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당국가체제의 역사학, 1949~2023

        이영옥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인문학술 Vol.0 No.12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지난 70여 년이 지나는 동안 정치적 변동은 중국의 역사연구에도 영향을 끼쳤다. 당·국가 체제 아래서 역사학은 두 차례 변화를 겪었고, 지금은 다시 변화의 움직임 속에 놓여있다. 처음 30년(1949-79) 동안 역사연구는 마오쩌둥의 1인 지배가 확립되어가는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라는 이념을 지침으로 삼았다. 그 뒤 개혁 개방 30여 년(1980~2012) 동안 역사연구에서 마르크스주의를 벗어난 전통적 방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론이 시도되었다. 그 뒤 10년(2013~2023) 동안 역사연구는 시진핑 주석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과정에서 국가가 주도하는 방향에 발을 맞추는 경향이 등장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의 권력독점이 마오쩌둥과 같은 1인 지배의 방향으로 나갈지 아직은 예단하기 어렵다. 시진핑 주석은 자신이 주석에 취임하기 전부터 당 간부들에게 역사를 공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당 간부들에게 역사를 공부해야만 “자신의 시야와 포부를 크게 만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가 말한 “자신의 시야와 포부”가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 국가와민족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진핑 주석의 민주주의에 대한 외부의 평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았고, 이미 3연임 전부터 1인 지배의 망령이 부활할 수도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등장했다. 현재 중국의 정치적 변화는 역사연구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역사학계에서는 전통적인 연구방법을 복원하는 것을 비롯하여 서양식 연구방법의 수용 등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었다. 그런데2017년 이후 시진핑 주석이 신시대 중국특색의 사회주의가 전면에 내세웠고, 그 뒤를 이어 2019년부터 이른바 ‘신시대 역사학’이 등장하였다. 그결과 개혁개방 이후 30여 년 동안 정치적 외풍으로부터 그 전 30년보다자유로웠던 상황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신시대 역사학을 주제로 써진글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작성되었고, 당과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는것을 넘어서 시진핑 주석이 했던 말들을 판단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역사학을 비롯한 인문학의 위기라는 말에 관심을 기울이는사람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중국의 당과 정부가 역사학을 비롯한 인문학을 정치에 이용하기 위하여 지원을 하는 상황에 부러움을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학문연구로서 역사학이 생명력을 갖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는 풍토가 마련되어야 한다. 중국에서 대학교 역사교육까지 국정교과서를 사용하게 만드는 상황은 당과 정부가 역사를 정치를 위한 도구로 여기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품게 한다. 현재 중국의 역사학계나 역사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변화의 움직임은 1 인 지배 시대의 불행했던 과거를 생각나게 만든다. 변화가 단순히 일부에그칠지, 큰 파도가 될지 알 수 없다. 한국의 중국사 연구자들이 주의 깊게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there have been two major political changes over the past 70 years, and a third change is underway. During the first 30 years (1949- 1979), political power gradually shifted from the form of a coalition of various forces, including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o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later to the Mao Zedong. After that, Deng Xiaoping’s behind-the-scenes power was used for more than 30 years (1980-2012), and after his death, power was divided, and President Xi Jinping has been concentrating power on himself for 10 years. Despite political changes, the party and state system is maintained in the sense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leads the government and the state. Political changes over the past 70 years have also affected China’s historical research. Under the party and state system, history has undergone two changes, and now it is in the process of change again. For the first 30 years (1949-79), historical research took the ideology of Marxism as a guidelin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ao Zedong’s one- man rule. Over the next 30 years (1980 ~ 2012),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attempted, including traditional methods that deviate from Marxism in historical research. Over the next decade (2013-2023), historical research has shown a tendency to keep pace with state-led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power being concentrated on President Xi Jinping. It is still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President Xi Jinping’s power monopoly will go in the direction of one-man rule like Mao Zedong’s. Even before he took office, President Xi Jinping emphasized to party officials that they should study history. He advised his party officials that only by studying history can he make his vision and aspirations bigger. His vision and aspirations seem to be not for himself but for the nation and nation. However, the external evaluation of the democracy of Xi Jinping was not so positive. Already, there have been voices warning that the specter of one-man rule may be revived even before his third consecutive term.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China,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history of China, including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and the acceptance of Western-style research methods. However, since 2017, President Xi Jinping’s new era of Chinese socialism has come to the fore, and the so-called “History of the New Era” has emerged, and changes have been detected in the situation that has been freer than 30 year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the country. The writings on the historical study of the new era were carried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authors are using the words of Xi Jinping as a basis for judgment. In Korea, fewer and fewer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crisis of humanities, including history. Paradoxically, China’s party and state system is envious situation in which they support humanities, including history, for political use. However, in order for history to have vitality as an academic research,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pport but not interfere. The situation that makes the use of state textbooks from China to university history education raises doubts as to whether the party and state regard history as a tool for politics. The current movement of change in Chinese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reminds us of the unfortunate past of the era of one-man rule. It is not known whether the change will be merely a part or a big wave. It seems that Korean researchers in Chinese history need to look carefully.

