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丹陵 李胤永(1714-1759)의 繪畵世界

        이순미(Lee Soon-mi)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2·243

        본 논문은 평생 出仕를 거부하고 벗들과 낭만적인 詩文과 書畵활동을 하며 명승명소를 유람하는 등 隱者的 삶을 살았던 文人畵家 丹陵 李胤永(1714-1759)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李胤永은 字가 胤之이며 號는 1741년경에 지었던 서재 이름을 따라 澹華齋, 1748년경에 明紹先生 그리고 단양에 은거한 이후로 丹陵山人, 丹丘處士라 했다. 단양에 은거하는 동안에는 蒼露亭과 棲碧을, 서울로 돌아와서는 水品樓라는 정지를 세웠다. 이윤영의 집안은 조선 후기 문예와 정치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金昌翕(1653-1722) 등 安東 金氏 집안과는 혼인으로, 李喜朝(1655-1724) 등 延安 李氏 집안과는 학맥으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가계의 배경은 이윤영의 문예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시인이자 서회수장가로 잘 알려진 族大父 李秉淵(1671-1751), 정치적으로 영향이 컸던 仲父 李台重(1694-1756), 處士的 삶을 살았던 스승 尹心衡(1698-1754) 등에게 학문과 서화 등 문예 전반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이윤영은 스승 윤심형이 주장한 문장의 궁극적 목표는 道를 깨치는 것에 있다는 因文悟道를 계승하여 文을 통해 道로 나아가는 문예관을 문학, 서화 등 문예활동 전반에 적용하였다. 그는 그의 문예활동을 ‘대나무를 傅神하고 눈속의 芭蕉에 寫意한다.’라는 회화와 관련된 傅神과 寫意로서 요약하였다. 이것은 대상물의 외양을 배제하거나 요약하여 그 안에 정신을 구현하려는 것으로 창작자의 기교보다 마음가짐을 중시하는 寫意的 藝術觀이다. 이윤영은 서로의 집을 오가면서 詩文을 교환하고 서화를 함께 감상하고 제작할 만큼 절친했던 친구 李麟祚(1710-1760)과 이러한 사의적 문예관을 함께 추구하였다. 이윤영의 사의적 문예관은 그에게 周易을 배우면서 학문적으로 영향 받았던 朴趾源(1737-1805)을 비롯한 19세기 北學派의 사의적 예술관에 일정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윤영은 진흙에서 피어났음에도 아름다움을 뽐내는 연꽃을 혼탁한 세상에 홀로 서 있는 君子의 모습으로 보았다. 그는 〈西池白連圖〉를 비롯한 〈蓮花圖〉 등을 즐겨 그러면서 평생 소망했던 군자의 삶을 연꽃을 통해 표현하였다. 또한 그는 산수를 배경으로 한 芽亭圖나 峻石을 주제로 한 山水圖 등 절개를 상징하는 소재에 지신의 내면세계를 담아내었다. 그는 趙榮?(1686-1761) 등의 선배화가와 畵譜類, 明代 吳派와 安徽派 등 다양한 畵風을 섭렵하여 개성있고 문기있는 작품세계를 보여 주었다. 특히 그가 좋아했던 峻石의 표현에 안휘파의 암석 표현을 적극 수용하였다. 은거 이전의 〈樹石圖〉, 〈皐蘭寺圖〉에서는 굵은 필선의 둥근 윤곽선과 각이 진 형태의 암석으로 나타낸 반면에 1751년 단양 은거 이후의 〈龜潭圖〉. 〈道譚三峰圖〉에서는 거칠고 단단한 느낌의 필선으로 괴석과 같은 암석에 자신이 지향하는 정신성이 드러나도록 화면을 재구성하였다. 安徽派 화풍의 수용은 사물의 형태보다 작가의 정신성을 추구하는 그의 寫意的 藝術觀의 표현에 적절하였던 것이다. 이윤영은 조선시대 18세기 회단의 중요한 경향이었던 寫意的 文人畵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인물이다. 자신을 완성하는 道의 길과 문학, 서화 등 예술의 길을 동일시하였던 그의 예술관과 작품들에 대한 이해는 18세기는 물론 19세기 北學派의 寫意的 文人畵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life and art of Lee Yun-yeong (李胤永, 1714-1759), a literati painter who lived as a hermit refusing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y and devoting himself to writing and painting, and visiting beautiful and famous places for life time. His nickname was Yun-ji (胤之) and he had several pen names. For example he used pen name Damhwajae (澹華齋) after the name of his library in 1741, Myeongsoseonsaeng (明昭先生) in 1748, and Danreungsanin (丹陵山人) and Dangucheosa (丹丘處士) while living in retirement in Danyang (丹陽) province. He built pavilions such as Changhajeong (蒼霞亭) and Seobyeokjeong (棲碧亭) while living in Danyang, and constructed Sujeongru (水晶樓) when came back to Seoul. Lee Yun-yeong's family established close relationship with academically and politically influential families They had marital relations with Kim Chang-heup (金昌翕, 1653-1722) from Andong (安東) Kim family, the most influential family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academic