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시교육에서 ‘장르’ 교육에 관한 연구

        이승복 ( Sueng Bok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1

        장르는 구분의 개념이면서 문학작품을 이해하는 주요 경로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시교육에서 채택하고 있는 장르의 체제는 서구 고전의 단순한 구분방식에만 의존하고 있다. 장르교육은 작품의 구분 역량으로서만 아니라 세계 인식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만큼 보다 적정한 체제를 갖추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상황인 것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장르란 무엇인지, 그리고 중등학교 시교육에서 장르교육이 지닌 문제점과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등학교 시교육에서 장르교육이 지닌 의의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 이들을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교과과정 구안의 지침을 정리하였다. 장르란 구분의 근거와 구분행위 자체이면서 문학작품을 읽어내는 기준이기도 하다. 하지만 장르란 끊임없이 자기갱신을 하는 유기체적 존재로서 자리해 있을 때만 비로소 그 기준으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현대문학에서의 장르는 현대사회의 속성인 다의성과 중층성을 지녀야 하며, 한국문학에서의 장르는 한국문학의 속성인 현장성과 즉흥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중등학교 시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장르교육은 현대적 속성을 담을 수 있는 창의적인 장르교육에 비중을 두어야 하며 한국적 장르교육으로서 개념장르와 실현장르를 구분하여 한국적 양상을 살피는 방식을 마련해야 한다. Genre is concept of classification and main route for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But the genre system on poetic education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depend on traditional western system. It’s just inappropriate. And this article analogized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First, the genre has attribute of self-renewal continuous. So modern tendency of genre takes complicatedness as like the face of modern society. Therefore the genre system on poetic education in school have to take the complicatedness. And the complicatedness of it shall be acculturated as equivocality or multi-stratum. Second, the genre based on source culture. So Korean poetic genre based on Korean culture too. Therefore the genre system of curriculum has take Korean's own line.

      • KCI등재

        중등학교 시교육에서 이미지 교육에 대한 연구 - 김종문의 시를 대상으로 -

        이승복 ( Lee¸ Sueng-b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9

        이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교육 중의 한 영역인 이미지 교육에 대한 실천적 교과과정을 마련해 보자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중등학교에서의 시교육은 학습자의 사유체계를 확장하는 데 목표를 두어야 하며 학습자들이 시작품 감상을 통해 시적 상상력을 경험하고 이를 다시 자신의 삶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학습자 중심의 교육지침과 융합 교과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적 상상력에 대한 기대와 요구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학습한 내용의 축적을 넘어 문제 해결 능력으로 이어줄 수 있는 교과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미지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미지가 무엇이며 어떤 종류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학습에서 벗어나 시작품에서 이미지를 찾아내고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역량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렇게 획득된 사유역량을 다시 개성적인 표현력으로 재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김종문의 시작품을 대상으로 적용해보고자 한다. 김종문의 시는 이미지를 주된 표현의 도구로 채택하고 있는 모더니즘 시인의 하나이지만 그의 시작품이 지닌 이미지는 선명한 대상적 이미지로서만 아니라 정서적 전언과 환상적 세계와 시대적 인식을 함께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이다. 즉 그의 시가 지닌 난해성에도 불구하고 이미지의 다양한 해석과 수용의 가능성을 제공할 개연성이 크다. 김종문의 시작품과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는 교과과정은 그래서 이제까지의 이미지교육과는 다른 목표와 과정을 요구할 것이며 창의적인 수용과 생산적인 표현력을 제공받고자 한다. 이는 학습보다 생산에 비중을 둔 창의와 표현의 과정인 만큼 여기에서는 이를 ‘창발적 교과과정’으로 전제하고 그 구체적 교과과정을 구안해 보기로 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ntention to prepare a practical curriculum for teaching image of poetry in secondary schools. Teaching poetry in secondary school should aim to expand the learner's thinking system, and support learners to experience poetic imagination through appreciation of poems and to use it in their own lives.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he need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al guidelines and convergence subjects is emphasized,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poetic imagination are more emphasiz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need for a curriculum that can lead to problem-solving skills beyond the accumulation of learned content. The same is true for teaching image of poetry. In the process of finding images in poetry and accepting them apart from theoretical and fundamental content learning about what images are, what kind and function, they must be able to give various meanings through creative competencies. Should be able to reproduce again with individual expressive power. For this reason, I would like to apply it to Kim Jong-moon's poems. Kim Jong-moon is one of the modernist poets of 1950’s who adopt image as the main tool of expression, but the image of his poem is evaluated not only as a clear physical image, but also because it possesses an emotional message, a fantastic world, and a perception of the real society. In other words, despite the difficulty of his poems, it is highly probable that he will provide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and acceptance of images. Therefore, the curriculum targeting Kim Jong-moon's poetry and images will require different goals and processes from teaching image of any other poetry so far, and will be provided with creative acceptance and productive expression. As this is a process of creativity and expression that puts emphasis on production rather than learning, here we will presuppose this as an “creative emergence curriculum” and devise a specific curriculum.

