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지적 관계유형에 기반한 참조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양숙,김태수,Lee Yang-Sook,Kim Tae-Soo 한국문헌정보학회 199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is intended to build a cross-reference system as syndetic device to provide bibliographic relations and to collocate variant access points through references, by developing a reference record format. To this end,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s of references, which have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records, have been reviewed. Second, ways in which references are depicted not only by current cataloging rules but also by authority control systems are examined.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record are summarized as fellows: 1) If variations either of an author name or of a title are made, or any related works are published, only a single reference record is created. This record uses existing authority records, and instead of adopting authority headings, it will expand the function of the explanatory reference as well as newly implementing a relational reference which can later be used as a reference record. 2) All the variations of identical personal or group names and of lilies are dealt as one access point. In place of current 'see' and 'see also' references, not drawing lines between authority heading(1XX field), 'see'(4XX field) and 'see also' reference(5XX field), all forms of names will be simply applied to record field '1XX'. 3) Any form of data elements, which are used as access points, will be described in '1XX' which has equal value. When a need arises to explain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access points, it can be met by applying the general explanation reference-name(666 field). Similarly, when there is a need to articulate bibliographic relationships between related works, they will be suggested through the title and relational reference. 4) The title and relational reference regulates related terms that each relation type contains its field, according to each relational type, by reclassifying entire fields in order to provide direct bibliographic relation types on reference records. 5) Pointer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access point present reference control numbers. 본 연구는 서지적으로 관련된 저작을 연결하고, 특정 저자의 상이한 이름이나 특정 저작의 상이한 서명을 직접 접근점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거표목을 배제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접근점과 그 이형(異形)에 대한 참조와 이들간의 서지적 관계유형을 제공할 수 있는 레코드의 형식을 개발하여 참조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통적인 표목 및 상호참조의 기능을 본 시스템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3교대 근무 간호사의 자녀양육 체험

        이양숙(Lee, Yang Sook),이선미(Lee, Sun Mi),이정숙(Lee, Jeong Sook),이한미(Lee, Han Mi) 질적연구학회 2015 질적연구 Vol.16 No.2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ived experiences of Childrearing among nurses who works threeshift-schedules in a general hospit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upportive data for contextualized policies to establish child-rearing circumstances for nurses. Methods: This study harnesse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between June and October, 2011. Colaizzi method (1978)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produced five themes: ‘Struggling to fulfill Responsibilities under Hardship’, ‘Feeling guilty about Maternal Duties’, ‘Heading through the Wholeness of Family with My baby’, ‘Feeling love and Hatred for Nursing’, ‘Dwelling in the Feelings of Gratitude and Regret’, Conclus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both physical and mental fatigue, due to irregular shiftwork, posing negative effects on their child-rearing. Therefore, hospitals’ childcar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to satisfy working mothers. Moreover, paternal duty at home is vital, and thereb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ies such as childcare leave and/or flexible working environments.

