에서 30세 사이에 제일 많았으며(54.0%), 분만 횟수별로는 초산부에서 많았고(51%), 임신기간별로는 중기 및 말기에 갈수록 많았으며(54%) 기왕력에서 과거 도뇨를 받은자에게서 많았음이 주목되었다(35.6%). 3. 주요 원인균은 E. coli 및 Coliform organism이었고(47%) 다음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25%)가 많았다. 4. 임상증세는 대부분(70%) 고열, 오심, 구토, 신장부위압통 및 세균뇨를 정하였고 부 위적으로는 우측이 많았으며 일일중 고열 발생시간은 오후 8시경에 평균 38.5℃이상의 최고열을 나타냈다. 5. 조산율은 7.4%로써 대조군에 비하여(10.5%) 오히려 낮았다. 6. 치료는 E. colil 및 Coliform organism인 경우 Ampicillin, 다량의 penicillin G 또는 Sulfa제로써 평균 7∼8일 내에 호전되었으며 Staphylococcus aureus 및 기타균에 의한 감염도 비슷한 약제로 평균 6∼7일 내에 호전되었으며, 대조군은 Chloromycetitin Streptomycin 등의 사용군에 비하여 오히려 치료기간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었다. 7. 합병증 : 자연유산 3명은 임신 각각 10, 12, 16주에 신우신염 병발로 초래됐고 조산 그예는 임신 34∼37주때 병발됐으며 태아사망은 1예로써 임신 34주때 태반조기 박리를 동반한 사산이었으며 산모사망은 없었다. 8. 재발은 90명중 3명으로써 3.3%였는데 이들은 불완전한 항생제 투여로 인한 재발이 었다. 9. 요컨데 완전 치유를 위해서는 일단 임상 증상이 호전되고 평열이 된 후에도 상당 기간동안 계속 사후 관찰을 하면서 적어도 2∼3주 이상의 잔유기 치료로써 기대할 수 있었다. Acute pyelonephr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medical complications of pregnancy. Not only is this disease an important cause of maternal morbidity, but the acute disease may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natural history of chronic pyelonephrit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linical importance of pyelonephritis during pregnancy, the frequency of pyelonephritis, and its relationship to prematurity. Major causes of neonatal mortality are preexisting factors such as previous catheterization, urinary tract disease, preeclampsia, and anemia during pregnancy, culture, sensitivity test, and treatment. Clinical observations were accomplished on 90 cases of acute pyelonephritis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53 months period from Jan. 1, 1972 to May 31, 1976.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incidence of pyelonephritis during pregnancy and puerperium was 1.26%. 2. The frequency of pyelonephriti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and was highest at the age of 26-30 (54.4%). It was most common in primipara (51%) and was more common i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 (54%). The major preexisting factors were instrumentation (35.6%), urinary tract disease, and preeclampsia in that order. 3. The most significant organisms found in the pyelonephritis were colifoum organisms (47%), and of these, E. coli was the most predominant. 4.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s were high fever, chills, flank pain and tenderness, nausea, vomiting, and bacteriuria. The disease, when unilateral, was more frequently right-sided and initial high fever (above 38.5℃) was usually seen in the late afternoon and evening(8PM) 5. There did not seem to be an increased tendency of prematurity in the offspring of pyelonephritis patients (incidence of 7.4%). 6. In treating active pyelonephritis particularly during pregnancy, parenterally administered ampicillin (2gm/day, I.V or I.M.) was probably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ost of the clinical symptoms disappeared within seven to eight days. 7. Complications; There were 3 cases of spontaneous abortion in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and 1 stillborn case which accompanied abruptio placenta totalis at the 34 week point of pregnancy. 8. Recurrence; There were three cases of recurrence (3.3%) and those had had inadequate antibiotic treatment previously. They were cured after 3-4 weeks of further antibiotic treatment. 9. For complete cure, at least 2 to 3 weeks of further antibiotic treatment and follow up were needed after clinical improvement.