      • KCI등재

        이상화 시의 율격양상과 미적 특질 : 이상화 시의 전후기 구분문제와 관련하여

        이승복(Lee Sueng-B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8

        There are three types which meter of Lee sang-hwa's poems standing keeps. The first is based on stanza and emphasizes a form equivalence. The second is one stanza poem which cannot keep equivalence but systematic juxtaposition of part vocabulary leads. So this type creates units as repetition and context coat unit. And there is a type of prose poem at third. The general interpretation against poems of poet Lee sang-hwa was advanced and it was come above reconciliation that divided as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Usually the former term is recognized with symbolism tendency as poem <at my bedroom> and the latter term is recognized with the nationalism tendency as poem <does the spring come even in the field where it has taken away>. And like this opinion have two questions. The one is legitimate to divide as former and latter term. And the other is legitimate to interpretate the poem <at my bedroom> with only symbolism. In this study on metrics in poems of Lee, it confronts hereupon and approximately it observes a ratio standing aspect dividing actualness is meaningless and it divides even if but both are located it will be able to confirm inside scope of the former term. When trying to be like this, the poem <at my bedroom> is adopted the technique of symbolism from point it will be able to agree, but ultimate message of that work must be interpreted from nationalism background.

      • KCI등재

        김영랑 초기시의 율격양상과 기능

        이승복 ( Sueng Bok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0

        김영랑의 초기시에서 율격양상이 지닌 특성을 도출하여 그의 시가 지닌 운율의식을 확인하고 도출된 운율의식을 근거로 영랑의 초기시에 대해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탐색해 보자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시 연구에 있어서 율격론이란, 시에서 음악성의 대상이란 무엇이며 그 대상은 과연 실체를 지니고 있는지, 만일 그 대상의 존재는 인정할 수 있으나 형태를 가지고 있지 못한 무형적 존재라면 그 대상은 어찌 확인할 수 있는지, 또한 그 대상은 과연 가치를 지녔는지, 그리고 가치를 지녔다면 그것은 어떻게 객관적 인정을 받을 수 있는지 등의 문제의식에서 비롯한다. 김영랑의 초기시를 대상으로 하는 율격론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의 입장이다. 그 결과 김영랑 초기시의 율격양상은 첫째 4행연의 채택과 이 형태의 허용, 둘째 음운에 따른 계열체들의 형성과 의미맥락 조성, 셋째 동어나 유사어 병치를 통한 단위의 조성 등이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율격양상은 시인의 운율의식을 가늠하는 척도로 작용한다. 김영랑의 경우 초기시에서 보여 준 운율의식은 각각의 독립성을 지닌 계열체들과 이들이 공유하는 질서의식을 현양하는 데 기울어져 있다. 대립항의 하나는 질서의 완성으로 상징되는 자연이며 다른 하나는 결여를 안고 있는 개인적 주체이다. 자연은 신뢰할만한 질서의 상징임을 거듭 확인하고 있고 개인적 주체는 현실적 한계인 결여에 대해 회복의 가능성을 염원하고 기대한다는 두 가지 맥락을 지닌다. 이를 위해 시인은 자연이 지닌 질서를 드러내기 위해 유려한 선율을 조형하고 있으며 단절되지 않는 흐름을 운율의식으로 제공한다. 순조로운 순환에 대한 질서를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개인적 주체는 현실적 한계가 마침내 자연의 질서에 따를 것임을 신념화하게 된다. 선율과 화성을 통해 자연이라는 거대담론의 질서를 미화하고 있으며, 계열체의 대립과 조화를 통해 결여된 현실이 종내 회복될 것임을 신념으로 삼을 수 있다는 맥락을 채택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지점이 김영랑 초기시의 율격론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언이며 심미성이 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Youngrang`s prosody pattern in his early poems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novel interpretation of his early poems on the basis of his perception of prosody. The theory of prosody in the study of poems stems from the questions about what is the object of prosody in poems, whether the object of prosody has its substance, how its substance can be manifested if it does not have substance, whether its substance has value, and how the value acquires an objective recognition if it does. The same position holds for Youngrang`s poem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he prosody pattern in his early poems is represented by the versification of 4 lines and its isomorphs, the formation of phoneme series and their contexts, and the creation of prosodic units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identical or similar words. These prosody patterns function as a measure of the poet`s perception of prosody. Youngrang`s perception of prosody tends to represent independent series and the recognition of the order they share. One term in the contrastive pair is nature symbolized by the completion of the order; the other is the individual subject embedding deficiency. His poems set a context where the nature is recognized as the symbol of a stable order and the individual subject hopes and expects the possibility of recovering the order for the deficiency, which is a practical limitation. To do this, the poet molds an elegant melody to represent the order the nature embeds, and presents a continuous flow for the recognition of prosody. The individual subject who is heading toward the order of a favorable circulation gets to believe that his limitation will get overcome by following the order of nature. His poems adopts a context where the order of the nature, as a metadiscourse, is beatuified by melody and harmony, and the deficient reality will finally get recovered through the contrast and harmony of series. This point is the message and the appreciation of the beauty that the prosody pattern of his poems deli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