      • KCI등재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이양숙(Lee, Yang-soo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이 글에서는 김보영과 김초엽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소설에 나타난 비인간전환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비인간전환이란 인간과 비인간의 결합 혹은 연계를 전제하는 제반 학문경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근대의 구성 원리인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이들 작품에서 인간과 비인간은 모두 기술에 의해 확장되는 존재이다. 「관내분실」에서 마인드 접속기는 어머니의 마인드를 현재로 연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촉각의 경험」에 등장하는 복제인간은 ‘뇌파공명기’를 이용해 감각의 확충과 의식의 확대를 경험한다. 「얼마나 닮았는가」의 인공지능 로봇은 여성의체를 경험함으로써 인공지능 프로그램에서 누락되었던 젠더인식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한다. 이들과 공존하는 인간 역시 기술을 신체의 일부로 수용하거나 기술과 결합하여 자신의 감각과 사유를 확장하는 사람들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비인간은 마인드 프로그램(「관내분실」), 복제인간(「촉각의 경험」), 로봇과 사이보그(「얼마나 닮았는가」) 등으로 비인간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작품의 중심에서 서사를 추동하는 행위자로 등장한다.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는 주체와 객체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서로가 서로에게서 영향을 주고받는 수평적인 관계로 그려진다. 「광장」에 등장하는 네트워크 접속기 ‘플루이드’는 비정상인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정상/비정상의 경계를 해체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촉각의경험」의 복제인간이 원본인간의 욕망을 이끌어 가는 낯선 존재로 드러나고, 「얼마나 닮았는가」의 로봇이 인간의 감정을 이용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는 것처럼 이들은 인간에 의해 일방적으로 통제되지 않는다. 인간과 비인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수평적인 관계일 뿐이다. 이처럼 인간과 비인간이 접속하여 소통하고 경험의 확장을 이루어나가는 세계는 현재를 구성하고 있는 인간중심의 질서가 단지 인간이 유지하고 싶어 하는 관념에 불과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non-human turn in Korean science fic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works of Kim, Bo-young and Kim, Cho-yeop. Non-human turn refers to all academic trends that presuppose human or non-human association or connection, and shares a critical problem consciousness of human-centeredism, the principle of modern construction. In these works, both human and non-human are beings that are expanded by technology. In the Internal loss, the mind connecter plays a role of extending the mother"s mind to the present, and the cloned human who appears in Tactile experience uses “EEG Resonator” to experience the expansion of sensation and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e AI robot of Howsimilar acquires the gender recognition that is missing from the AI program by experiencing the female body and uses it to complete its mission. Humans who coexist with them are also people who accept technology as part of the body or expand their senses and thinking by combining it with technology. The non-humans appearing in the work include the Mind Program (Internal loss), the Replicant (Tactile experience), Robots and Cyborgs (How similar) .In these works, non-humans, like humans, appear as actors driving the narrative at the center of the work. Humans who coexist with them are also people who accept technology as part of their body or expand their senses and thinking by combining it with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is not clearly divided into subject and object, and is drawn as a horizontal relationship in which each other influences each other. Also, nonhumans are not easily humanized and intervene in human life in a way that unfamiliarly reveals the average human life. The"fluid", a network connector that appears in the square, was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abnormal people, bu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break the normal/abnormal boundary. They are not controlled unilaterally by humans, as the cloned humans of Tactile experience appear to be strangers that drive the desires of the original humans, and how robots of How similar fulfill their missions using human emotions. Humans and non-humans are only horizontal relationships that influence each other. In this way, the world in which humans and non-humans connect to communicate and expand experiences is also showing that the human-centered order constituting the present is merely a concept that humans want to maintain.

      • KCI등재

        재현공간으로서의 서울 미아리 달동네

        이양숙(Lee, Yang-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6

        이글은 김소진의 연작 장편 『장석조네 사람들』에 나타난 재현공간 분석을 통해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존재했던 서울 변두리의 달동네와 달동네 거주민의 삶을 고찰하였다. 『장석조네 사람들』의 배경은 서울의 대표적 달동네 중 하나인 미아리 산동네로, 미아리 산동네의 형성과정을 보면 푸코가 말한 ‘배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미아리 산동네는 경제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거주제한구역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나누는 지역으로, 다시 해방 이후에는 안정적인 주거지를 구할 수 없었던 사회적 약자의 자리로 ‘배치’된 공간이다. 김소진의 『장석조네 사람들』은 199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기억된 1970년대 풍경이다. 『장석조네 사람들』은 계층 간의 격차에서 오는 희망이나 절망보다는 도시 속의 ‘낯선’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 낯선 모습은 미아리 달동네라는 ‘공간’의 특수성에서 빚어진다. 작품에 나타난 이질성, 폐쇄성, 가까움의 감각은 현재 우리 사회가 유토피아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궁핍한 시절에 대한 ‘향수’가 보다 복합적으로 사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Miari’ the shantytown in Seoul and the people"s lives in the town, existed from the 1970s until the 1990s, by analysis of space of representation in The People residing at Seokjo-Jang’s written by Sojin-Kim. The meaning of the "emplacement" which Michel Foucault conceptualized in “Les Heterotopies” can be understood in detail by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Miari. During the Joseon Dynasty Miari had been a forbidden area uninhabitable, under the colonial rule it became the cemetery area, after the Liberation ‘Miari’ the shantytown stands for the seat for social minorities as a result of the emplacement. This novel was a landscape of the 1970s reviewed in mid-1990s. The People residing at Seokjo-Jang’s shows the unfamiliar appearances of the town rather than showing the hope and despair coming from the gap between the hierarchy, those unfamiliar appearances were made from special nature of the space. This paper is a study about how the people experienced and recreated the urban space by reviewing familiarity, exclusiveness, the sense of nearness in The People residing at Seokjo-Jang’s.