      • KCI등재

        산과영역에 있어서의 패혈증

        안정자(JJ Ahn),이영희(YH Lee),유한기(HK Y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2

        본 이화여자대학교 산부인과에서 1968년 1월 1일부터 1971년 12월 31일까지 약 4년간 입원 가료한 패혈증 환자 25예를 임상적으로 분석 관찰하였다. 1) 배혈증의 발생빈도는 총분만, 유산 및 부인과 입원 환자 9604예 중 25예(0.26%)였다. 2) 감염의 원인적 요소는 산후에도 약 48% 발생되었으나 bougie 삽입(7예, 28%) 및 소파중 절술 등(5예, 20%) 부적당한 임신초기 및 중기 중절술이 반수 이상인 점이 주목된다. 3) 임신중절 시술자 별로 보면 비전문의에서 소파술 후와 bougie 삽입 후 온 것이 약 반수 로서 주목된다. 산과전문의가 취급된 것은 오직 정상산후 또는 가정분만 후에 입원한 환자 들에 불과하다. 4) 패혈증으로 인한 합병증은 쇼크 및 황달, 패혈성폐렴, 급성신부전증 및 폐농상 등이 각각 1예였다. 5) 패혈증 25예 증 2예가 사망되었는데 각각 쇼크와 황달 및 급성신부전증에 기인됐다. 6) 항생요법은 산과전문의에 의하여 분만된 환자들은 대부분 1일 penicillin G 2,000만 단위 및 S-M 1gm 정도 1주일 전후하여 잘 치료되었으나 비전문의에 의해서 거쳐온 bougie 삽 입 또는 임신중절 환자들은 1일 penicillin G. 4000-6000만단위 및 S-M 1gm예 이외에 독성 이 강한 Kanamycin, colimycin 기타 수종의 항생제를 첨가 사용해야 했으며 치료기간도 11 일-30일-107까지 장기간을 요했다. 항생제 치료가 4-5일 내에 반응이 없든지 혹은 쇼크의 증세가 시작될 때는 지체하지 않고 수술요법함이 현명하다. Sepsis in obstetric field remains of major importance because of persisting high mortality rate.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and treatment remains controversial. Twenty five cases of sepsis who were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during last 4 years were reviewed clinicall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sepsis were 0.26% of the total obstetric cases admitted. 2)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infection were improper D&E(28%) and bouhination (20%) respectively. 3) Septic pneumonia, acut renal failure and fung abscesswere the main complication of the sepsis. 4) There were 25 patients with sepsis and 2 died (8%) due to septic shock. 5)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and treatment of sepsis wer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discussed.

      • KCI등재

        제왕절개자궁적줄술, 10년 고찰 50례

        변명현(MH Byun),이영희(YH Lee),박채원(CW Park),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1

        1. 제왕절개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 총수 50명중 대부분(96%)이 응급을 요한 수술이었다. 그들의 적응증은 자궁파열이 15명(30%)으로서 약 과반수를 점하였고 그외 지혈 불가능한 쿠베레어자궁을 동반한 태반조기박리가 10명(2%), 지혈 곤란한 전치태반이 9명(18%), 유착태반이 9명(18%), 기타 이완성자궁출혈이 3명(6%) 등이었다. 2. 심한 출혈이나 shock 상태로 입원한 환자 즉 자궁파열 2명, 쿠베레어자궁 3명, 전치태반 3명, 유착태반 2명 등은 5 pint에서 24 pint 평균 8 pint의 다량 수혈을 요할 정도의 위독한 환자였으므로 이들은 모두 질상부자궁적출술(subtotal hysterectomy)이 적용되었다. Shock 상태가 아니거나 경한 출혈환자로서 비교적 위독하지 않았던 환자들 9명 즉 자궁파열 6례, 유착태반 1례, 자궁 출혈 1례, 자궁근종 1례에 대하여는 거의 다 자궁전적출술을(total hysterectomy) 시행하였다. 3. 수술후 합병증은 대부분(78%)이 아무런 합병증이 없었으나 방광손상이 2례(4%) 있었는데 즉시 봉합으로 잘 치유되었으며 복부 창상감염이 14% 있었고 그외 골반농양 및 뇨로감염도 소수(각각 4%) 있었다. 4. 산모사망은 1례(2%)가 있었는데 제왕절개반흔파열을 위한 제왕절개자궁적출술 후 골반농양 및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이 환자는 전형적인 제왕절개술을 받은데 기인되었다는 점이 주목되므로 하절절개술 방법이 전형적 제왕절개술보다 더욱 강조되며 과거 전형적 제왕절개술을 받은 환자는 진통전에 반복 제왕절개술을 받도록 미리 교육되어 있었어야 할 것이다. Cesarean hysterectomy was originally devised to prevent post cesarean infection and hemorrhage and to lower the maternal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the operation. Reputedly, it was first performed by Porro in 1876, and is still a first choice procedure in various life threatening obstetrical complications. In this study the outcome of the 50 cases of cesarean hysterectomies performed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during 10 year period from Jan. 1965 to Dec. 1975 is discussed and evaluated.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ing. In total subject of 50 cases in this series, the majority(96%) of them needed immediate emergency operations. The subject were 15 cases(30%) of uterine rupture, 10 cases(20%) of couvelaire uterus with uncontrollable bleeding, 9 cases(18%) of placenta previa with uncontrollable bleeding, 4 cases of placenta accreta, 4 cases of placenta increta, 1 case of placenta percreta and 3 cases of uterine atony. Patients with severe bleeding and state of shock such as placenta previa(3 cases), Couvelaire uterus(3 cases), Uterine rupture(2 cases), adherent placenta(2 cases) were transfused with 5 to 24 pints(average 8 pints) of whold blood during the procedure and most of these patients were treated well by means of subtotal hysterectomies. Patients with minimal bleeding without any sign of shock(9 cases) received less than 1000cc of blood underwent total hysterectomies. The best operative procedure is to be individualized based on the extent of injuries and degree of hemorrhagic shock.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is shorten the duration of operation and anesthesia as possible so that to avoid the unnecessary adding the surgical as well as anesthetic shock to the danger of life threatened. In two thirds of total patal patients(76%) there were no complications post operatively. There were 24% of wound infections pnstoperatively, 2% of pelvic abscess and urinary tract infection respectively and 2 cases of bladder injury during procedures. However, bladder injuries were repaired by sim

