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방풍망에 의한 수도의 풍해경감방법

        李承弼,李光錫,崔大雄,孫三坤,金七龍 韓國作物學會 1987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2 No.2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풍해상습지에 대한 방풍망설치방법과 설치시기에 의한 풍해 경감 효과를 구명하고자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개년간 경북영덕지방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1954년부터 1985년까지 32년 동안 강풍 발생빈도는 8월 10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 높아 이 지역의 수도 안전출수한계기는 8월 10일 이전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2. 이 지대에 주로 풍해를 유발시키는 바람은 태백산맥을 넘어오면서 휀(Fohn) 현상에 의한 고온건조한 편서풍과 해양에서 내륙으로 부는 한냉과습한 냉조풍이었으며 도작기간중 발생빈도가 각각 25 %였다. 3. 방풍망 설치에 따른 1차 효과는 감풍효과였으며 방풍망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1m에서는 23.9%, 10m에서는 35.8%, 20m에서는 26.9% 감풍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설치된 방풍망 높이의 10배 거리까지 있었다. 4. 방풍망 설치에 따른 2차 효과는 기온, 지온, 수온의 상승효과였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기온은 최고 0.7℃ , 최저 0.4℃ , 평균 0.1℃ 상승되었으며 수온은 최고 0.3℃ , 최저 0.3℃ 상승되었고 지온도 0.3℃ 상승효과가 있었다. 5. 방풍망 설치에 따른 3차 효과는 생육촉진 감수경감, 품질향상의 효과가 있었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출수기가 2~5일 단축되었고 간장, 주당수수, 수당영화수, 임실율의 증가로 20~2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완전중의 비율도 높았다. 6. 벼알의 변색정도가 심할수록 등숙율과 정조 1,000 입중이 현저하게 떨어졌으며 그 감소정도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 방풍망 설치방법별로는 한냉과습한 냉조풍과 고온건조한 편서풍을 모두 방풍할 수 있는 종합방풍시설이 가장 효과가 컸으며 방풍망 설치시기별로는 수잉기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컸다.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onducted to find the effect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cold wind damage in the eastern coastal cold wind damaged a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ice critical safe heading date was up to Aug. 10 in the eastern coastal area, which the frequency of gale Aug. 10 to Sep. 10 is high. The frequencies of westries and cold wind from sea were 25%, respectively, in this area. The effects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wind verocity were 26.9, 34,6% with raising air temperature of 0.4-0.7~circC and water temperature of 0.3-0.5~circC .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up to 10 time's distance of wind-break net's height from wind-break net. The installation of wind-break inhanced to rice growth, so showed the heading date earlier by 2-5days and increased culm length, no.of panicles per hill and no. of spiklets per panicle. The yield decrease in this area was due to sterilization, poor ripening and light 1,000 grain weight. The yields showed 20-28% increase by installation of wind-break net.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most in the installation plot with wind-break net against cold wind from sea and westries installed in the panicle formation stage.

      • KCI등재

        콤바인 수확답에서 벼 이형주 발생양상

        李承弼,金相慶,尹榮錫,李光錫,崔大雄 韓國作物學會 199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6 No.4

        종자순도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콤바인 수확시의 탈립종실이 익년 본답재배양식별 출현정도 및 생육특성을 정상재배벼와 비교검토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콤바인 수확시 품종별 탈립정도는 삼강벼가 49.5kg/10a로서 낙동벼의 27.8kg/10a보다 현저히 많았으나 탈립종자의 월동후 발아율은 오히려 낙동벼가 훨씬 높았다. 2. 이형주출현율 및 종자혼입율은 재배양식간에는 직파재배가 이앙재배보다, 그리고 품종별로는 일반형품종이 통일형품종보다 높은 경향이였다. 3. 이형주의 생육은 공시품종 모두 천립종을 제외한 간장, 주당수수, 수당입수 및 등숙율등 대부분의 형질들이 정상재배벼에 비하여 저하하는 경향이 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ttered grain by combine harvesting at the previous year on rice plant emergence at different planting methods and plan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s : Combine harvesting greatly influence on shattered grain of Samgangbyeo as Tongil variety (49.5kg/10a) compared to that of Nagdongbyeo as Japonica variety(27.8kg/10a), while Nagdong-byeo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 than Samgangbyeo, whether transplanted and direct seeded. Emergence of volunteer and seed mixture were lower in transplanted than in direct seeded. In variety test. Japonica variety showed higher emergence of volunteer rice and seed mixture than Tongil variety. Gener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components were observed with different varieties by the volunteer rice. But the volunteer rice caused by combine harvesting decreased culm length, panicle length, spikelet number, panicle number and ripening ratio. except l000-grain weights.

