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육아공동체에서 대안적 돌봄 가치 연구: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아승,심미승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3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that the current care system for infants and toddlers is confronted with, through the spirit and practices of caring possessed by members in caring communities. The findings show that first,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by all people involved in providing care, it is possible to deconstruct unequal structures in caring responsibility. Second, communications can be a good tool in enabling members to take part in care activities on an equal basis. Third, intimate and reliable relationships among members improve the maintenance of community values and the respect toward care workers. Fourth, active participation in providing care by community members has helped them recognize the values of caring again, which has contributed not only to caring at the family or workplace level but also the publicness of caring at the societal level.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the concept of “together caring” proposed by Tronto (2013) and imply that experiences in a caring community can contribute to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caring values and the fulfillment of democratic caring. 오늘날 돌봄은 ‘돌봄의 위기’라고 불릴 만큼 그 양과 질에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현재의 영유아 돌봄 체계가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육아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돌봄의 정신과 실천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돌봄에 관련된 모든 이들의 참여는 돌봄의 책임에 있어 불평등한 구조를 해체한다. 둘째, 구성원들이 돌봄에 동등한 수준으로 개입할 수 있는 데에는 소통이 중요한 매개로 작동하고 있다. 셋째, 구성원 간 친밀하고 신뢰의 관계는 공동체의 가치 유지와 돌봄 노동자에 대한 존중으로 이어진다. 넷째, 돌봄 가치의 재발견으로 구성원들은 가정이나 직장 차원의 돌봄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에서의 돌봄의 공공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육아공동체의 체험에서 나타난 의미는 Tronto(2013)의 ‘함께 돌봄’ 개념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돌봄의 가치에 대한 인식 변화와 민주적 돌봄의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함의하고 있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돌봄노동의 가치: 전업주부의 돌봄노동 가치 인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아승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female homemakers evaluate their caring labor and how this evaluation relates to the neoliberal order which attaches new value to labor and care. For this, a narrative inquiry in which the female homemakers living in a metropolitan city are participated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quiry participants do not consider their caring labor as women’s work based on gender stereotypes but clearly aware of their contribution to family. Second, the participants appraise production or domestic labor by material value basis. As a result, the unpaid caring labor was devalued. Third, the inquiry participants consequently wanted to do paid work but also recognized harsh reality which the female laborers have to face such as low income and instability. Fourth, the inquiry participants maintain their position as homemakers recognizing that the potential wage cannot exceed enough the cost of care. Furthermore, their perception of various risks around their children justifies private care. Neoliberal order caused changes in labor and care: labor is converted into exchange value, female laborers are marginalized and more risks are perceived. Female homemakers choose to be homemakers and advocate private care in this context. The result shows that neoliberal order in turn strengthens the division of labor. 본 연구는 일과 돌봄 사이에서 전업주부는 자신이 하는 돌봄노동의 가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신자유주의적 질서가 노동과 돌봄에 부여하는 가치와 어떻게 관계하는 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 광역시에 거주하는 전업주부가 참여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가정 내 돌봄을 여성만의 의무가 아니며 남편과 자신이 가계에 함께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노동의 가치를 물질적 교환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임금노동은 임금의 수준에 따라 그 가치 가 평가되었고 돌봄노동은 평가절하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셋째, 그러나 동시에 현실의 노동 시장은 일자리 부족, 여성의 저임금노동 등을 특징으로 하며 연구참여자들이 안정적인 직장으 로 재취업을 하기에 가혹하다는 사실도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직장생 활로 인해 가정에 부재할 때 지출하게되는 돌봄비용을 상쇄할 수 없다는 사실과 다양한 사회적 위험 요인들로부터 자녀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가정주부로서의 지위를 유지한 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노동은 교환가치로 환산되고, 여성노동자는 주변화되며, 돌봄 수행 환 경에 다양한 위험이 드러난다. 전업주부는 이러한 맥락에서 전업주부 되기를 선택하며 사적돌 봄을 옹호한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질서가 결과적으로 성별노동분업을 강화해가고 있음을 시 사한다.

      • KCI등재

        육아공동체의 돌봄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설선미(薛善美),이아승(李娥承),심미승(沈美昇) 한국정부학회 2021 한국행정논집 Vol.33 No.2

        수요자 중심의 돌봄 유형이 확산되면서 육아공동체는 공동육아의 활성화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지역사회 기반의 보육사회화를 실천시키는 긍정적 현상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육아공동체 현장에서 느끼는 돌봄가치를 탐색해 보고자 공동육아 참여자들의 면담자료를 활용하여 시멘틱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육아공동체의 돌봄 주체자 간 연대의식의 기저에는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태도가 존재하였으며, 이는 공동육아 운영의 개방성과 돌봄 주체자로서 부모의 적극적인 역할에서 나타났다. 둘째, 돌봄 주체자의 공감력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육아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나타났다. 특히, 아버지의 공동육아 참여는 양육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아직까지 공동육아에 다소 소극적이고 냉소적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변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기반의 보육사회화를 위해서는 육아공동체에 대한 진입장벽을 해소해야 하며, 수요자 중심의 다각화된 보육 기관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s the types of consumer-oriented care have spreaded, child care community has become a model for promoting joint child-care services. this type of model is interpreted as a positive phenomenon in that it can activate community-based child care socialization. The study focuses on child care communities and aims to analyze care values at child care communities. It conducts a semantic analysis using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at child care communities in Gwangju.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re exists an open and active attitude at the base of solidarity among care-givers at those communities. This finding is due to openness in community management and the active role of parents as care-givers in those communities. Second, mutual trust is strongly formed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in co-parenting with the feeling of sympathy as care-giver. Particularly, fathers’ participation has had great positive effects on parenting attitudes. Third, a change in social perception is required for better joint child care services, because social perception is currently somewhat passive and cynical.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resolve entry barriers for promoting community-based child care socialization and the need to change current child care communities into more diversified and consumer-oriented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