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507 추출수지를 이용한 중희토류 원소(Gd, Tb, Dy)의 흡탈착 분리특성에 관한 연구

        이성은,김정운,전종혁,전홍명,이진영,한춘,Lee, Sungeun,Kim, Joung Woon,Jeon, Jong Hyuk,Jun, Hong Myeong,Lee, Jin Young,Han, Ch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P507을 포함하고 있는 추출수지를 사용하여 중희토류 원소인 Gd, Tb, Dy의 흡 탈착 반응 메커니즘을 고찰하고 분리를 위한 최적 크로마토그래피법의 반응조건을 도출하였다. 흡 탈착 반응 메커니즘은 흡착등온식인 Langmuir, Freundlich 흡착등온식과, 흡착속도모델인 유사 1차, 2차 반응속도식을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중희토류 원소의 흡착반응은 단분자층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하여 흡착등온식을 적용하였고, 잘 일치하여 흡착반응이 단분자층으로 이루어짐을 추측할 수 있었다. 시간별 실험을 진행하여 유사 1차, 2차 반응속도식에 적용한 결과 유사 2차 반응속도식이 추출수지의 중희토류 흡착 메커니즘을 더 잘 표현하였고, 평형흡착량의 실험값은 이론값에 부합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용리액 HCl 0.25 M 농도조건에서 ${\alpha}^{Tb}_{Gd}=1.24$, ${\alpha}^{Dy}_{Tb}=1.03$으로 분리계수 1이상의 높은 분리조건을 확인하였다. HCl 용리액을 사용하였을 때, 용리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분리도는 감소하고 용출구간은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adsorption-desorption mechanism and the optimum condition of chromatographic operation for separations of heavy rare earth elements (Gd, Tb, Dy) using a p507-containing resin. By employing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 together with pseudo first and second order kinetics, absorption-desorption reaction mechanism was investigated.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 was applied under assumption that adsorption reaction occurs in form of monolayer, and because the result was identical to the assumption, now we know adsorption of heavy rare earth elements occurs in form of monolayer. Concerning the pseudo first and second order kinetic, the pseudo second order seemed to be more suitable to represent heavy rare earth element adsorption mechanism. By using the extraction chromatography to separate heavy rare earth elements, ${\alpha}^{Tb}_{Gd}=1.24$, and ${\alpha}^{Dy}_{Tb}=1.03$ were confirmed in eluent HCl 0.25 M which indicates almost perfect separations of three elements. Furthermore, as concentrations of eluent became higher, the resolution value decreased and the elution area got shortened.

      • KCI등재

        노인의 일자리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이성은(Sungeun Lee) 한국생활환경학회 2016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The data was used from the 2011 Elderly Survey, and a total of 3,515 older adults over 65-years old who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were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were use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at is, as job stress increased, leisure satisfaction decreased. Job stres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depression among older worker. In regard to mediating effects, leisure satisfac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job stress directly affected depression, and it increased depression through leisure satisfaction as a mediato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leisure intervention for older workers.

      • KCI등재

        열린 교육의 재 개념화에 기초한 열린 행정가의 지속적인 지도력

        이성은(Lee Sungeun),부희영(Boo Hee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the notion of "yeolin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further development and sustaining of ‘yeoli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re-conceptualization, the role of the administrator will be examined, and in which direction the leadership of the administrator should be sustained for the purpose of advancing and maintaining ‘yeolin education’ will be suggested. The the principles of ‘yeolin education’ and the goals they aspire toward will be contrasted with those of the Newtonian-Cartesian worldview. It will be argued that the goals and aspirations of ‘yeolin education’ come closer to those of contemporary science and will be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ntemporary science. In ‘yeolin education’ the relational autonomy and relational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administrator is valued. Furthermore, the ability to conduce the situation the administrator is situated in to self-organize and transform is emphasized. The practice of ‘sustainable leadership’ is constituted by the following components which will be further explained and developed in this investigation: (1) Public service with a moral purpose (2) Developing lateral capacity through building through networks (3) Dual commitment to short-term and long -term results (4) Defining leadership as the recycling and regulating of energy and cultivating this leadership-energy at the level of the school, district and the system as a whole and searching for concrete strategies to do this.<BR>  The future development of ‘yeolin education’ is dependent on the efforts of the administrators to develop this notion of ‘sustainable leadership’ in theory and practice, that is, in their endeavor to develop novel strategies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leadership’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e.   본 연구는 열린 교육의 재도약과 지속을 위해 열린 교육의 개념을 재 개념화하고 이에 기초하여 행정가에 역할을 살펴 본 후, 열린 교육의 지속을 위해 행정가의 지속적인 지도력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열린 교육 강령의 지양점과 지향점을 뉴턴 데카르트 세계관과 현대 과학 세계관으로 재 개념화 하였다. 현대 과학 세계관에 비추어 행정가의 역할을 자율성을 존중하는 행정가, 상보적 관점에서의 수업지도성을 발휘하는 행정가, 그리고 자기를 조직하는 변혁적 행정가로 보았다.<BR>  열린 교육의 지속을 위해서는 최근 등장한 지속적 지도력이 요구된다는 시각에 본고에서는 지속적 지도력의 개념과 실행 범위를 살펴보았다. 지속적 지도력의 개념은 공공의 가치와 도덕적 목적 추구, 네트워크 전체를 통해 체계적인 전략 활용, 단기간ㆍ장기간의 결과를 위한 이중의 수행, 끊임없는 조절 장치로서의 지도력으로 규정하였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지속적 지도력의 범위로는 학교 차원의 지도력, 지역청 차원의 지도력과 시스템 차원의 지도력으로 보고 각 차원의 구체적인 전력을 제시하였다. 열린 교육의 확산은 행정가들의 지속적 지도력을 이론과 실천 차원에서 부단히 전략을 탐구하고 실행하는 노력에 달려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