      • KCI등재

        분열모델 상수가 분무 및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승필,박준규,박성욱 한국분무공학회 2017 한국액체미립화학회지 Vol.22 No.1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s of spray breakup model constants on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single cylinder compression engine. KIVA-3V code coupled with a CHEMKIN chemistry solver was used for numerical analysis. In this study, spray simulations and combustion simulations are studied simultaneously. Spray simulation was conducted in constant volume to reduce the effects of air-flow as swirl or tumble. The model validation was conducted and there are littl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s and simulation, this differences were reasonable. In spray simulation, the effects of model constants on spray tip penetration, spray patter and SMD were studied. Furthermore, the analysis of effects of breakup variables on combustion and emissions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e KH-RT breakup model constants affects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strongly. Increasing KH model variable (B1) and RT model constants (Cτ, CRT) induced slower breakup time.

      • KCI등재

        야생 및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李承弼,金相國,崔富述,李相哲,金吉雄 韓國作物學會 1995 한국작물학회지 Vol.40 No.5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특성, 품질 및 향기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의 기상환경은 재배지에 비해 기온이 4∼8 낮고 지온도 3 낮았으며 조도량은 재배지의 1.7% 정도였다. 2. 자생지 토양의 환경조건은 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pH는 낮았으나 유기물함량은 3배 이상 높았다. 3.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염색체 수는 2n =16으로 같았고 자방수도 3개로 동일하였으나, 종자수는 재배더덕이 62개, 야생더덕이 132개로 야생더덕 이 2배 정도 많았다. 4.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생육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저조하였으나 야생더덕은 재배지에서도 재배더덕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졌다. 5.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방향성분의 extract수율은 야생더덕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높았으나 재배더덕은 재배장소에 따른 변화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extract수율도 50% 정도 낮았다. 6. 재배지에 따른 주요 무기성분함량은 자생지보다 재배지에서 많았으며 야생더덕보다 재배더덕에서 많았다 7. 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주요 방향성분의 변화는 dimethylbenzene, 3-ethyl-5-2- ( ethylbutyl ) -octadecane, benzaldehyde, 14, 14-dimethyl -hexadecanoate, methylhexadecenoate등이 재배더덕에서는 없는 향기성분이 야생더덕에서 검출되었으며 더덕의 향을 내는 성분은 단일성분이 작용하기 보다는 peak면적이 높게 나타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향기를 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rowth characteristics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wild and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grown in different regions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 best cultural condition for quality improv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Air temperature of wild region was lower to 4~8 and soil temperature was also lower to 3 compared with domesticated region. Soil of wild region had about three times richer organic matter with lower pH. Chromosome number of wild and domestcated species was 2n=16, ovary number was 3, but seed number of wild species was 132 vs domesticated showing 62. Recovery yield of wild species grown wild region had 0.55%, besides that, the wild species grown in domesticated region had 0.34. But the domesticated species in wild and domesticated regions was the same as 0.28. Inorganic element contents of domesticated region showed much higher than that of wild region. Major aromatic constituents were specified in wild Codonopsis lanceolata as dimethyl benzene, 3-ethyl-5-2-(ethylbutyl)-octadecane, benzaldehyde, 14, 14-dimethyl-hexadecanoate, methylhexadecenoate of which was not detected in domesticated species.

      • KCI우수등재SCOPUS

        차광처리에 따른 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변화

        이승필,김상국,정상환,최부술,이상철 韓國藥用作物學會 1998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6 No.2

        본 실험은 자생지의 야생더덕이 가지는 고방향성의 특성을 노지재배시 고방향성을 갖는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차광정도를 달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장은 무차광에 비해 차광처리구 모두에서 길었으며, 특히 차광 35%와 75%에서 각각 243cm, 245m로 나타났고, 생근중은 무차광에 비해 75%차광에서 더 무거웠다. 2. 차광정도가 높아질수록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조섬유는 무차광에 비해 차광정도가 높아질수록 함량이 감소하였다. 3. 식물정유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수율이 증가하여 75%차광에서는 0.007%로 가장 높게 나타나 더덕의 경우 식물정유의 수율을 높이는데 차광이 효과적이었다. 4. 더덕 뿌리의 향기성분은 총 48종이 확인되었고 1-hexanol, cis-3-hexanol, trans-2-hexanol 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5. trans-2-hexanol은 차광처리간에 차이가 가장 컸고 75% 차광에서 160.32 % area로 무차광에 비해 약3.2배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crease essential oil and aromatic contents on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with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Vine length was prolonged by shading treatment compared with non-shading. Fresh root weight in 75% shading treatment was highest with 13g per plant. Crude components such as crude protein, fat and fiber contents decreased, while crude ash increased as shading degree increased. Forty-eight volatile aromatic compounds in the root were identified by GC/MS. Major aromatic compounds were 1-hexanol, cis-3-hexanol, and trans-2-hexanol. In particular, trans-2-hexanol was highest in the 75% shading treatment attaining the 160.32 % area. Conclusively, it was suggested that the 75% shading treatment was to some extent effective to improve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and aromatics in the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