relations with Lee Hui-jo (李喜朝, 1655-1724) from Yeonan (延安) Lee family. Such a family background is an essential condition to understand Lee Yun-yeong's art and literature. He was largely influenced by his elder relatives including Lee Byeong-yeon (李丙淵, 1671-1751) who was well known as a poet and fine art collector, Lee Tae-jung (李台重, 1694-1756) who was politically influential, and Yun Sim-hyeong (尹心衡, 1698-1754) who was a teacher of him and scholar in retirement. In particular, Lee Yun-yeong inherited his teacher Yun Sim-hyeong's Inmunodo (因文悟道) that ultimate goal of cut is to realize truth. He applied such a view to his art work as a whole including literature cu1d painting. He summarized his art ‘portray the inside of bamboo and express your mind through banana plant in snow (傅神盆上竹 寫意雪中蕉).’ This is an art view emphasizing artist' s mind rather than artistic skill by excluding or summarizing outward appearance of objects in order to represent soul hidden inside of them. He shared such view of art with his very close friend Lee In-sang (李麟祥, 1710-1760). They exchanged poems, appreciated and created paintings together. Lee Yun-yeong's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influenced, to some extend, advocates for Bukhak school (北學派) in 19th century pursuing pragmatic and reformist values, including Park Ji-won(朴趾源, 1737-1805) who was taught the Book of Changes (周易) and academically influenced by him. Lee Yun-yeong showed unique and literary painting style by being influenced by senior painters including Jo Yeong-seok (趙榮?, 1686-1767) and partially accepting painting styles of Wu school (吳派) and Anhui school (安徽派) in the Ming dynasty. He tended to paint very symbolic objects reflecting spiritual world. He painted many pavilions or big, beautiful stones against background of mountains and waters, When he tried to portray big and beautiful stones, one of his favorite objects, he adopted Anhui school style. Before going into hermitage, he portrayed angled stones and rocks very with thick round lines, as shown in Suseokdo (樹石圖) and Goransado (皐蘭寺圖). But, after going into retirement in Danyang (丹陽), he almost perfectly represented his own spiritual world by recomposing and recreating strangely-shaped rocks with rough line, as shown in Gudamdo (龜潭圖) and Dodamsambongdo (圖潭三峰圖). His adoption of the Anhui school' s painting style was very appropriate to his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by excluding or summarizing the outward appearance of objects. Lee Yun-yeong loved lotus flower very much. That is because he thought that as a flower blossoming in the mud, it resembles a Wise man (君子) who stands alone in the corrupt world. He tried to portray the life of a Wise man whim he wanted for life in Seojibaekyeondo (西池白蓮圖) and Yeonhwado (蓮花圖). Lee Yun-yeong is a crucial figure in understanding the stream of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which was a very important painting trend in 18th century. Understanding his art work and view of art identifying the way to truth