      • KCI등재후보

        Development of Laser Ruler in Rigid Laryngoscope

        이영옥,김병철,이정훈,이진춘,이병주,왕수건,노정훈,전계록,신범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1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4 No.4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device that provides a simple, noninvasive method of measuring accurate lesion size while using an endoscope. Methods. We developed a rigid laryngoscope with a built-in laser-ruler using a one-light emitting diode and an acrylic plate. The invention incorporates a built-in laser diode that projects an auto-parallel beam into the optical path of the rigid laryngoscope to form two spots in the field of view. Results. While the interspot distance remains consistent despite changes in focal plane, magnification, or viewing angle of the laryngoscope, projection to an uneven surface introduces certain variations in the shape, and size of the spots,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pots. Conclusion. The device enables a laryngologist to easil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landmarks, as well as the change in real size, and the progressive change of vocal fold lesions in an outpatient setting.

      • KCI등재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 여대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이영옥,안동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이 있는 여대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정신건강(우울, 감정표현불능,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7월 23일부터 2015년 4월 22일까지 주 1회 또는 2주 1회로 회기당 50분으로 총 3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K대학교 2학년 재학 중인 20세 여대생 1명이다. 측정도구는 외상화된 자기체계(TSSS)척도, 정신건강에서는 Beck(1967)의 한국판 우울척도,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와 간이정신건강(SCL-90-R)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척도에 대한 사전, 사후와 추후점수를 반복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 여대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 여대생의 정신건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외상 경험자들에게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정신건강에 있어서 조기에 치료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grative art psychotherapy on the traumatized self-system and mental health(e.g., depression,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of a female college student who experienced the beginning life trauma. The study period spanned from July 23, 2014 to April 22, 2015, and a 50-minute weekly or bi-weekly therapy session was held for a total of 32 therapy sessions. The study subject was a female college sophomore in her 20s attending K University. Measuring tools used in the study included the Traumatic Self-System Scale (TSSS) the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20-Item Alexithymia Scale (TAS-20), and the Symptom Checklist- 90-Revision. Data analyses were used for the pre, post, and follow-up scores measured, and the session details were examined for each phase. Firstly, integrative art psychotherapy had an effect on the traumatized self-system of a female college student. Secondly, integrative art psychotherapy had an effect on her mental health. A follow-up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psychotherapy were sustained even after the termination of therap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efficacy of integrative art psychotherapy in treating the traumatized self-system and improving mental health after experiencing the beginning life trauma. Therefor,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gives a significance for the earliest therapeutic intervention possible in view of the curative value.

      • KCI등재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분석

        이영옥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ception of children's hospitalization stress and to make clear concepts, and to use Walker & Avant's concept analysis method. Children's hospitalization stress attributes were derived from physiological changes, individual-environmental interactions, cognitive and psychosocial developmental stage responses, and intrinsic and outward changes due to coping styles. The prerequisites for hospitalization stress of children were disease severity, biological factors, and support system, and the results were hospitalization adaptation, disease and health recovery, improve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coping skills. In order to solve the prerequisites for Hospitalization stress of children,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disease an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of parent-family. Afterwards, we suggest mor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hospitalization stress of children, the development of tool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ization stress of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olve the Hospitalization stress. 본 연구은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한 개념을 내리고자 시도 되었고,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은 생리적 변화, 개인-환경 상호작용, 인지적,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적 반응, 대처방식으로 인한 내재적, 외현적 변화로 도출되었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선행요인은 질병의 심각성, 생물학적 요인, 지지체계였으며, 결과는 입원생활적응, 질병 및 건강회복, 아동발달 증진, 대처기술의 획득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선행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질병의 인지지각이 되어야 하고 부모-가족의 지지체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후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더 많은 질적 연구와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개발 연구, 입원스트레스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전이성 폐암에 대한 폐절제술의 성적

