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FC 건조공정을 이용한 TiO<sub>2</sub>에어로젤 제조의 전구체 효과

        이승문,김원일,홍인권,김형진,정구형 한국공업화학회 2002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2 No.0

        광촉매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TiO<sub>2</sub>는 자신이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모든 유기물을 산화시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한다. 또한 염소(Cl<sub>2</sub>)나 오존(O<sub>3</sub>)보다 높은 산화력 과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 다른 어느 광촉매보다 뛰어난 성능을 갖고 가장 널리 이용된다. TiO<sub>2</sub> 에어로젤은 솔-젤공정에 의해 제조된 TiO<sub>2</sub> wet gel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인 초임계유체 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초임계유체 건조 공정은 임계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임계압력 이상으로 압축될 될 때 임계온도 이상에서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밀도가 증가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용해력이 우수한 propylene oxide와 1,2-epoxybutane 전구체를 사용하여 가수분해(hydrolysis) 및 중합(condensation)을 조절함으로서 TiO<sub>2</sub> wet gel을 제조 공정에 따른 gel time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수분 및 solvent 영향에 따른 gel time을 비교하였다. 전구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gel time은 감소하였으며, solvent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gel time은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분의 양에 따라 wet gel은 soft gel 및 hard gel의 영역을 확인함으로써TiO<sub>2</sub> wet gel의 최적 변수를 찾고자 하였다. 초임계유체 건조공정으로 위의 변수들에 따른 구조적 변형이 없는 비표면적이 넓은 TiO<sub>2</sub>에어로젤을 제조하여 각각의 물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대교 외부의 히브리공동체의 정당성 확보와 리더십 경쟁 ‒히 13장 1014절을 중심으로

