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들깨박의 첨가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승교(Seung Gyo Rhie),박양자(Yaung Ja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0 No.1

        라드ㆍ콜레스테롤을 사용한 식이에 들깨박을 식이섬유소로 사용하여 흰쥐의 지질대사변화를 알아보고자 혈청, 변 및 간조직의 총지질 및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을 분석하였다.<br/> 실험식이 간의 증체량 식이섭취량 사료효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혈청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은 들깨박 첨가식이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변중의 총지질과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은 들깨박첨가식이군이 훨씬 높았으며 간의 지질성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인지질은 들깨박 첨가군에서 유의성있게 높았다. 이로서 들깨박은 변중의 지질배설증가와 간의 인지질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혈청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 of defatted perilla as a dietary fiber on lipid components of serum, feces and liver in rats.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ficantly decreased in defatted perilla added groups. Total 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fec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efatted perilla added groups. Liver phospholipid content was higher in the defatted perilla added groups. The other lipid components of the liver were not affected by the defatted perilla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defatted perilla have a reducing effect of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rough the increment of fecal excretion of lipid component and phospholipid in liver.

      • SCOPUSKCI등재

        농촌주부의 식이섭취와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 경기일부지역을 중심으로 -

        이승교(Seung-Gyo Rhie),최영숙(Young-Sook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1

        농촌 주부의 식생활상태는 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식생활환경과 식사내용 및 혈액성상에 대한 내용을 분석 비교하였다.<br/> 대상자의 학력은 낮으며 가족수는 전국평균보다 많으며 약한 저체중상태가 60%나 되었다. 가정기기의 사용률은 중간 정도이나 농기계 보유율은 1.36대에 불과 하였으며 위생생활은 이루어진다고 볼 수있으나 문화생활수준은 매우 낮았다. 혈압은 정상보다 낮으며 농부증은 4.72점으로서 요관찰대상점수였다. 식품군별 섭취량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곡류와 채소가 주류이고 동물성식품은 빈약하였다. 영양소는 비타민C 및 나이아신을 제외하고 모두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칼슘은 66.3%, 철분은 56.6%로서 특히 낮았다. 혈액성상은 혈청단백질은 정상으로 지질, 칼슘, 마그네슘 등은 정상범위는 벗어나지 않으나 낮은 수준이었다. 혈청철분과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은 낮은 수치가 많아 빈혈빈도가 높음을 보였으며 혈철 ferritin은 특히 낮았다. 각 요인의 상관관계를 보면, 곡류는 혈청마그네슘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혈청콜레스테롤은 곡류, 유지류, 채소류, 육류의 섭취와 상관을 보이고 체중과 신체충실지수와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빈혈과 관련하여 볼 때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수치는 과일류, 생선류의 섭취와는 음의 상관을, 신체충실지수와는 양의 상관을 보였다. A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etary environment, food intake, and blood picture of rural housewives. Sixty percent of female farmer's was in weak health state. Mean farmer's syndrome score was 4.7, which, meaning that they must give attention to their health. The intake of animal food group was poor. Most of nutrients taken by them were almost lower than those of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except vitamin C. According to the blood tests, the blood levels of lipids, calcium, magnesium, iron,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in lower states. All of the farmers were lower serum level of ferritin, whereas but glucose, protein, and albumin levels were normal. Serum magnesium was correlated with cereal intake. The intake of cereal, fat and oils, and vegetables was correlated with physical perfect index.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ood group of fruits and fish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김치의 熟成에 미치는 溫度의 影響

        이승교(Seung Gyo Rhie),전승규(Sung Kyu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1 No.3

        김치의 副材料의 배합을 달리한 두 종류에 대하여 醱酵溫度에 의한 저장기간 동안의 비타민과 맛과 변화를 관찰하였다.<br/> (1) 成熟期間 동안 비타민 B₂의 함량은 발효온도 10℃에서 30일 경에 최고의 증가량(173%, 156%)을, 0℃에서는 60일경에 최고율(162%, 160%)을 나타냈으며 成熟未期에 이르러도 총량은 초기의 만큼 存在하고 있음(100%, 94%)을 보인다.<br/> (2) 비타민 C의 량은 10℃ 발효에서 10일 경에(162%, 144%) 0℃발효에서 60일 경에(123%) 최고값을 보였으나 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br/> (3) 관능검사원을 이용한 품질검사로서 김치의 맛은 제조즉시와 성숙적기(10℃ 30일 0℃ 60일 경)에 최고치를 보여 신선한 맛과 성숙된 맛을 즐김을 보여 주었다. In order to determine proper condition of fermentation, the contents of riboflavin, vitamin C, taste and pH were observed at 10℃ and 0℃ using two kinds of Kimchi. (15 and 7 kinds of subsidiary ingredients)<br/> The percentage ratio of riboflavin reached maxima (173% and 156%) in the 30 days period at 10℃ and (162% and 160%) in the 60 days period at 0℃. At the period of borderline, that person is not accept the tasts because of too sourness, total riboflavin is remained so much that of origin(100%, 94%).<br/> The amount of vitamin C increased by 162% and 144% at 60days according to at 0℃, and then decreased gradually.<br/> The palatibility test by 10 trained panels, most Koreans favored both freshness and repeness of Kimchi.

