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귀인양식에 관한 연구

        이성화,정종진 한국발달장애학회 2005 발달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the attribution style, which a secondary character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from the common children. To verify the object and examine the attribution style, ADHD children was divided into 3 groups, a compound, a inattentive, and a hyperactive - impulsive group.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5 elementary schools in Pohang were sampled, 60 children with high possibility of ADHD were considered a experimental group, 60 children with low possibility of ADHD a comparative group. The measuring tool for the children's attribution style was Cho Chun-Hee's <Test Tool for Measuring Attribution and Emotion in a Situation of Success and Failure>, modified by Oh Hae-Sik. SPSS/PC Win 10.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 positive circumstance, ADHD group,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had lower score in terms of internal attribution and higher score in terms of external attribution,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0.1% level statistically. Second, comparing by sub-factors of the attribution style, the compound group tended to have a external attribution in a positive circumstance, compared to the hyperactivity-impulsive group. The result of ex post 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 level statistically. Third, in a negative circumstance, the ADHD group scored higher in terms of internal attribution, lower in terms of external attribut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1% level statistically. Fourth, comparing by sub-factors of the attribution sty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 compound, a inattentive, and a hyperactiveimpulsive group in a negative circumstanc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ADHD children tended to have negative aspect than a common children in terms of a attribution mode. ADHD children's traits, which they externally attribute in a positive circumstance, and internally attribute in a negative circumstance, may cause them to have learning problems. It is required for teachers and parents to consider to change the attribution style of ADHD children in teaching and guiding, as well as modifying their behaviors. 본 연구는 ADHD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성취(성공과 실패)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즉 자신이 수행한 행동의 원인을 어디로 귀속시키는가에 대한 귀인양식이 어떠한지를 밝혀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상황에서 ADHD 아동은 자신의 성취원인을 과제가 쉬웠다거나, 운이나 재수가 좋았다는 등의 외적 경향으로 귀인시킨다. 둘째, 부주의와 과잉행동-충동성을 모두 가진 복합형 ADHD 아동들이 한 가지 특성만 가지고 있는 과잉행동-충동성 우세형 ADHD 아동들보다 긍정적 상황에서 자신의 성취 원인을 외적으로 귀인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부정적 상황에서 ADHD 아동들은 자신의 과제수행에서의 실패경험을 자신의 능력부족과 노력부족으로 더 많이 귀인시킴으로써 낮은 자존감을 드러내 보인다. 넷째, 부정적 상황에서 복합형 집단, 과잉충동-우세형 집단, 부주의 집단 모두 자신의 실패 원인를 능력 부족으로 귀인시킴으로써 부적응적인 학습태도와 낮은 학업수행을 동반한다.

      • KCI등재

        기계적 부하 가설의 재고찰:비만은 골다공증을 예방하는가?

        이성화,장성옥,정득,이종석 통계청 2014 통계연구 Vol.19 No.2

        체중과 골밀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알려지면서, 전통적으로 비만은 골다공증의 보호요인이라고 여겨져 왔다. 높은 체중은 뼈에 대한 부하를 증가시켜 골 형성을 촉진시키고, 반대로 체중 감소는 부하를 감소시켜 골밀도를 낮춘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비만지표인 체지방량도 체중을 구성하는 요소이므로 체중부하를 통해 골밀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만이 골다공증을 예방한다는 믿음은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담당하는 보건의료 종사자와 환자 모두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원인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4개년(2008-2011) 자료를 활용하여 4,841명의 50세 이상 한국여성을 대상으로, (1) 체중 혹은 비만과 골밀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2) 골밀도에 대한 체중의 기계적 부하(mechanical loading) 가설을 재고찰하였다. 체중은 비만지표들(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보다 골밀도와의 관련성이 더 높았으며, 노년층 여성에서 체중과 골밀도의 관계는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체중뿐만 아니라 과체중도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체중과 골밀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비선형관계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분석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비만과 골밀도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비만의 체중을 통한 골밀도에 대한 간접효과는 (+)이지만 비만의 골밀도에 직접효과는 (–)이었다. 따라서 지나치게 높은 체중이 골밀도와 음의 관계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비만은 골다공증의 보호요인이 아닌 위험요인일 가능성이 높다. Obesity has traditionally regarded as protecting bone health, simply because mechanicalloading due to higher body weight is expected to increase bone mineral density (BMD). Thisbelief would serve to confuse healthcare professionals practicing for obesity prevention and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evaluate the effect of body weight or obesity on BMD and (2) examine whether interaction and curvilinear effects in their relationships are present or not. The study population was 4,841 women aged 50-89 years who completed the body composition and BMD examinations in the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In terms of the magnitud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ody weight was a better marker of BMD than obesity measured as fat mass, body mass index,ratio fat mass, or waist circumference. We found that body weight was of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BMD, implying a negative effect of excess weight on BMD,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representing interaction effects of age and body weight and incorporating curvilinear effects of body weight with polynomials. Path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causality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obesity on BMD. We observed that direct effects were negative whereas indirect (weight-mediated) effects were positive. Consideringexcess weigh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MD, therefore, obesity may be a risk, notprotective factor for osteoporosis.

      • KCI등재

        인터넷 실시간 트래픽의 점유대역폭 오차율 분석에 관한 연구

        이성화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4

        통상의 인터넷 트래픽 측정은 특정시간 전후의 트래픽 변화량을 평균한 를 이용하지만, MRTG는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유통된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신뢰성이 있으나 트래픽이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을 얼마만큼 점유하였는지는 추측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MRTG의 트래픽 유통량에 근거한 평균 그래프가 실시간 대역폭 점유율 측면에서 어느 정도의 오차율을 보이는지 인터넷 서비스 유형별로 실시간 측정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해보려 했다. 실험결과 서비스 유형별로 적게는 1.4배에서 20배에 이르는 오차율을 보였다. 즉, MRTG 그래프에 의한 대역폭 산정은 원활한 서비스 및 ISP와의 계약 시 대역폭에 의하여 과금되는 구조에서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음은 증명하였다. This paper aims on comparative analysis of measuring efficiency of occupied bandwidth between MRTG average traffic and internet real-time traffic by measuring the type of internet application service. Through this analysis, the user can measure their internet line and occupy a certain amount of bandwidth and will have to invest on how much is compared to MRTG maximum traffic graph. The result of measurement proved 1.4 times to 20 times occupied bandwidth error rate between real-time and average traffic by the type of internet servi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