        이승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2 대학과 선교 Vol.22 No.-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social context of Hebrew Christian community through a delicate exegesis of Hebrews 13: 10−14. In addition, what the author of Hebrews signifies about the problem that Hebrew Christian community faces is scrutinized. I hypothesize that The Hebrews author's hidden intention inferred in Hebrews 13: 10−14 is to justify Hebrew Christian community referred to as “Outside the Camp.” In other words, the argument that Hebrew Christian community is more advantageous than orthodox Jewish community is believed to be very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the very identity of Hebrew Christian community. Therefore, the key to understanding Hebrews 13:10−14 lies in the significance of “Outside the Camp.”However, this study's concern is not confined only to spatial metaphor of “Outside the Camp.” As throughout the book of Hebrews there is a sharp contrast between Jewish community and Hebrew Christian community, Hebrews 13: 10−14 passage compares fruitless Judaism with fruitful Hebrew Christian community. In other words,the passage should be interpreted as a clear intention of the author:food code of Judaism is useless while Hebrew Christian community is beneficial. Such a contrast becomes a critical point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of Hebrew Christian community standing “Outside the Camp.” Behind such a sharp comparison, we not only find out the theological intention of the Hebrews author, but also suppose the context of Hebrew Christian community which received the Epistle to Hebrews. Another critical point of this passage lies in the fact that the recipient community was to account for the death of Jesus Christ. In this case, the true meaning of Christ's death couldn't be understood only with spatial metaphor. It is due to the fact that if people find it hard to distinguish animal offering burnt outside the city gate from Christ “Outside the city gate”, a serious theological problem could have happened. In case of the same treatment of both cases,Hebrew Christian community could be accused of believing in the cursed Christ. Moreover, in interpreting remnant groups within the camp and outside the camp, Hebrew Christian community could confront identity crisis as the cursed group. Therefore, the author of Hebrews attempts to persuade Hebrew Christian members to believe that the death of Jesus is not God’s curse but vicarious atonement for His people, and thus to prohibit some of its members who are about to convert to Judaism from returning to Judaism. The last, but not the least, point is that the author of Hebrews sets up Jerusalem as ephemeral, recommending the recipient community should wait for an enduring city. Through such a framework, Hebrew Christians try to found their genuine identity although they are situated “Outside the Camp.” To put it simply,demonstrating the superior image of Christ, the Hebrews author needs to explain their status symbolized in Outside the Camp. Judaism emphasizes only futile food code. However, despite noncompliance of food code, Hebrew Christian community is not only given the forgiveness of sins by Jesus Christ, but also entitled to serve God. More importantly, while contemporary Judaism revels in vanished earthly sanctuary without any legitimate leadership,Hebrew Christian group equipped with genuine leadership not only looks forward to 'an enduring city' but also would reside in it. 본 소론의 목적은 히브리서 13장 10-14절을 면밀하게 주석함으로써이 단락의 이면에 담겨져 있는 히브리 공동체의 정황을 추적하는 데있다. 더 나아가 여기서 추적된 히브리 공동체의 정황 가운데서 히브리서저자가 이 단락을 통하여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히브리서 13장 10-14절의 이면에 담긴 저자의 의도는 유대교를 상징하는진영 밖에 놓여 있는 히브리공동체의 위치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라 할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히브리공동체가 유대교보다 유익함이 있다는점에서 상대적으로 우월한 사람들로 자신의 공동체의 정체를 규정하는정체성 확보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대교 안과밖을 상징하는 공간이 차지하는 의미는 이 단락을 이해하는 열쇠의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본 소론은 유대교 안과 밖이라는 대조를 통하여단순히 공간의 메타포만을 다루려는 것이 아니다. 히브리서에서 전반에걸쳐서 유대교와 히브리공동체의 대조가 두드러지듯이, 이 단락에서는무익한 유대교와 유익한 히브리공동체의 대조를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이 단락에서 유대교의 음식규례의 무익성을 드러내고 히브리공동체의유익성을 대조하려는 저자의 의도를 포착할 수 있다. 이 점이 유대교밖에 있는 히브리공동체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논점이었다. 이와 같은 대조의 배후에는 히브리서 저자의 신학적 의도뿐만 아니라,히브리서 수신 공동체의 정황이 놓여 있다. 더 나아가 수신 공동체가 주요한 논점으로 다루어야 했던 것은예수의 죽음이 주는 의미에 있다. 이 경우는 예수의 죽음의 의미를단지 공간적인 메타포만을 가지고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반영한다. 진영 밖에 불태워졌던 동물과 성문 밖의 그리스도를 동일하게 처리할때 파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동일하게 처리할 경우, 히브리공동체가 저주받은 그리스도를 믿는 공동체로 명명될 수 있는어려움이다. 더 나아가 진영 안에 남아있는 부류와 진영 밖에 있는부류에 대한 해석에서 진영 밖이라는 의미가 줄 수 있는 저주받은 부류라는 인상은 히브리공동체의 정체성에 많은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히브리서 저자는 성문 밖의 예수의 죽음이 하나님으로부터 저주가 아니라 백성들의 속죄를 위한 죽음이었다는 것을 설득력 있는 논증을 통하여변호함으로 공동체 내 구성원들 가운데 유대교로 전향하려는 그들의마음을 돌이키고자 한다. 여기서 히브리서 저자는 예루살렘 성을 영구하지 못한 성으로 설정하고 영구한 도성을 기다려야 한다는 것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구도를 통하여 히브리공동체는 상징적인 의미의 유대교인‘진영’ 밖에 위치해 있는 자신의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보하려 했던것이다. 다시 말하면, 저자는 히브리서의 수신 공동체 구성원들에게유대교와 비교하여 우월한 그리스도교의 상을 제시하고, 상징적인 의미의 진영인 유대교 밖에 있는 자신들의 위치를 설명할 수 있어야 했다.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서의 영광에 대한 주요 연구동향과 사회학적 재해석

