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수미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6
L'objet de ce travail est de dégager les valeurs linguistiques de l'adjectif indéfini même qui précède le nom. même classé comme adjectif indéfini peut être reclassé tantôt comme identificateur tantôt comme relationel. Mais quand on observe ses comportements linguistiques de plus près, on trouve qu'il ne correspond à aucune de ces classes. Même comprend les valeurs bien différentes des autres adjectifs. Même n'est pas autonome sur le plan syntaxique : il est dépendant du nom avec lequel il se combine. Antéposé, il détermine le référent qu'introduit ce nom. Comme prétend M. Grevisse, il connaît la détermination parfaite : il se combine en général avec l'article défini et le démonstratif. De plus, bien qu'il n'accepte pas l'article indéfini pluriel des, il se combine pourtant avec un(e), et peut également être utilisé sans article. Sur le plan référentiel, même, grâce à sa fonction anaphorique, fait renvoyer à un autre référent connu, pour l'assimiler au réfént qu'il détermine.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on lui attribue le rôle d'identificateur. Cependant ce qu'il identifie, ce n'est pas le référent lui-même. Il identifie, à l'aide de l'assimilation, une certaine valeur de ce référent. En effet, en faisant remarquer les deux référents distincts qui peuvent être liés, même conduit l'interlocuteur à les comparer. Et le locuteur, grâce à cette comparaison, met en relief le référent déterminé par même. On trouve donc ici les valeurs discursives de même : comparaison, assimilation, focalisation et intention du locuteur. Comme c'est le locuteur qui choisit le référent de critère, il peux diriger son discours vers son but. Par conséquent on peut conclure que le rôle principal de même n'est ni de trouver ni d'identifier le référent en question, mais de le focaliser à travers la comparaison avec un autre référent (ou d'autres référents) déjà connu(s) et évalué(s). Même vise à supporter l'argument du locuteur. Bref, même révèle le point de vue du locutuer envers du référent en question. Ce qui compte le plus dans les énoncés où se trouve même, ce sera donc le référent auquel même fait renvoyer : la valeur de ce référent va être transmise au référent concerné.
이수미 한국불어불문학회 1999 佛語佛文學硏究 Vol.40 No.1
Une langue, en tant que syste`me, doit avoir ses re`gles propres selon lesquelles le locuteur compose les unite´s linguistiques pour de´crire la re´alite´. Cependant cette langue, bien qu'invente´e pour cet objectif, ne peut correspondre a` la re´alite´. Si le locuteur re´ussit a` exprimer sa perspective a` travers cette langue, c'est parce qu'au moment de l'e´nonciation il peut choisir certaines unite´s parmi d'autres : la composition variable capable de repre´senter ou re´ve´ler cette perspective. C'est donc a` ce moment que l'interlocuteur saisit l'intention du locuteur. Autrement dit, a` chaque moment de l'e´nonciation, le locuteur construit son cadre d'e´nonciation correspondant a` sa perspective. Et cette construction peut se re´aliser en particulier par le choix entre le de´ictique et l'anaphorique : les de´ictiques introduisent leur re´fe´rent dans ce cadre et les anaphoriques le localise a` l'exte´rieur de ce cadre. Le choix d'un de´ictique implique donc que l'inte´re^t du locuteur re´side dans son e´nonciation me^me. Pour bien saisir sa parole, il faut faire attention a` ce cadre. Par contre. l'emploi d'un anaphorique signifie que le locuteur suit sa pense´e. Il de´crit ce qu'il a dans sa te^te et ne s'inte´resse pas a` ce qui se passe dans la situation d'e´nonciation. Quant a` l'interlocuteur, il tient compte du contexte linguistique ou non-linguistique pour suivre le dialogue. Bref, le choix entre le de´ictique et l'anaphorique peut introduire des effets de sens variables et importants, car la relation entre le locuteur et le re´fe´rent en question en de´pend en grande partie.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수미,조경자,김혜리 한국인간발달학회 2009 人間發達硏究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up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68 undergraduate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motivation and emotional management predi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 management of one’s emotional status, emotional awareness and motivation predicted life satisfaction. Fourth, male and female students did not differ in their scores in terms of emotional intelligent, with the exception of empathy.