      • KCI등재

        흰쥐의 Mortierella alpina 균사체와 추출유의 섭취에 의한 생육 효과와 학습능력 비교

        이승교(Seung Gyo Rhie),강희윤(Hui Yoon Kang),박영주(Young Joo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6

        아라키돈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면서 생산가능한 균주로서 독성을 보이지 않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할 때 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곰팡이의 추출유와 곰팡이 자체의 섭취로서 arachidonic acid를 섭취토록 하여 생육과 뇌발달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우지를 섭취시킨 쥐와 비교할 때 식이군별 암컷의 체중변화에서는 비교적 체중이 증가되지 않은 군은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으로 나타났으며 새끼를 젖뗀 후 심하였지만 개체 차이가 심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분만 직후의 체중증가는 수유동안 감소가 일어나 이유시기에는 체중 감소가 각 군 모두에서 일어났다. 새끼에서는 이유전까지는 체중증가에 어미의 식이군에 따른 차이가 전혀 보이지 않았으나 이유 후 식이섭취 동안 군별 차이가 있어 특히 적은 양을 섭취한 Mortierella alpina 섭취군(LF)에서 체중이 가장 적었다. 섭취량자체도 적었고 증체량도 적었기에 이에 대한 식이 효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어미와 새끼의 미로실험에서 어미의 경우는 식이별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없었으며 또한 2차에 걸친 시기에서도 학습효과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유기 새끼의 미로 측정 결과를 보면, 통제군에 비하여 고추출유섭취군(HO)에서 실수의 빈도가 감소하였고 backing error빈도는 다른 군보다 낮았다고 볼 수 있어 긴사슬 지방산의 효과를 일부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숙기인 7주령에 시행한 미로실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뇌의 성장에 이유기까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결과로 보며, 지방급원으로서 곰팡이 자체의 섭취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효과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곰팡이의 체내 소화작용이나 식이섭취에 다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어미와 새끼의 DNA함량을 비교하면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의 체중 증가의 지연에서 보듯이 뇌의 성장에서도 지연됨(무게감소)과 함께 DNA함량에서도 적게 나타났으나 어미의 경우, 간과 뇌의 DNA함량에 식이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이유기 새끼의 뇌의 DNA함량은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이 가장 적었고 간의 DNA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새끼의 성숙기에는 식이군 간 차이가 있어 뇌의 DNA함량은 여전히 적었으나 간의 DNA함량에서는 체중 g당 환산할 때 Mortierella alpina를 적게 섭취한 군(LF)이 더 많아서 신체에서 간이 더 커진 모습을 보였다. 아라키돈산의 섭취가 특히 어린시기의 뇌발달에 필요함을 인식할 때, 아라키돈산의 급원으로서 식이에 일정비율 공급할 필요에 맞추어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Mortierella alpina 곰팡이를 이용함으로서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곰팡이의 배양과 기름의 추출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기름의 섭취에서 생육에 문제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량의 함유 아라키돈산의 효과를 미로를 이용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고도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기에 산화과정을 우려하여 곰팡이 자체를 섭취시켜 본 결과 성장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이는 진균류의 세포막을 분리하여 내부에 포함된 지방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아라키돈산의 가격이 워낙 비싸기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추출유로 충분한 식품첨가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보지만 기타 미량 성분에 대한 추적이 요구되며 모든 공정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할 때 식품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Mortierella alpina, a common soil fungus, is the most efficient organism for production of arachidonic acid presently known. Since arachidonic acid are important in human brain and retina development, it was undertaken the growing effect containing diet as a food ingredient. Arachidonic acid rich oil derived from Mortierella alpina, was subjected to a program of studies to establish for use in diet supplement. This study was compared the growth and learning effect of fungal oil rich in arachidonic acid by incorporated into diets ad libitum. Sprague-Dawley rats received experimental diets 5 groups (standard AIN 93 based control with beef tallow, extract oil 8%, and 4%, and Mortierella alpina in diet 10% and 20%) over all experiment duration (pre-mating, mating, gestation, lactation, and after weaning 4 weeks). Pups born during this period consumed same diets after wean for 4 week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et effects in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fertility from birth to weaning. But the groups of Mortierella alpina diet were lower of weight gain and diet intake after weaning. The serum lipi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iet groups, higher TG in LO (oil 4%) group of dams, and higher total cholesterol in LF (M. alpina 10%) of pups, although serum album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iet group. The spent-time and memory effect within 4 weeks of T-Morris water maze pass test in dam and 7-week- age pups did not differ in diet groups. On the count of backing error in weaning period of pups was lower in HO (extracted oil 8%) group. In the group of 10% and 20% Mortierella alpina diet, DNA content was lower in brain with lower body weight, but liver DNA relative to body weight was higher than control. Further correlation an- alyses would be needed DNA and arachidonic acid intakes, with Mortierella alpina diet digestion rate.