        이승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0 대학과 선교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ajor study trends on the Glory in the Gospel of John in order to reinterpret it in a sociological aspect. Furthermore, it is to induc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Johannine community that is under-toned in the paragraph of mutual glory, and to see what kind of social functions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conducted in the Johannine communit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s a sociological analysis employing a method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with an assumption that each text of the New Testament reflects the social world of the community that produced its own document. The Son of Man ‘Jesus’ realize the mutual glory between the Son of Man(Jesus) and God by willingly walking the path of death without fearing death(John 13:31). However, John wrote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as ‘the mutual glory of Johannine community’ instead of staying in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Jn 17:22): “I have given them the glory that you gave me, that they may be one as we are one”. The glory that was given to John’s Jesus was the mutual glory of Son of Man. Jesus got glory by asking for it from God who sent him(Jn 5:41, 44; 7:18). He revealed God to the world by not fearing death(Jn 12:42-43) and he realized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by raising ‘God’s glory’ over ‘man’s glory’. Likewise, Jesus gave his mutual glory to his disciples, which means John's community. The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who received this glory needed to chase after the glory of Jesus, who was God(cf. Jn 17:10; 5:44; 14:31). Also the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needed to reveal Jesus, who sent them(cf. Jn 13:35), to the world by not fearing of death and by willingly sacrificing themselves(Jn 15:13). Therefore, the reason why John emphasized ‘the mutual glory for the Son of Man’ was not just to reveal high Christology, which says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and is therefore God. It was because John tried to legitimate the death in front of the danger that the community had, through ‘the mutual glory of the Son of Man’. 본 논문의 목적은 요한복음서의 영광 단락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사회학적 재해석을 통하여 상호영광 단락이 함의하고 있는 요한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도출하고, ‘인자의 상호 영광’이 요한공동체내에서 어떠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고찰하려는 데 있다. 본논문의 연구방법론은 신약성경의 각 텍스트가 그 텍스트를 산출한 해당 공동체의 사회적 세계를 반영한다는 지식사회학의 방법을 활용하는사회학적 분석을 포함한다. 인자이신 예수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죽음의 길을 기꺼이 걸어가심으로써 인자와 하나님의 상호 영광을 이룬다(요 13:31). 그러나 요한기자는 인자의 상호 영광에 머물지 않고,인자의 상호 영광을 요한공동체의 상호 영광으로 옮기고 있다(17:22). “내게 주신 영광(인자의 상호 영광)을 내가 저희에게 주었사오니(요한공동체의 상호 영광) 이는 우리가 하나가 된 것같이 저희도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이니이다”(17:22). 요한의 예수에게 주어진 영광은 인자의상호 영광이다. 예수는 자신을 보내신 자인 하나님의 영광을 구함으로자신도 영광을 얻는다(5:41, 44; 7:18). 그리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12:42-3) 자신을 보내신 자인 하나님을 세상 가운데서 드러내었고, ‘사람의 영광’보다 ‘하나님의 영광’을 더 사랑함으로 인자의 상호영광을 이루었다. 이처럼, 하나님이 예수에게 주었던 상호 영광은 이제예수가 제자들에게, 즉 요한공동체에게 주고 있다. 이 영광을 받은 요한공동체 멤버들은 마땅히 그들을 보내신 하나님이신 예수의 영광을구하여야 한다(17:10; 5:44; 14:31 참조). 또한, 요한공동체 멤버들은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세상 가운데서 기꺼이 죽음으로(15:13) 자기들을 보내신 자인 예수를 세상에 알려야 한다(13:35 참조). 그러므로요한기자가 복음서에서 인자의 상호 영광을 강조하고 있는 궁극적인이유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이라는 고등 기독론을 드러내는것에만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요한기자는 그 무엇보다도 요한공동체의 인자의 상호 영광을 통해서 공동체가 당면한 위기앞에서 ‘죽음의 합법화’를 이루려 하였기 때문이다.

      • KCI등재

        사도행전 1:6-8의 대위임 명령과 리더십 승계의 유형 - 사회과학적 비평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승문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4 No.2