      • KCI등재
      • KCI등재

        해방기 비평의 몇 가지 논점-임화를 중심으로

        이양숙(Lee, Yang-sook)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9

        해방직후 임화는 민족문학의 이념을 통해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일조하는 문학, 인민의 이념을 중심에 두는 문학을 꿈꾸었다. 이 글에서는 임화의 민족문학론을 분석하기 위해 남로당을 비롯한 좌익세력의 변화와 당시 연합국의 일원으로 남북에 각각 진주하고 있었던 미국과 소련의 영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시기 임화의 민족문학론은 현실과의 부단한 교섭 속에서 변화된 것이었다. 해방초기 발표된 『문학의 인민적 기초』에서 임화는 민족국가의 성립을 낙관하면서 ‘인민-민주주의’를 새로운 문학의 이념으로 제시하였다. 해방 직후의 낙관은 인민적 세를 결집할 수 있다는 자신감, 민족해방운동의 정통성에 따른 사회주의의 도덕성과 인민의 지지에 근거한 것이었다. 임화를 비롯한 좌익 측은 인민공화국이 주도하는 민족국가 건설을 낙관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적인 민족문화를 건설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좌와 우, 미국과 소련의 대립이 날로 첨예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낙관을 유지할 수 없게 되자 임화는 ‘민족’의 개념을 재고하게 된다. 1947년에 발표된 『민족문학의 이념과 문학운동의 사상적 통일을 위하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민족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인민의 집합체가 아니라 독자적 민족국가를 형성하려는 강한 의지를 지닌 정치적 자결단 위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민족이 종족적 개념이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개념임을 밝히고 있다. 민족/반민족의 개념구도는 해방기 통일민족국가 수립에 강한 열망을 지니고 있었던 대중의 감정구조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해방 직후 외세를 배격하고 통일민족국가를 형성해야 한다는 감정구조가 형성되었던 이유는 민족국가 없이는 개인의 삶이 온전히 보전될 수 없다는 식민지 시기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정구조가 단일민족국가 형성의 힘으로 응집되기 위해서는 강력한 정치적 중심점이 형성되어야만 했다. 해방직후 임화를 비롯한 <조선문학가동맹>의 성원들이 당시의 상황을 낙관한 이유는 광범위한 인민의 열망이 민족이라는 이름하에 응집되어 있었고 이들이 민족해방투쟁과정에서 도덕적 정당성을 갖고 있었던 좌익의 이념에 우호적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좌우대립의 상황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자국의 이익을 관철시키려 했던 미국과 소련의 이념적 공세는 대중의 민족주의적 열망을 통합의 원동력이 아니라 이념의 동일성을 기준으로 한 분리와 배제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게 만들었고 식민지 시기 동안 민족적 정통성을 상실했던 우익세력이 이 과정에서 기사회생함으로써 ‘민족’과 ‘인민’은 다시 분리되고 말았다. 결국 해방직후 ‘현대 민족’의 이념이 인민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구상되었던 민주주의 민족문학수립은 남북분단으로 좌절되었다. Directly after Liberation, Im, Hwa’s idea of ‘National Literature’ had been changed in constant negotiation with reality. In the initial announcement of Liberation "Basis of people"s literature" while optimizing the formation of nation-states, Im, Hwa suggested the "people"s democracy" to the idea of a new literature. Optimism of Liberation was based on the people"s power and legitimacy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the people"s support on that movement. Left side, including Im, Hwa was optimistic about the construction of nation-state and in the People"s Republic they could build a modern national culture. As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creased sharper, optimism in these circumstances can not keep in, so Im, Hwa rethink the concept of "nation". "For the ideological unity of the national literature and literary movement" published in 1947 showed these changes. This article summarized clearly that nation was not people"s assembly of the current reality but people with a strong political will to form an independent nation-state. The composition of “nation/anti-nation” was to meet the ‘structure of feelings’ of the public who had a strong desire to establish unified nation-state in Liberation period. In Liberation period, ‘structure of feelings’ of the public that rejected foreign powers was form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colonial period. However the strong political center was needed for such a “structure of feelings” to become united with the power of a single nation-state formation. Im, Hwa and the members of 〈Korean Writer’s Congress〉 were optimistic about the situation at the time for the following reason. First, the wide range of people were gathered in the name of national aspirations. And they were friendly to the left because the Left had the moral legitimacy in the process of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But the ideological offensiv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made the nationalist aspirations of the masses to act on the principle of exclusion and separation. They stubbornly tried to make accomplish the benefit of their own country by using the situation of the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e right-wing forces were dramatically re-alive in this process. So "nation" and "people" are separated. Eventually the idea of national and democratic literature that was established by initiative of the People"s fell frustrated by division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

