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

        이승희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flow of the chauvinism occurring in Japan after the modern times to contemplat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fore and after the war. In general, the academic circle of Japan has the well established assertion that “Japan has the right wing but it does not have the extreme right wing”, and there is wide spread perception that the social movement in chauvinism as the leading front has emerged in the recent days. In December 2006, Zaitokukai (在特會: meeting of citizens who do not recognize special privileges to Koreans in Japan) was organized to undertake the chauvinism movement to stir the social scandal with aggressive hatred against Korea, demonstration of denouncement of those Koreans in Japan as well as assembly for such causes. Obviously, when considering in history, the right wings and chauvinism of Japan do not necessarily exist in consistency but certain part of overlapping areas in their assertions, characters and theoretical basis that the relativity cannot be completely denied. In addition, the exclusive policies of Japanese government and the hatred and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private society against Koreans in Japan have been steadily existed from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ing period that calls for attention. Under this article, the focus is on Koreans in Japan as the target of the chauvinism in Japan in particular that the contemplation on the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in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the view of despise of Japanese against Korean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refore, such traditional view of despise against Koreans has been handed down to the recently emerged chauvinism. 본고의 목적은 근대시기 일본인들이 갖고 있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 적대감이어떻게 전후시기로 계승되어 최근 대두한 배외주의로까지 연결되었는지 그 연속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근대 이전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인식을 형성시킨 것은 ‘진구황후의삼한정벌’ 전설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이었다. 근세에 이루어진 조선침략의 경험은 기존의 ‘삼한 정벌’ 전설을 보완하며 그 ‘복속’의 대상이었던 조선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일본인의 우월감을 형성하였다. 근대 이후 일본인과조선인이 본격적으로 접촉하기 시작한 때에도 기존의 조선인멸시관은 계승되었고, 문명과 야만의 틀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한국병합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으로 건너가기 시작한 재일조선인들에 대한 차별인식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재일조선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본국의 일본인들이 각지에서 재일조선인을 직접 접할 기회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에 더해 3.1운동 이후‘위험’하다는 적대적 인식도 갖게 되었다. 특히 노동현장 등에서 감시와 단속을통해 재일조선인과 자주 접하던 경찰 및 사법 관계자들은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갖고 재일조선인을 경계하고 차별하였으며, 가급적 일본으로의 유입을 막고 치안유지에 ‘위험’한 재일조선인들을 조선으로 돌려보내고 싶어 했다. 제국주의 일본이 패전하고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된 후에도 재일조선인에 대한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침략과 식민지배의 역사에 대한 일본사회의 반성이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여전히 존재하였고, 패전 직후의 혼란기를 이용하여 암시장을 비롯한 부정한 수단으로 일본의 부를갈취하고 생활보호를 수급하는 부담스러운 존재로까지 인식하기 시작했다. 또한1940년대 말 냉전의 진행으로 인해 특히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위험시・적시하고 일본 내에서 배제하기를 원하는 배외주의 의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움직임은 일본정부로 하여금 재일조선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각종 제도적 차별 실시와 일본 국내에서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사실상 추방하는 재일조선인 북송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이승희 93 사업으로 연결되었다. 민간사회에서도 재일조선인은 신체적인 폭력을 행사 당했으며, 일상적으로 취업, 진학, 결혼, 주거 상의 차별을 받으며 정신적인 고통을 강요받아야만 했다. 1970년대에 이르러도 일본인들은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과 적대감에 근거하여 재일조선인을 바라보고 차별을 가하고 있었으며, 결국 재일조선인들은 출신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통명을 사용해야만 했다. 일본 정부와 민간사회는 재일조선인에게차별이 싫으면 귀화를 하라는 입장을 취하며 전전 시기와 다름없는 동화 압력을가해왔다. 멸시관과 적대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못하고배격하려고 하는 일본사회의 배타적인 자세는 재특회와 같이 재일조선인을 타깃으로 한 극단적인 배외주의를 대두시키는 토양이 되었다. 인터넷상의 익명게시판 공간 등은 그동안 일본인들이 면면히 갖고 있었던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적대감을 배외주의로서 밖으로 토해내고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고, 재특회는 이를 기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재특회는 재일조선인은 나태, 불결, 교활, 위험하다는 등의 전전 시기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적대감, 그리고 패전 직후부터 형성된 재일조선인에 대한 피해망상을 이어 받아이를 현재도 공공연하게 확대・재생산하고 있는 중이다.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

