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Heme-binding-mediated negative regulation of the tryptophan metabolic enzyme indoleamine 2,3-dioxygenase 1 (IDO1) by IDO2

        이영관,이훈복,신동미,강민정,이유진,노승주,이재우,이철범,민창기,최은영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4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6 No.-

        Indoleamine 2,3-dioxygenases (IDOs) are tryptophan-catabolizing enzymes with immunomodulatory functions. However, the biological role of IDO2 and its relationship with IDO1 are unknown.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DO2 and IDO1,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expression of human (h) IDO2 on hIDO1 activity. Cells co-expressing hIDO1 and hIDO2 showed reduced tryptophan metabolic activity compared with those expressing hIDO1 only. In a proteomic analysis, hIDO1-expressing cells exhibited enhanced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the cell cycle and amino acid metabolism, and decreased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cell survival. However, cells co-expressing hIDO1 and hIDO2 showed enhanced expression of negative regulators of cell apoptosis compared with those expressing hIDO1 only. Co-expression of hIDO1 and hIDO2 rescued the cell death induced by tryptophan-depletion through hIDO1 activity. Cells expressing only hIDO2 exhibited no marked differences in proteome profiles or cell growth compared with mock-transfectants. Cellular tryptophan metabolic activity and cell death were restored by co-expressing the hIDO2 mutant substituting the histidine 360 residue for alanin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hIDO2 plays a novel role as a negative regulator of hIDO1 by competing for heme-binding with hIDO1, and provide information useful for development of therapeutic strategies to control cancer and immunological disorders that target IDO molecules.

      • KCI등재

        Searching for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 Reassessment on the Cultural development in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이영관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3 No.-

        After two major invasions by Japanese and Manchus, The problems of Neo-Confucian Joseon surfaced. Overcoming these obstacles, the reevaluation of Neo-Confucianism system through reforms became common and this process of reevaluation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In fact, this process of reforms of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through the cultural development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contemporary Korean cultural tradition. Yeongjo’s reform succeeded to achieve the financial, socio-political stabilities and economic revitalization. On the other hand, his successor, Jeongjo carried the superficial reforms in general. Still, The socio-political and economic stabilities provided the firm ground for the cultural development. A new breed of scholars who emphasized the practicality tried to shift the paradigm of Neo-Confucianism. One of the leading Shilhak scholars was Jeong Yak-yong. He tried to overcome the discrepancies of the Neo-Confucian system of Joseon through the reconciliation between Neo-Confucianism and the concept of equality of the West reflected in Catholicism. It was crucial for the creation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way from China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a Koreanized Neo-Confucianism sufficient enough for the condi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Shilhak influenced to the painting. Began with Jeong Cheol, Kim Hong-do and Shin Yun-bok completed the Koreanization of Asian painting.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and popularity of the publications of Hangul writings shared the similar theme. However, the fruits of the realization of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came from the development of the folk culture. One of the processes of Koreanization in folk culture came with the popularity of folk painting. Also, the mask dances, pansori, puppet drama and so on helped the consolidation of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Still, folk culture of the eighteenth century Joseon did not reject the Neo‐Confucian system, but against the established culture of upper classes. To satisfy the audience to maintain their incomes, gwandae musicians developed the style of satire to ridicule the haves of the society to ease the depressed emotion of the commoners after the government stopped the support for those entertainers. Communication with the commoners became so important. To achieve this, spontaneous reactions with the audience and satire naturally developed. Today, these characteristics are still common in Korean performing arts and became tradition such as Samulnori and Madanggeuk. In conclusion, the cultural development of eighteenth century Joseon was the turning point to provide the cultural tradition of Korea.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조선 체제의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성리학에 대한 재고 과정은 한국적 문화 정체성을 찾는 계기를 제공했다. 개혁과정을 통한 18세기 조선의 문화 발전은 현대 한국의 문화적 전통을 만드는 계기가 된다. 영조의 개혁은 재정적 안정과 정치사회적 안정으로 경제적 부흥을 이루었으나 영조의 근본적인 개혁과 달리 정조의 개혁은 표면적인 개혁에 그치고 만다. 그러나 영조와 정조의 영향으로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안정을 통한 문화적 발전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새로운 부류의 학자들은 실사구시를 강조하며 성리학의 기조 아래 발상의 전환을 도모했다. 대표적인 실학자인 정약용은 서구의 평등사상을 성리학적 체제와 융화해 조선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려 노력했다. 한국적 성리학을 찾으려는 과정은 중국에서 벗어나 한국적 문화 정체성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실학의 영향은 미술에서 정철을 시작으로 김홍도와 신윤복으로 이어지는 東洋畵의 韓國化 노력으로 결실을 맺었다. 한글 문학의 확산도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적 문화 정체성의 구현은 조선의 대중문화 발전에서 그 결실을 맺는다. 한국적 문화의 색채를 표방하는 대중문화는 민화의 인기와 함께 탈춤과 판소리, 전통 인형극 등에서 구체화되었다. 대중문화는 성리학에 기반 한 조선체제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기성문화에 대한 반발로 표출되었다. 더 이상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관중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게 된 광대들은 불만에 찬 대중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득권에 대한 불만을 조롱과 해학으로 표출했다. 대중의 눈높이에 맞추는 과정에서 공연은 대중과의 소통을 중요시했고 관객과의 소통은 공연에서 즉흥성과 해악적 요소를 강하게 발전시켰다. 이는 사물노리나 마당극에서 그 맥이 이어져 한국적 공연 문화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18세기 조선의 문화적 발전은 이렇게 한국적 문화 정체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가적 위기와 역사, 문화의 중요성— 『뉴욕타임즈』 3·1 독립운동 관련 친일 기사와 대응을 중심으로 —