        해방기 문학비평에 나타난 ‘기억’의 정치학 : 1945~1948년 〈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이양숙(Lee Yang-sook)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비평문을 대상으로 이들이 구축하려 했던 집단적 정체성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해방기 비평의 한 특징은 문학사적 안목이 전제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그들이 ‘진보적’인 문학사의 자산을 현재적 의미로 환기하고 이를 통해 당대 요구되었던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려 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억압된 기억의 회복과 그 의미복원을 위해 활용되었던 ‘집단기억’의 개념을 통해 이와 같은 해방기 담론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억은 현재의 필요에 의해 과거가 재구성되는 정치적 과정이다. 해방직후 이들이 복원하려했던 전통은 철저하게 ‘현재의 필요성’에 의해 규정되었다. 그 근본 원인은 물론 첨예한 이념투쟁에 있었다. 이들은 과거 심한 이념적 탄압을 감수해야만 했다. 그러므로 해방직후 민족문화 건설을 위한 주도권 다툼에서 이들은 효과적인 이념적 근거를 마련해야 했고 그 근거는 바로 과거의 신문학, 혹은 인류의 진보적 문학의 자산이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억압적 규제에 대항하는 집단기억을 환기하고 대항기억으로서의 문학사를 창출하려 하였다. 해방 직후인 1945년 8월에서 인민항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좌익과 우익이서로 이념적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해 정치적 이해타산을 앞세웠다. 이에 따라 문인으로서 본질적으로 점검해야 할 ‘자기비판’의 문제조차 정치적인 관점으로 접근한다. 인민항쟁이 일어난 1947년 10월 이후 좌익에 대한 탄압이 극심해지자 이들은 일제에 대항했던 3.1운동의 의미를 민족적 저항의 상징이자 ‘신문화 운동’의 분수령이라 규정하고 1947년의 인민항쟁을 새로운 민족문학운동의 출발점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3.1운동의 환기를 통해 인민항쟁의 역사성을 부각시키는 기억투쟁으로 설명할 수 있다. 1948년 8월 남북한에 각각 단독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단절이자 이념적 단절이다. 이제 ‘민족’이라는 기표는 더 이상 저항의 기억과 해방의 기대기평을 보여줄 수 없는 무력한 것이 되었다. 이 시기 이들의 기억은 식민지 시기 계급문학의 담론인 ‘영웅’, ‘구국’, ‘아지프로’에 머물게 되는데 이는 정치적 무력감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담론은 이후 남과 북에서 각각 소수의 기억으로 치환되어 ‘역사’에서 소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llective identity which was attempted by the critics belonging to the 〈Chosun-Munhakga-Dongmaeng〉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ne of characteristics in their critics was the concern about Korean literary history especially came from progressive cultural movement.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build new identity by the contemporary meaning of past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is study 'the collective memory' which was practically used for the recover of suppressed memory played important role in analyzing their works. Memory is the political process in which the Past was reformed by the contemporary necessity.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description of the Past showed such a case. It was resulted from the strif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t bottom.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a matter of the primary concern was 'self-criticism'. But it was not throughly examined due to the strif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fter all they couldn't take a long hard look at their-self. During the period of people's resistance(1947.10) they paid attention to 1st on march in 1919 which positioned the origin of New Literature in Korea. It was the struggle for memory to bring into relief the meaning of people's resistance. In 1948 two administrations were composed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apart. It was a severance of space and a severance of new historical time especially a severance of ideology. Finally the South and the North became the enemy officially and their discourse about the new horizon of expectation was isolated from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