        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In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Baer, Wolf, and Risley (1968) presented generality as one of the 7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ccording to them, a behavior change may be said to have generality if it proves durable over time (that is, maintenance), if it appears in a wide variety of possible environments (that is, stimulus generalization), or if it spreads to a wide variety of related behaviors (that is, response generalization). Since th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has been a main concern in the field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To do this, first, generaliz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timulus generalization and response generalization), which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and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ectively in this study. Next, maintena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based on the review performed in this study. Lastly, the two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three kinds of maintenance were set up as five aspects of generality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and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창간호에서 Baer, Wolf와 Risley(1968)는 응용행동분석의 7개 차원 중 하나로 일반성(generality)을 제시하면서 행동변화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거나(즉, 유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거나(즉, 자극일반화), 또는 다양한 관련행동으로 확산된다면(즉, 반응일반화) 그 행동변화는 일반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후 유지와 일반화는 응용행동분석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승희(2021)의 연구를 근거로 일반화를 자극일반화와 반응일반화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극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를 그리고 반응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를 각각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의 고찰을 근거로 유지를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라는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반화의 두 가지 유형과 유지의 세 가지 종류를 일반성의 5개 측면(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으로 설정하고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을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특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활동과 양육태도 차이에 대한 연구

        이승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9 놀이치료연구 Vol.13 No.3

        This research was proceeded figure out the profiles of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ctivities according to child's characteristics reported by parents. Subjects were 385 parents with 209 of fathers and 176 of mothers, one of whose child is under 91 month-old. Fathers and mothers had proceed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of 123 items as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 parenting activities they provide a day when they are with their preschooler child at home, and the questionnaires of MBRI-R, Maternal Behavior Rating Index Revised. Thos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3. to get 1)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yles, parenting activities and child characteristics, 2) the results of independent t-tests with according to the subscales of child's characteristics, 3) and the results of regressions with independent variables of characteristics of child's and dependent variables of parenting styles and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ose characteristics reported by parents have strong correlations with parents' style of parenting and nurturing activities they provide to their child.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부모가 인식한 아동의 특성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활동이 나타내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학령전기의 미취학 아동부터 87개월까지의 아동들을 둔 부모 385명을 대상으로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특성,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가 제공하는 양육활동 등의 유형간 상관을 조사하였고,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의 특성에 따라 양육활동과 양육태도에 대해 독립적인 차이검증을 하였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상의 자료들은 SPSS WIN V. 13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특성은 부모가 제공하는 양육태도, 부모의 양육활용 유형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코로나 19백신 접종 후 자궁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한 20대 여성의 분석연구

        이승희,김련희,상재홍,김태희,이해혁 대한산부인과학회 202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8 No.-

        Objective: 코로나 19백신과 자궁출혈과의 연관성은 이미 많은 나라에서 연구와 사례들로 증명되고 있다. 올해 8월 예방접종 피해 보상 전문 위원회는 제 15차 보상위원회를 열어 빈발 원경 및 과다출혈 월경, 이와 유사한 사례에 해당되는 이상 자궁출혈을 코로나 19벡신 ‘관련성 의심 질환’에 추가하여 의료비 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산부인과에서는 지난 1년간 코로나 19백신 접종 후 응급실을 내원할 정도의 많은 출혈을 가진 가임 여성 중 20대 여성환자를 통합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Methods: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2021년 6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본 병원 응급실에 코로나 19백신 접종 후 자궁출혈로 내원한 20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그 사례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Results: 코로나 19백신 접종 후 자궁출혈이 심하여 본원 응급실로 내원한 사례는 총 8명이며, 당시 모두 코로나 19백신 접종 후 심한 자궁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모두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 발생한 평소 생리량의 2배에서 5배 이상까지 지속되는 자궁출혈이었다. 과거력상 특이소견은 없었고 8명 모두 평소 생리주기는 28-35일 사이로 규칙 적이었으며 생리량 또한 보통 정도였다. 응급실에서 실시한 초음파나 컴퓨터 단층촬영 (CT)에서 선근증, 용종, 근종 등 출혈을 일으킬 만한 부인과적 특이소견은 없었다. 혈액 검사에는 헤모글로빈수치가 5.8g/dL까지 낮아서 수혈 등 보존적 치료를 추가적으로 한 경우는 2명 이었다. 또한 자궁출혈이 한달 이상 지속되어 외래 추적 관찰 중 골반초음파를 통하여 자궁 내막이 불규칙한 에코와 함께 14mm정도로 두꺼워 자궁내시경 수술하 내막 생검을 실시한 사례가 1명 있었으며 병리검사결과는 용종과 탈락된 실질로 관찰되었다. 백신의 종류와 접종 회차 와의 연관성은 없어 보였다. Conclusion: 본 사례들은 평소 이상자궁출혈이 없었던 젊은 가임기 여성들로, 자궁의 구조적인 이상이 아닌 백신 접종 후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이며 보다 심한 출혈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자궁 및 질 출혈은 여성의 건강에 관여하는 중요한 생리적 작용인 만큼 백신 관련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되어 출혈의 원인이 되는 기전에 대하여 밝힐 수 있어야 하고, 의료진들은 이를 토대로 특히 젊은 가임기 여성의 부인과적 질환이 반복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常山이 Alzheimer's Disease 病態 모델에 미치는 影響