      • KCI등재
      • KCI등재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과 과제에 대한 탐색

        이순복 ( Lee¸ Soon-b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1

        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 내용을 바탕으로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에 대한 내용과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 내용에 대해 내용을 해석하고, 교사의 어려움을 제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에서 의도된 교육 설계 없이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만을 기초로 교육을 계획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 계획이 설계되기 위해서는 유아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고, 교육공동체의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유아 존재의 유능성을 믿고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교육의 변화에 맞도록 놀이를 이해하고 배움을 지원하기 위해 교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적절한 놀이 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유아의 놀이 자료를 효율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하여 평가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나, 의미있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선별하여 기록하는 평가에 대한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에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장학, 연수, 행ㆍ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xploring on understanding latent meanings and tasks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on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we discussed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proposed way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As a result, firs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design an education plan based on the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of teachers without the intended education plan in the planning desig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order for the desig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of planning, teachers reflect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should have competencies for ‘curriculum with communal involvement’. Second, it is difficult to plan and implement the curriculum by believing in the competence of the existence of young children, but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proper play-guidance by teachers are needed to understand and support play to suit the changes in education. Third, while it is not easy to efficiently record and evaluate data in various ways during play, it is essential for teachers to continue to study the evaluation of observing young children and selecting and recording deemed meaningful while observing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scholarship,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infant teachers suitable for the play 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온ㆍ오프라인 고객경험비용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순배(Soon-Bae Lee),강성주(Sung-Ju Kang),박영균(Young-Kyun Park)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1 전자무역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온ㆍ오프라인 고객경험비용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온ㆍ오프라인 고객경험비용 및 금전적인 비용과 비금전적인 비용은 고객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부모들은 그들이 보육료가 낮다고 판단할 때 보육시설에 대해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동시에 선택의 매력을 지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둘째, 온ㆍ오프라인 고객 경험비용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고객만족이 국ㆍ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 간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물론, 국ㆍ공립보육시설이 민간보육시설에 비하여 온ㆍ오프라인 고객경험비용과 고객만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of the customer’s experienced cost of the child-care facilities influences on customer satisfaction.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appears that customer’s experienced cost monetary expenses and non-monetary expens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We could tell that parents of students would find a child-care is value and perceive an attractiveness of decision they make at the same time when they think their nursing fee is reasonable. Secondly, customer experienced cost impa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show the same of influence between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goes, the higher the attitudinal loyalty appears.

      • KCI등재

        한국전쟁 후 시청각 미디어의 배치와 냉전의 미디어 네트워크

        이순진 ( Lee Soon-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8

        이 글의 목표는 1950년대 냉전의 미디어 카토그래피(cartography)가 현실을 구성하는 강력한 힘으로 작동했던 한국전쟁 후 한국에서, 영화를 비롯한 시청각 미디어들의 물적 토대가 구축되고 시청각 미디어에 대한 관념이 구성되어온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아시아재단, 유네스코, USIA의 현지 기관으로서의 주한미공보원(USIS Korea)과 같은 국제적인 에이전시들은 제 각기의 방식으로, 또 한편으로는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전후의 폐허상태에 놓인 한국의 미디어 환경을 새롭게 구축하고자 했다. 1950년대 동안 열렬히 진행된 서구의 미디어 프로젝트들이, 식민의 경험이라는 역사적 유산과 한국전쟁이라는 현실을 안고 있던 당시 한국의 조건과 갈등, 협력, 교차하면서 전후 한국의 시청각 미디어 환경을 조성했는가를 그 구체적인 전개 양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rise of discourse on audio-visual media such as film and its material foundation during the postwar years in Korea. The audio-visual media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making of the cartography of the Cold War in the 1950s. The international cultural agencies such as The Asia Foundation, UNESCO, USIA worked closely yet individually with USIS Korea to reconstruct the new media environment in the ruins of Korean War. The paper explores how this media project, led by the Western agencies throughout the 1950s, inspired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with the local players and agencies in Korea. The author argues that the unfolding scenario of the interplay had been shaped by Korea’s historical experiences of colonialism and Korean War.

      • KCI등재

        분산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객체의 분산 설계

        이순미(SoonMi Lee),오석(Suk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9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4 No.4

        본 논문에서는 분산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객체를 여러 사이트에 분산시키는 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제안된 객체의 분산 기법은 클래스의 분할 과정과 할당 과정으로 구성된다. 클래스의 분할 과정에서는 메소드, 계승 및 복합 객체와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반영한 애트리뷰트 분할 알고리즘의 정의하였고 할당 과정에서는 함께 참조되는 다른 클래스의 프래그먼트들은 같은 사이트에 할당함으로써 데이타 전송량을 줄일 수 있는 할당 수식을 정의하였다. This paper addresses the design of object distribution in distributed object-oriented databases. The proposed strategy of object distribution consists of two-step design of fragments. One step is class fragmentation and the other is allocation of fragments. We define partitioning algorithm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oriented databases in the class fragmentation and define expressions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transfer by allocating fragments of other classes referred together to one site in the allocation of fragm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