        사유할 수 없는 미래/도시를 그리는 방법 - 박민규의 『핑퐁』을 중심으로

        이양숙 ( Lee Yang-sook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1

        이 글에서는 2000년대의 대표작가인 박민규의 『핑퐁』(2006, 창비)을 도시적 장소/공간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장소과 공간의 이론화를 시도한 많은 연구자들 중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미셀 드 세르토와 마르크 오제이다. 세르토의 공간이론에 기초하고 있는 마르크 오제는 세르토가 `공간`으로 규정한 지점을 다시 `인간적 장소`와 `비-장소`로 구분하였다. 비-장소는 관계의 부재, 역사성의 부재, 고유한 정체성의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인간적인 장소`가 될 수 없는 현대 도시의 특정영역을 지칭한다. `비-장소`는 과거와 분리되어 항상 현재만이 존재하는 곳으로, 오제의 `비-장소`는 현대인이 `항구적 현재`에 매몰될 수밖에 없는 원인을 장소/공간적 고찰을 통해 수행하고 있다. 비-장소와 함께 이 글에서 현대도시의 공적 공간으로 주목한 것은 빈 공간이다. 빈 공간은 기능적 합리성의 원리에서 벗어나 있는 잔여의 공간, 무의미의 공간이다. 이 글에서는 『핑퐁』에 나타난 현대도시의 `장소/공간`이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핑퐁』의 주요 무대인 학교와 벌판은 각각 비-장소와 빈 공간의 특징을 보여준다. 비-장소로서의 학교가 의미하는 바는 현대도시에서 벌어지는 공적공간의 병리현상이 이제 모든 세대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었음을 말해준다. 도시의 모든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적 합리성의 산물인 빈 공간은 무용하고 무의미한 공간이다. 빈 공간으로서의 벌판은 소외의 장소에서 점차 판타지의 공간으로 변모한다. 이는 빈 공간의 전복적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그 가능성은 극대화되지 않는다. 『핑퐁』에 나타난 현대도시의 공적 공간 즉 비-장소와 빈 공간은 `인식의 지도`가 불가능한 현대도시에서의 삶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Minkyu Park`s Ping Pong (2006, Changbi) from the view of urban place and space. Among the many scholars who attempted to theorize place and space, the theories of Michel de Certeau and Marc Auge have been used in this paper. Marc Auge, who is based on Certeau`s space theory, distinguished the `space` of Certeau as `anthropological places` and `non-places`. Non-places refers to specific areas of a modern city that can not be `anthropological place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relationship, the absence of history, and the absence of a unique identity. Using the concept of non-places Auge reflected the condition in which modern people have to stay in `permanent present`. With non-place, it is the empty space that has paid attention to the public space of the modern city in this paper. The empty space is a space of residual, meaninglessness that deviates from the principle of functional rationality. The `place/space` of the modern city in this novel is linked to the imagination for the future. School and fields as the main stage in Ping Pong, shows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non-places and the empty spaces. The school as a non-places means that the pathology of public spaces in contemporary cities has now extended to all generations. Empty spaces, a product of functional rationality in all areas of the city, are a useless and meaningless spaces. The field as an empty spaces gradually transformed from a place of alienation to a space of fantasy. This shows the subversive possibilities of empty spaces, but the possibilities are not maximized. The public spaces in this novel, the non - places and the empty spaces, shows a summary of life in the modern city where `the cognitive mapping` is impossib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