        이영관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not only in the modern and comtemporary political history of Korea, but in the cultural history. Because of its impact, a couple of pro-Japanese Americans expressed their thoughts on the New York Times and they received strong criticism from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that resulted the change of American views on Korea to more favorable for her independence based on their cultural and historical justification. It was a successful continuation of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a foreign land. Dr. E. D. Soper of Drew Theological Seminary and George T. Ladd of Yale University attempted to justify Japanese control over Korea. At the same time, they tried to ignore the significance of the peaceful, non-violent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y insisted that it was caused by the small number of secret societies with false information. Even Ladd accused that it was a violent revolt that caused the Japanese reactions. Although Ladd changed his stands little in his second article, he tried to protect the Japanese position again. These report and articles faced the strong reactions from the Koreans in America. Rhee Syngman and Henry Chung as well as a 'son of Korea' reacted in the same newspaper with factual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f Korea under the Japanese control since the annexation as well as th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tself. Also, they provided historical information to attack false information by the Soper and Ladd. Some Americans joined this effort to express the sympathy on Korean causes while accusing Japan. Objective and logical refutation made those two pro-Japanese Americans to give up their effort to protect Japanese interests in the United Stat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justification of the movement received sympathy of Americans. 1919년 3·1 독립운동은 한국 근현대 정치사는 물론 문화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3·1 독립운동의 여파는 일본을 당황하게 만들었고 2명의 친일 미국인이 일본을 옹호하는 자신들의 입장을 「뉴욕타임즈」에 기고하면서 재미 한국인들의 강한 반박을 받았다. 그 결과 미국인들의 인식을 변화시켜 역사적, 문화적 정당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자주독립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당시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던 「뉴욕타임즈」 역시 3·1 독립운동과 한국의 자주독립을 지지하는 모습으로 논조를 바꾸게 된다. 물론 3·1 독립운동 자체가 가진 정당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이를 미국인들에게 전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건은 바로 이 신문 지면을 통한 논란을 통해서다. 3·1 독립운동에도 불구하고 드류 신학대학교 교수였던 소퍼(E. D. Soper) 목사와 예일대학교의 라드(G. T. Ladd) 교수는 한국에 대한 일제의 만행을 옹호하려 했다. 동시에 3·1 독립운동 자체의 의의를 무시하려 했다. 그들은 3·1 독립운동을 잘못된 사실에 바탕을 둔 소수 불만세력에 의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일본의 입장을 옹호하려고 노력했으나, 이들의 기사는 재미 한국인들의 강력한 반발을 사기에 충분했다. 이승만과 헨리 정 그리고 ‘한국의 아들’이라고 가명을 쓴 이가 사실과 역사적 당위성에 바탕을 둔 반박 기사를 기고해 일제 만행의 실상을 미국인들에게 전달했다. 역사적, 문화적으로 자주독립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다수의 미국인들도 2명의 친일 미국인과 달리 한국의 입장을 옹호하면서 일본을 규탄했다.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반박을 통해 두 명의 친일 미국인은 더 이상 일본의 입장을 옹호하려는 주장하지 못하고 지면에서 사라졌다. 이 사건은 3·1 독립운동과 한국 독립의 문화적, 역사적 정당성을 성공적으로 제시해 미국인들의 호응을 받는데 성공한 적지만 비폭력, 평화적 3·1 독립운동의 정신을 외국 땅에서 계승한 매우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