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관련 국내 연구 동향

        이영광,양인준,이승엽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4

        The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parental variables influencing on adolescent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97 journals listed in KCI for the past 10 years from 2010 to 2019 were selected for doing research.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confirmed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of three career education exper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decade, research on parental variables that influence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in adolescents has been on the rise. Second, as the school level increased,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was increased. Third, the selected literatures mainly measured children’s perception rather than parents. Fourth, various parental variables were developed and utilized. Fifth, parental variables were mainly investigated along with adolescent career maturity, career efficacy, career decision and career behavior. Sixth, research and analyse methods were mainly use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eventh, despite of the same measuring tools for analysing parental variables, the researches have utilized variable names, sub-factors, and parental distinctions according to researcher’s intention. Last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약 10년간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 7월까지 약 10년간 KCI에 등재된 학술지 197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분석의 틀을 기반으로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 틀을 수정·보완하였고, 진로교육 전문가 3인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분석 틀을 확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약 10년간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 관련 연구는 증가하는 추세이고, 둘째,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관련 연구 수가 증가하였으며, 셋째, 선정 문헌은 주로 부모보다 자녀의 인식을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약 10년 전과 비교할 때 다양한 부모 변인이 개발·활용 되었고, 다섯째, 부모 변인은 주로 청소년 진로성숙, 진로효능, 진로결정 및 진로행동과 관련 변인과 함께 연구되었으며 여섯째, 연구 방법 및 분석 방법은 주로 변인 간 인과 관계를 검증하는 방법이 활용되었다. 일곱째, 부모 변인의 측정도구는 같은 측정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에 따라 변인 명, 하위요인, 부모 구분 여부 등을 다르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결과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영광,박선영,김진관,kittituch orisoon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3

        The research purpose is to examine the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related to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outcome variables and to clarify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outcome variable by using Meta-analysis. Based on the PRISMA flow chart, 56 journals from KCI and SSCI (28 in domestic and 28 in aboard) were selected. A homogeneity test, a publication bias test, and an effect siz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program developed by Biostatrk. The effect size was interpreted based on the criteria of Cohen (198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tean career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the order of employment possibility,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self-directed, which is a subfactor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in the order of job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ird, value orient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protean career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결과 변인 간 평균 효과크기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56편(국내 28편, 국외 28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미국 Biostatrk 개발한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동질성 검정, 출간 편향 검정, 효과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을 기반으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고용가능성, 주관적 경력성공, 경력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하위요인인 자기주도성은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고용가능성, 경력만족 및 단독 변인으로써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하위요인인 가치지향성은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경력만족과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농학계 대학의 프로젝트 기반 인턴십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영광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qualitative case of a project-based internship in a agricultural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one person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department from a T company, which operated a project-based internship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nd four students from C college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ship.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 college's internship program implementation plan, internship applic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messenger conversatio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Elo and Kyngas(2007).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techniques were us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ject-based internship were a step-by-step and organic process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to create an intern-centered environment. The interns took initiative and actively carried out project tasks, and in the process, they experienced informal learning while interacting with various stakeholders in the company. In particular, during the internship period, they experienced various agricultural industries by experiencing farms and markets as well as offices. The intern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reported that the project-based internship helped to develop self-efficacy, improve their awareness of start-up and agricultural industry, and choose their career path.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농학계 대학의 프로젝트 기반 인턴십에 대한 질적 사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학년도 2학기 프로젝트 기반 인턴십을 운영한 T기업의 인사담당자 1명과 인턴십에 참여한 C단과대학 재학생 4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C단과대학의 2022학년도 하계 인턴십 프로그램 시행 계획과 인턴십 지원서,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담 및 메신저 대화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Elo와 Kyngas(2007)가 제안한 질적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참여자 확인 및 동료검토 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농학계 대학의 프로젝트 기반 인턴십은 인턴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단계적이고 유기적인 산학협동의 과정이었다. 인턴들은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프로젝트 과업을 수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업 내 다양한 관계자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무형식 학습을 경험하였다. 특히, 인턴 기간 동안 기업 사무실뿐만 아니라 농장과 시장을 경험으로써 다양한 농산업 분야를 경험하였다. 연구 참여자인 인턴은 프로젝트 기반 인턴십을 통해 자기효능감 함양, 스타트업과 농생명 분야에 대한 인식 개선, 진로선택에 도움을 받았음을 보고하였다. 상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학부모의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유형과 진로탐색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학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관계

        이영광,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arents'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for their children perceived by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ach typ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To this end, a sample of 418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as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 parents' invol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for their children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parents lack of involvement type, mother support type, parents support type, parents average involvement type, and parents active involvement type. Next, the results of a one-way variance analysis among each typ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the parents excessive involvement type and the parents support type,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pen communication level was high, and in the case of the parents intervention type, the level of closed communication was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e research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학부모의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유형을 구명하고 각 유형과 진로탐색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학부모 자녀 의사소통 간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생 418명의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학부모의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 유형은 부-모 관여 부족형, 모 중심 심리 지지형, 부-모 지지형, 부-모 평균 관여형, 부-모 적극 관여형의 다섯 개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각 유형과 진로탐색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학부모 자녀 의사소통 간 일원분산분석 결과, 부-모 적극 관여형과 부-모 지지형의 경우,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개방형 의사소통이 높았고 부-모 관여 부족형의 경우 폐쇄형 의사소통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