        이영옥,이응배,유경민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0

        배경: 완전절제가 가능한 고형암의 폐전이에 대한 절제술은 이미 표준화된 치료방법이며, 1997년 International Resistry of Lung Metastases (IRLM)에서 대규모의 연구를 통해 전이성 폐암에 대한 병기설정 및 예후인자에 관하여 제시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전이성 폐암에 대한 수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치료방법의 개선에 따른 생존율 역시 좋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지난 10년간 전이성 폐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치료결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전이성 폐암 환자 89명에 대해서 96예의 폐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이들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생존율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병리학적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나이는 45.9±17.4세(10∼75세)였으며, 남성이 51명, 여성이 38명이었다. 이 중 암종의 폐전이가 55예, 육종인 경우가 30예, 기타 4예였다. 암종 중에서는 대장암이 35예(64%), 육종 중에서는 골육종이 22예(73%)로 가장 많았다. 원발암 치료 후부터 폐절제술까지의 종양자유기간은 평균 29.6±27.9개월(0∼180개월)이었으며, 원발암과 동시에 발견된 경우는 3예(3.4%)였다. 전체 환자들의 3, 5, 10년 생존율은 각각 52.5%, 32.1%, 20.7%였고 중앙 생존기간은 38개월이었다. 재수술은 15예(16.8%)에서 시행하였다. IRLM 제시에 따른 병기별 5년 생존율은 1기 63.5%, 2기 33.3%, 3기 22.1%, 4기 0%였다. 36개월 미만의 종양자유기간, 양측 폐전이, 5개 이상의 전이병소를 가진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았다(p<0.05). 결론: 완전절제가 가능한 전이성 폐암에 대한 폐절제술은 만족할만한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양측의 다발성 전이가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함을 보였다. 하지만 각 종양 별로의 치료성적 및 예후에 관한 보다 많은 경험과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 Surgical resection is accepted widely as the standard therapy for complete resectable pulmonary metastases. The number of cases of pulmonary metastasectomy and its survival rate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herapeutic modalities. We attempted to analyze the survival rate and prognosis factors of pulmonary metastasectomy during the last 10 years.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f 89 patients who underwent 96 procedures of pulmonary metastasectomy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5. The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long term prognosis such as completeness of resection, the type of primary cancer, the disease-free interval, the number and size of metastasis and the laterality were investigated. Result: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The mean disease free interval (DFI) was 29.6±27.9 months and there were 3 cases of synchronous metastasis (3.4%). The overall 3, 5 and 10 year survival rate was 52.5%, 32.1% and 20.7%,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38 months. The 5-year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IRLM appraisal was 63.5%, 33.3%, 22.1% and 0% for stage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Univariate analysis showed a better prognosis for patients with a disease free interval of 36 months or more, unilateral metastasis and 4 or less metastases. Conclusion: The survival rate for completely resectable pulmonary metastasectomy was favorable. The disease free interval, laterality and the number of metastasis were the prognosis factors.

      • KCI등재후보

        十九世紀初福建平和、龍溪、臺灣的官吏與地域社會

        李永玉 한국중국문화학회 2004 中國學論叢 Vol.18 No.-

        19세기초 푸졘(福建) 성 핑허(平和), 룽시(龍溪), 타이완(臺灣) 등의 지역사회와 그 속에서 활동하고 있던 관리들은 중국의 북부와는 다른 모습을 띠고 있었다. 이들 지역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격렬한 계투가 자주 발생하였다. 핑허, 룽시 현은 청조의 통치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이 아주 강하였다. 두 현의 종족은 관청을 자신들의 생존방식에 간섭하려는 훼방꾼으로 여겼다. 일반 백성들은 관청의 세금징수에 저항하였지만, 종족의 횡포에는 감히 저항하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관청의 정책은 임기가 1-2년이었던 지현(知縣)이 바뀔 때마다 바뀌었지만, 종족의 세력은 다소 기복이 있더라도 변함없이 백성들의 생활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었다. 일부에서는 관청의 힘이 약하고 종족의 힘이 강한 상황을 청조의 통치력이 약해진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지역의 계투는 청조의 통치력이 약해졌음을 의미한다기 보다는, 명대 이래 이 지역에서는 종족과 국가 사이에 지속적으로 갈등이 존재하였다고 보는 편이 더 낳을 것이다. 이점은 우리에게 국가가 이들 지역을 19세기초까지 명실상부하게 통치한 적이 있었는가하는 의문을 갖게 만든다. 다음으로, 리겅윈(李賡芸) 사건은 지역신사가 관리들에게 일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겅윈의 결백함을 주장하였던 신사들은 그의 억울함을 기리기 위하여 사당을 건립해야 한다고 호소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잘못을 감추기 위하여 리겅윈의 결백함을 주장하였다. 나중에 이부시랑(吏部侍郞) 시창(熙昌), 부도어사(副都御史) 왕인즈(王引之)가 현지에 왔을 때는 이미 당사자는 죽고 관리는 사임하고 신사들은 원통함을 호소하는 상황이었다. 시창과 왕인즈는 결국 사건의 진위를 조사할 수 없었고, 걸핏하면 일을 크게 만드는 지역신사들을 회유할 수 밖에 없었다. 끝으로, 19세기초가 되면 타이완이 청조의 영토가 된 지도 이미 150여년이 흘렀지만, 현지의 관리들 사이에는 병사들의 모집이나 군량미의 확보를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이러한 논쟁이 벌어진 이유는 19세기초 관리들은 대체로 타이완을 완전한 청조의 영토로 보지 않았고, 반대로 타이완이나 그 주민들을 엄격히 감시해야 할 대상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또한 가경도광(嘉慶道光) 연간이 되면서 타이완의 주민은 이미 200여만명으로 증가하였다. 그에 따라 상인들이 과거처럼 낮은 가격으로 농산물을 매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타이완에 대한 경제적 매력도 차츰 줄어들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