        이승희,정인철,이상룡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05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16 No.1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chroa febrifuga(DIF) on the Alzheimer's disease. The effects of DIF extract on IL-1β, IL-6, TNF-α mRNA of THP-1 cell treated by Aβ plus LPS and amyloid precursor proteins(APP), acetylcholinesterase(AC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mRNA of PC-12 cell treated by Aβ plus rIL-1β and AChE activity of PC-12 cell lysate treated by Aβ plus rIL-1β and behavior of memory deficit mice induced by scopolamine and mice glucose, uric acid, AChE activity of memory deficit rats induced by scopolamine were investigated,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DIF extract suppressed APP, AChE, GFAP mRNA in PC-12 cell treated by Aβ. 2. DIF extract suppressed IL-1β, IL-6, TNF-α mRNA in THP-1 cell treated by LPS. 3. DIF extract suppressed AChE activity in cell lysate of PC-12 cell treated by Aβ. 4. DIF extract increased glucose, decreased uric acid and AChE significantly in the serum of the memory deficit rats induced by scopolamine. 5. DIF extract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the memory deficit of mice induced by scopolamine in the experiment of Morris water maz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DIF extract might be usefully appli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memory deficit.

      • KCI등재

        한중 MZ세대의 ‘감성 애국주의’

        이승희 중국문화연구학회 2023 중국문화연구 Vol.- No.59

        This article examines the qualitative changes in East Asian nationalism through the ‘affect’ of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It traces the phenomenon of how affect leads to patriotism, triggered entirely by the fluctuating and uncertain future surrounding the MZ generation, the labor stress that physically pressures both minds and bodies, the anxiety arising from the difficulty of even having a place to live, political conflicts with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competitive relations within the MZ generation.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discusses the emergence, development, disjunction, and transformation of nationalism that has been socially visible and has become significant; second, instead of dichotomously differentiating Korea and China in this discussion, the author extracts the ‘simultaneity’ of the reality and generational psychology of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third, in doing so, the author offers the hypothesis of the “affective patriotism” characterizing the nationalism of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In elaborating the bright side and dark side of affective patriotism, the author considers its positive function in the management of self-identity and its negative function as relationship-destroying energy and argues that affective patriotism can be the basis for democratic citizenship. By reinterpreting the disgust-based nationalism in the MZ generation in Korea and China from a generational perspective, the article dissects the antagonism and prejudice in East Asia as well as the abuse of neoliberalism that lies behind them in order to draw a blueprint for a future society in which global crises are collectively addressed. 이 글에서는 한중 MZ세대의 정동(情動, Affect)을 통해 동아시아 내셔널리즘의 질적 변이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즉 MZ세대를 둘러싼 가변적이고 불확실한 미래, 물리적으로 영육을 압박해오는 노동 스트레스, 주거 공간조차 마련하기 힘들지도 모른다는 불안, 기존 세대와의 정치적 충돌 및 주변 MZ세대들과의 경쟁 관계 등이 총체적으로 빚어내는 정동이 애국주의라는 출로를 향해가는 현상을 추적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째 한중 MZ세대들 사이에 사회적으로 가시화하거나 유의미하게 부상한 내셔널리즘의 생성·전개·이접·변형에 관해 논의하고, 둘째 국가 대 국가의 이분법으로 한중 양국을 차별화하기보다 한중 MZ세대의 사회현실과 세대심리가 지닌 ‘동시성’을 추출할 것이며, 셋째 이전 세대와 결을 달리하는 한중 MZ세대의 내셔널리즘에 대해 ‘감성 애국주의’의 출현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감성 애국주의의 명(明)과 암(暗)을 동시 조명하는데, 자기정체성의 관리라는 순기능과 관계파괴적 에너지라는 역기능을 두루 살피는 한편 장차 민주적 시민성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이는 한중 MZ세대의 혐오에 기반한 내셔널리즘을 세대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동아시아에 만연한 편견과 반목, 그 배후에 작동하는 신자유주의의 폐단을 해부하고, 전 지구적 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미래사회의 밑그림을 그리기 위함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