      • KCI등재

        자연조기파막 482예

        박채원(CW Park),이영희(YH Lee),변명현(MH Byun),안정자(JJ Ahn),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6

        1972년 1월 1일부터 1975년 12월 31일까지 만 4년간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총수 6290예중 자연조기파막 482예를 임상적으로 분석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연조기파막의 발생빈도는 7.7%였다. 2) 조산의 빈도는 17.6%로서 경산부에서 많았으며(26.5%) 초산부(12.3%)보다 약 2배로 높았다. 3) 모체측에 합병된 질환은 23.6%로서 이중 임신중독증이 13%로 약 반수를 차지했다. 4) 파막후 24시간 이상을 초과한 환자는 산모측의 산후발열이 시간에 정비례하여 높았다. 동시에 신생아의 이환율도 높았으므로 가급적 조기파막된 임부는 24시간내에 분만시키는 것이 좋다. 5) 신생아의 이환율 및 주산기 사망율(교정사율(corrected death rate)은 4.6%)은 분만전 항생제치료로서는 개선시킬 수 없었다. 6) 그러나 파막직후 또는 입원즉시에 투여하기 시작한 예방적 항생제치료는 산모의 이환율 및 재원치료소요기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The management of spontaneou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is still remain controversial as far as the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or timing of delivery is concern. The data presented here are based on the 482 cases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mong 6290 deliveri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 1972 to December 31, 1975. The policy of delivery, maternal and newborn morbidity and the effect of prophylactic antibiotics treatment were discussed.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as 7.7% or 482 cases of 6290 deliveries. 2) The incidence of prematurity was 17.6% and it was figured that twice in the multiparas(26.5%) than in the primiparas(12.3%). 3) The associated maternal disease was 23.6% of the cases in th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nd the main maternal disease was toxemia of pregnancy(13%). 4) Postpartum maternal fever and newborn morbidity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of th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articularly when it exceeded over 24 hours. It is our experienced that the optimal delivery should be accomplished within 24 hours after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s possible. 5) Even with regular antepartum antibiotic treatments in the cases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ny changes or reduction of the newborn morbidity or perinatal mortality could not be expected. 6) When prophylactic antibiotics treatment was used, the maternal morbidity and duration of antibiotics treatment needed in postparum were reduced markedly.

      • KCI등재

        난소임신의 1예

        김성자(SJ Kim),김순병(SB Kim),이영희(YH Lee),유한기(HK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1

        1) 난소임신의 1예를 보고한다. 2) 난소임신의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Ovarian pregnancy is rare in ectopic pregnancy. A case of ovarian pregnancy was reported and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was made.