      • SCOPUSKCI등재

        절임條件別 배추에 의한 김치의 熟成中 Riboflavin과 Ascorbic Acid의 含量變化

        이승교(Seung-Gyo Rhie),김화자(Hwa-Z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3 No.2

        배추의 輸送과 加工上의 便宜를 위하여 鹽濃度別 절임 條件을 檢討하였으며, 절임배추로써 만든 김치의 熟成中의 ascorbic acid와 riboflavin의 含量 變化를 측정한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br/> 1. 생배추를 10, 20 및 25%의 소금물에 각각 24시간 절였을 때 부피는 62~65%, 무게는 15~42%가 減少하였다.<br/> 2. 각각의 소금물농도로 절인 배추를 10 일간 초겨울 外氣溫度에 貯藏하였을 때 riboflavin 含量의 減少는 없었으나 ascorbic acid 含量은 1/3 정도 減少하였다.<br/> 3. 절임貯藏期間에 따른 김치 製造시 절인 즉시 담근 김치는 貯藏期間이 10 일째의 것에 比하여 riboflavin 含量變化는 별로 없었으나, ascorbic acid는 貯藏期間이 긴 것일수록 含量이 낮았다.<br/> 4. 김치의 官能檢査 結果, 절임저장배추를 使用하여 김치를 담그면 제조 첫 날의 맛에는 차이가 없으나 醱酵期間이 길어짐에 따라 맛이 떨어졌다. For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utility of raw chinese cabbage during harvest season, the condition of pretreatment for the raw chinese cabbage with pickle has been examined by preserving for one to ten days.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riboflavin and ascorbic acid in kimchi (pickled-seasoned chinese cabbage), which was manufactured by using the pickled cabbage as a main raw material, along with ginger, garlic, red pepper powder. rad-dish and fermented shrimp as seasonings, during ripening were investigated with specially referred to palatability. The yield of the pickled cabbage compared to the raw cabbage after treating with pickle was 62 to 65% in volume and 15 to 42% in weight. After 10 days of pickling of the chinese cabbage, one-third of total ascorbic acid was diminished but no change in riboflavin content was observed. During ripening of kimchi, riboflavin content in kimchi processed with the pickled cabbage has not been changed compared to the content in conventionally made kimchi, however, slight decrease in ascorbic acid content in the kimchi processed with the pickled cabbage was as certained. The result of organoleptic test showed that the kimchi processed with the pickled cabbage became inferior to the conventionally made kimchi with the days of ripening.

      • SCOPUSKCI등재

        일부농촌주부의 무기질 섭취와 혈청지질ㆍ무기질 함량 비교

        이승교(Seung-Gyo Rhie),이동태(Dong-Tae Lee),김화님(Hwa-Nim Kim),김애정(Ae-Jung Kim),승정자(Chung-Ja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5

        농촌지역 주부들의 일상식이 섭취로서 혈청지질, 무기질,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6세~57세 건강한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하루의 에너지섭취는 1,770.4㎉이며 단백질은 55.6g이며 3대 열량원의 구성비는 77.1 : 10.4 : 17.5로서 지방질 섭취량이 적었다. 무기질 섭취량은 나트륨 4,330㎎, 인 485.7㎎, 칼슘 388.0㎎, 아연 8.99㎎와 구리 2.23㎎이였다. 무기질의 하루중 뇨의 배설량은 나트륨 4,370㎍, 인 371,3㎎, 칼슘 190.0㎎, 아연 328㎍ 및 구리 49.6㎍이었다. 혈청지질은 콜레스테롤 169.0㎎/dl, 중성지방 70.6㎎/dl 및 β리포단백질 304.9㎎/dl이며, 무기질은 나트륨 142.3mM, 인 3.94㎎/dl, 칼슘 9.06㎎/dl, 아연 1,215.7ppb와 구리 620.0ppb이었다. 혈청지질은 체격과 밀접한 상관이 있으며 다른 무기성분과 상관관계를 보면 식이나트륨과 아연은 혈청지질 성분과 구리의 배설은 중성지방의 성분과 상관이 있었다. To compare the dietary and urinary minerals with serum lipid and miner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0 rural housewives in Kyunggi area. Mean intake of energy was 1770.3㎉ and protein 55.59 per day. Mineral intakes per day were measured ; sodium 4330㎎, phosphorus 485.7㎎, calcium 388.0㎎, zinc 8.99㎎ and copper 2.23㎎. Urinary minerals were analysed ; sodium 4379㎎, phosphorus 371.3㎎, calcium 190.0㎎, zinc 328.0㎎ and copper 49,6㎎. Serum contents of lipid and minerals were ; cholesterol 169.0㎎%, triglyceride 70.6㎎%, β-lipoprotein 304.9㎎%, sodium 142.3mM, phosphorus 3.94㎎%, calcium 9.06㎎%, zinc 1215.7ppb and copper 620.0ppb. Dietary sodium and zinc, urinary copp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erum lipi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