Sur le concept de dénomination dans les proverbes
이수미 한국불어불문학회 200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77
본 논문의 목적은 Kleiber가 제시한 ‘명칭’개념이 속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는 데에 있다. 이는 명칭개념을 통해 속담의 의미가치나 지시기능들을 보다 잘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언어학자들은 속담의 의미를 1차 의미와 2차 의미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1차 의미는 속담을 구성하는 언어 단위들의 의미결합이고, 2차 의미는 1차 의미가 은유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의미이다. 예를 들어 속담 Pierre qui roule ne ramasse pas mousse에서 1차 의미는 ‘구르는 돌은 이끼가 끼지 않는다’이고 2차 의미는 ‘움직이면 아무 것도 얻을 수 없다’이다. 이 두 의미 중 속담의 실제 의미로 간주되어온 것은 2차 의미이다. 1차 의미가 속담이 지시하는 상황과 전혀 무관하고, 담화 상황에서 화자와 청자들이 속담을 통해 끌어내고자 하는 것이 2차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2차 의미를 속담의 의미로 받아들이는 것 역시 많은 문제를 제기한다. 2차 의미는 속담의 의미라기보다는 속담의 해석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많은 학자들은 속담의 의미를 규정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Kleiber는 속담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명칭’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그는 보통명사가 여러 지시대상을 지닌 부류 classe의 이름이듯이, 속담은 하나의 속담으로 묶일 수 있는 유사한 상황들의 이름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같은 주장은 속담을 언어단위로 인정하고 그것의 고유한 언어학적 기능을 밝혀내려는 것으로서 매우 뜻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담을 상황의 명칭으로 간주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는 첫째로 ‘상황’이 지시하는 의미 영역이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둘째로 문장단위로 이루어진 속담의 의미를 한마디로 간단하게 정의 내릴 수 없으며, 셋째로 속담과 동일한 메시지를 전하는 우회표현들이 여럿 존재하고, 넷째로 심지어는 동일한 상황에서 상반되는 입장을 지닌 두 속담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속담이 상황의 명칭이라는 주장에 많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을 인정한 Kleiber는 속담을 총칭적 상황을 상기시키는 함의 implication의 명칭이라고 수정하여 정의하였다. 하지만 속담의 경우 함의에 대한 해석이 열려있어서 하나의 함의가 전혀 다른 다양한 해석들을 도입할 수 있는 만큼 속담을 함의의 명칭으로 간주하는 것 또한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속담의 의미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속담의 의미 토대는 속담의 함의가 지니는 논리관계에 의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논리학에서와는 달리 속담의 경우, 함의와 논리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는 하지만, 동일한 층위에서 다룰 수는 없다. 논리학에서 사용되는 함의는 필연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강함의 implication forte에 속하지만, 속담이 지닌 함의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약함의 implication faible로 간주된다. 이는 논리관계가 속담을 구성하는 의미단위들 사이의 관계에 관여하는 반면, 함의는 속담이 전하는 메시지와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속담의 경우 함의는 시간이 흘러 화자와 청자의 문화와 사고방식이 바뀌면 그 내용 또한 바뀔 수 있지만, 논리관계는 속담 속에 존재하는 두 상황(예를 들어 Pierre qui roule가 지시하는 상황과 Pierre ne ramasse pas mousse가 지시하는 상황)을 연결시키는 기 ...
인공지능 관련 기술의 특허 보호 전략–미국 특허법을 중심으로
이수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IP & Data 法 Vol.3 No.2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reshaping all industries by mimicking and many times surpassing human intelligence. As artificial intelligence begins to play a central role as a creator and contributor to creativity and innovation, it raises new challenges for the current patent system, which is centered around human-only creative acts. This study focuses on current issues in U.S. patent law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cluding subject matter eligibility, written description and enablement, non-obviousness, and issues related to datasets. In the context of the strict patent subject matter eligibility test in the U.S., this study aims to derive strategies to navigat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mimics human’s mental process. In addressing written description and enablement requirements, the scope of disclosure can vary by the level of intelligence perform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seeking patent protec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t systems that are capable of performing high-dimensional predictive functions without human guidance may require more disclosure of algorithms and data to receive patent protection. Concerning the non-obviousness requirement, we will explore R&D environments where human researchers and articial intellegence collaborate throughout the inventing process. “A person having an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non-obviousness requirement is no longer a person of ordinary skills, but the collaboration between a pers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makes a person with extraordinary skills with capac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n, all inventions from R&D processes will become predictable and obvious to the extra ordinary person having the capac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also delves into the protection of data, a crucial ingredi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xamining strategies to obtain patent protection and exploring trade secret as an alternativ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erive patent protection strategi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elated inventions in the U.S. and Korea by analyzing U.S. case laws and patent office examination guidelines of both countries.
직장 내 상하관계에서 나타나는 한・일 의뢰표현 대조연구 ― 비즈니스 드라마의 공적인 장면을 중심으로 ―
이수미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2
Business situation is an important issue, and it should be expressed more carefully while expressing a request between the top and bottom. Accordingly,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request that appears in business situations at work, six business dramas from Korea and Japan were adopted for study. The expression of requests identified were classified into direct request type and indirect request type, focusing on public scenes. The usage patterns of detailed request expression form were also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using the direct request type was higher in both Korean and Japanese in the meeting scenes, reporting and instruction scenes. On the other hand, in Japanese, the use rate of the indirect request type was found to be high only in the question–answer and consultation scenes. It was also found that in hierarchical relationship, both direct and indirect request types were used when a subordinate made a request to a superior in Japanese.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the use of direct request type and indirect request type was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scene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irect request type is used more frequently in meeting scene, report and instruction scene. This is because the above-mentioned scenes are public business situations that require rapid business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of opinions between each other must be assured. However, in the Q&A and counseling scenes, the indirect request type is more preferred due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who do not want to burden the other party while asking questions or during counseling.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의뢰표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표현과 형식에 주의를 기울여 의뢰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비즈니스 상황은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상하 간에 의뢰표현을 해야 하는 경우에 더욱 신중하게 표현해야 한다. 이에 직장 내 비즈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 의뢰표현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비즈니스 드라마 총 6편(81부작)을 연구자료로 채택하여 공적인 장면을 중심으로 의뢰표현을 직접의뢰형과 간접의뢰형으로 분류하고 세부적인 의뢰표현 형식의 사용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의 장면, 보고 및 지시 장면에서는 한국어, 일본어 모두 직접의뢰형의 사용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일본어에서는 질의응답 및 상담 장면에서만 간접의뢰형의 사용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하관계에서는 일본어에서는 부하가 상사에게 의뢰할 경우 직접의뢰형과 간접의뢰형을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면과 상하관계에 따라 직접의뢰형과 간접의뢰형의 사용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회의 장면과 보고 및 지시 장면에서는 신속한 업무 처리가 필요한 공적인 업무상황이기 때문에 서로 간의 의견전달이 확실해야 하므로 직접의뢰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질의응답 및 상담 장면에서는 질문이나 상담 시,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는 일본인의 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간접의뢰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일본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에게 한국어와 일본어와의 의뢰표현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직장 내에서의 원활한 인간관계와 상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