      • KCI등재

        임신 3 기 경증자간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저용량 Aspirin의 치료 효과

        이영희,이종민,이지성,김용욱,서명덕,정소용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자간전증 및 자궁내 태아 발육부전을 예방하기 위한 저용량 aspirin 치료는 임신초기 에 고위험 산모를 대상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임신초기에 고위험 산모를 선별하기 위해 수많은 예측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알려진 선별검사의 한계성 때문에 저용량 aspirin 예방용법은 많은 자간전증 산모를 대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고위험 산모가 아닌 경증 자간전증의 증상과 징후가 발현된 임신 3기 의 산모를 대상으로 저용량 aspirin이 중증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을 감소시키고, 임신 예후를 개선시키는지 연구함으로써 저용량 aspirin이 자간전증으로 진단된 산모를 대상으로 치료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가천의과대학부속 길병원 산부인과에 경증 자간전증으로 입원한 28주에서 36주사이의 초산모 94명을 대상으로 그중 무작위적으로 48명에게 60 ㎎의 aspirin을 투여하고 나머지 46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치료군과 대조군의 분만시 평균 임신주수는 36.0±2.7주, 36.7±2.1주이었고 평균 혈압은 수축기 153.13±1, 150.65±1 mmHg, 확장기 101.67±7, 99.78±8 mmHg 이었으며 중증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은 37.5%, 34.8%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gt;0.05]. 신생아 체중은 각각 2311±733, 2415±505 gm이었으며 5분 아프가 점수는 8.1±2, 8.2±2이었고 태아발육부전은 41.7%, 41.3%로 주산기 예후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결론: 경증 자간전증 산모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저용량 aspirin이 중증 자간전증의 진행 및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에 대한 예방적 효용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저용량 aspirin은 임신 1기 및 2기에 임상증상이 발현되기 수주전에 투여해야 자간전증의 발생을 막고 임신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Low-dose aspirin therapy is recommended as prophylaxis in women at high risk for preeclampsia. This study made to determine whether low-dose aspirin reduces the number of women who develope to severe preeclampsia, and whether it reduces perinatal mortality and improves birth weights in pregnant women who develope the symptom and sign of the mild preeclampsia. Methods: Ninety-four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antenatal clinics at Gil medical center with mid preeclampsia at 28 to 36 weeks gestation and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60㎎ of aspirin or none. Results: The mean blood pressure values [systolic 153.13±1 vs 150.65±1 mmHg, diastolic 101.67±7 vs 99.78±8 mmHg], the rates of development of severe preeclampsia [37.5% vs 34.8%], the gestational ages at delivery [36.0±2.7 vs 36.7±2.1 weeks], newborn body weights [2311±733 vs 2415±505 gm], 5-minute Apgar scores [8.1±2 vs 8.2±2], and fetal growth retardation[41.7% vs 41.3%] were similar in the low-dose aspirin treated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low-dose aspirin is not curative in reducing development of severe preeclampsia and in lowering fetal growth retardation, but it is essential to a preventive treatment for high risk patients which, in order to be effective, should be started weeks before clinical signs of preeclampsia are present.

      • KCI등재

        초음파로 산전 진단된 선천성 공장폐색증 2 예

        최유덕,이영희,김광준,김휴,정소영,서명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5

        선천성 장폐색증은 5,000분만당 1건정도로 발생되는 비교적 드문 기형이다. 지속적인 산전 초음파 검사에의한 장폐색증의 조기 진단은 생후 수술적 교정으로 좋은 예후를 갖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산전 초음파로 공장 폐색증을 진단하고 출생 후 조기에 수술적 교정을 시행한 2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intestinal atresia is a relatively rare lesion, occuring in one of 5,000 births. Fetus with congenital intestinal atresia, which often allows a good quality of life after the postnatal surgical correction, largely benefit from the serial prenatal sonographic examination. We experienced 2 cases of jejunal atresia diagnosed by prenatal ultrasonography, so we present with brief reviews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임신오조증 환자에서 발생한 갑상선기능항진증을 동반한 Wernicke 뇌병증

        제구화,김현호,이영희,황태영,곽재환,하정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9

        Wernickes encephalopathy occurred during prolonged intravenous glucose treatment in patients with hyperemesis gravidarum. Delay in diagnosis caused a protracted illness and persisting neurologic deficits in the patient. Because of its association with chronic alcoholism, the possibility of Wernkckes encephalopathy may not be considered early enough, if at all, in other situations. The disease may complicate other neurologic disorders due to nutritional deficiency, but can be prevented by the timely administration of parenteral thiamine. We report a patient with hyperemesis gravidarum aggravated by hyperthyroidism that subsequently developed Wernickes encephalo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