        This essay aims to analyze types of leadership succession between Jesus and his disciples reflected in the ascension of Jesus in Acts 1:6-8, which represents an ideal model of leadership succession in the New Testament. Previous studies primarily depend on a theological perspective such as eschatological or Christological. However, this essay argues that Luke suggests the Great Commission type as a model of leadership succession in the Lukan community. In other words, through the commission of becoming a witness in Acts 1:6-8, Luke expects leadership succession from Jesus to disciples, and then from disciples to members of the Lukan community. Luke declares that the Lukan community succeeds to the leadership with the authority assigned to the disciples by the Holy Spirit through the ascension of Jesus. Furthermore, Luke alludes that the members of the Lukan community will embark their journey as witnesses like Stephen or Paul since they succeed to the leadership and authority assigned to the disciples. 본 논문의 목적은 사도행전의 리더십 승계 유형에 대한 분석과 이상적인 모델 연구의 중점적인 핵심에는 <예수그리스도-12사도(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위해 사도행전 1장 6-8절에 나오는 예수 승천단락에 반영된 예수-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1장 6-8절 단락에 대한 종말론적 접근이나 기독론적 접근 등과 같은 신학적인 접근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누가는 이 단락을 통해 예수의 대위임 명령 유형(type)을 누가공동체의 리더십을 승계하는 모델로 설정하여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누가는 사도행전 1장 6-8절에서 증인이 되라는 선교위임을 통하여 리더십 승계가 예수로부터 제자들에게로, 더 나아가 제자들로부터 누가공동체 멤버들에게로 계속 승계가 이어지기를 기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선교위임을 통하여 누가공동체는 먼저 예수의 하늘로의 여행으로 인하여 예수가 성령을 통하여 제자들에게 부여한 권능으로 리더십을 승계하였다는 것을 밝힌다. 더 나아가 누가는 누가공동체 구성원들이 제자들에게 부여된 권능과 리더십을 승계 받았기에 이제 누가공동체 멤버들도 스데반이나, 바울처럼 증인으로서의 여행을 시작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원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효과적인 선교전략과 아브라함의 이미지들

        이승문 한국대학선교학회 2008 대학과 선교 Vol.15 No.-

        This paper is a social scientific attemp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the social functions of the image of Abraham that is dominant in Galatians, and to articulate upon how it was interpreted in the interplay of Paul, the Galatian community, and the opponents of the Galatian community. Paul’s opponents suggested the image of Abraham in Genesis 17 as an example in order to support the covenant of circumcision. However, Paul presented the image of Abraham in Genesis 15:1-21 in order to support the fact that everyone participates in the covenant of the curse through the sacrifice of Christ. The recognition of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covenants in Genesis 15 and 17 can be traced in Galatians. Clearly the degree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venants pericopes. In this presentation Paul argued that circumcision was neither a sign of justification nor a sign of the promise of Abraham. Instead he claimed that the covenant of the curse is a sign of justification and the promise of Abraham. Paul argued that the Galatian members could be the object of the blessings of Abraham, sons of Abraham, and joint heirs in the promise of Abraham through the covenant of the curse. In essense, Paul persuaded the Galatian members of the different gospel to transfer in his gospel through the same methods that his opponents used 본 소고는 갈라디아서에서 지배적인 아브라함의 이미지가 바울과 갈라디아 공동체와 갈라디아 공동체의 대적자들의 삼자 간 역학 관계 속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고 어떠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지를 규명하려는 사회 과학적 시도이다. 바울의 대적자들은 할례의 언약을 요구하기 위해 창세기17 장을 중심으로 아브라함의 이미지를 제시했다. 반면에, 바울은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하여 저주의 언약에 참여시키기 위해 창세기15장1-21절을 중심으로 아브라함의 이미지를 제시했다. 창세기15 장과17 장에 담겨 있는 언약들의 특징과 내용 간의 근본적인 차이들에 대한 인식을 갈라디아서에서 추적할 수 있다. 연속성과 비 연속성의 정도가 두 언약의 페리코프들간의 관계성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통하여 바울은 할례가 인의 의표지가 아니며 아브라함의 약속의 표지도 아님을 지적했다. 반면에, 바울은 저주의 언약이 인의 의표지이며 아브라함의 약속의 표지임을 주장했다.바울은 갈라디아 공동체멤버들이 저주의 언약을 통하여 아브라함의 복과 아브라함의 자손들과 그리고 아브라함의 약속의 대상이 될 수 있었음을 천명했다. 바울은 대적자들이 사용한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다른복음에 동조한 갈라디아 공동체멤버들을 바울이 처음에 전한 복음의 자리로 옮기도록 설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