        이성은(Lee Sungeun),곽영지(Kwak Youngi) 한국열린교육학회 2005 열린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살펴보고,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 헌신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으로 인천광역시 5개 교육청 소속별로 각각 2개교씩 10개교에 재직 중인 초등 학교 교사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관한 질문지와 교사의 교직 헌신도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규모 학교 교사와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헌신도는 학교규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경력이 높을수록 교직 헌신도는 높았다. 그리고 초등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잘 발휘하면 교사는 교직에 더욱 헌신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이용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elementary teacher's commitment.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survey on 257 teachers in active service of the 10 schools selected among each of 5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conducted the survey from 21 March, 2005 to 8 April , 2005. The collecting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 t-test and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s commitment was investigated by calculating structural equation by AMO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highly evaluated by the teachers with a high career, while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leadership and the size of a school. Second, the level of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ir school is high in general, regardless the size of a school they work for. the more experiences they have, the higher level of commitment to school. Third, there is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commitment by AMOS.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o be developed various perspectives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teacher's commitment.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육헌신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성은(Lee Sung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5 열린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증면담을 통해 학교교육을 위한 교사헌신도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의 특성을 대표한다고 판단되는 공립 3개교, 사립 1개교를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 각각 두 학급의 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하였다. 그리고 참여관찰에서 나타난 요인을 보다 폭넓은 자료와 정교화하기 위하여 동일의 6명교사를 대상으로 심증면담을 실시하였다. 학교교육을 위한 교사 헌신도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문헌을 검토하였고 참여관찰과 심증면담의 과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쳐서 교사 헌신도의 요인이 수업, 보상, 인간관계, 자율성의 4개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 결과, 수업, 보상, 인간관계, 자율성의 요인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교사들이 가르치는 일에 전념할 수 있는 체제와 학교 풍토가 조성되어 있을 때 교사의 헌신도가 높았다. 자율성은 교사의 헌신에 동기를 부여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요인임이 드러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문화기술적 연구의 특성상 위의 네 요인 이외에 다양한 다른 관점에서의 연구가 이루 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d on teacher's commitm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roughout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in-depth interview. For this purpose, three public schools and one private school which could be represented a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Two teachers were chosen equally from each group: the 1st grade, the 4th grade, and 6th grade. Six teachers' school-life as well as the student's school-life have been observed. The in-depth interview has been carried out to prove the factors from the participant observation. For this in-depth interview, six teachers were interviewed two or three times after observation. The studies related to this field were reviewed and the data from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in-depth interview were collected, revised and edited to analyze the factors of teacher's commitm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factors of teacher's commitment were categorized into four parts. These are instruction, reward, human relationship and autonomy. As a results, these factors of teacher's commitment such as instruction, reward, human relationship and autonomy have been commonly existed when the school system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where teachers could devote themselves to teach students were settled down. On these conditions, teacher's commitment was proved to be increased. Among these factors, autonomy was the most fundamental and major factor to motivate teacher's commitment.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o be developed various perspectives in addition to four fa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ic study.

      • KCI등재

        초등학교 여교장의 교직 생애사 연구

        이성은(Lee Sungeun),윤연희(Yoon Yeo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교직 여성화에 따른 여교사들의 행정직 진출에 대한 관심과 실제 행정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맞추어, 심층면담을 통해 초등학교 여교장의 교직 생애사를 고찰하여 여교사들에게 승진에 대한 동기부여 및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간을 교육하는 교육 현장을 기존의 양적인 접근방법으로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 중에서도 여교장에 대한 연구는 양적 분석만으로는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교사가 전문적인 교직 사회에서 여교장으로까지 승진하는 과정 동안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과 경험들을 여교장 자신의 목소리와 용어로 묘사하는 내부자적인 관점으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대상은 30년간의 교사 생활을 거쳐 8년간 3개교에서 교장으로 근무한 E 교장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주로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고 학교교육 계획안과 각종 문서 자료, 교장 자신의 일지와 직접 저술한 저서 등도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컴퓨터로 폴더화하고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단계를 거쳐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여교장의 교직 생애사는 교직 입문 이전과 이후 시절로, 승진 요인은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ife history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female elementary principal by in-depth interview. Existing quantitative approaches had limits of limits in capturing the every changing aspects of the human being. In particular, such approaches on particular female principals have not been able to create deep understanding concerning their experienced phenomena. Therefore, in this study, female teachers will be able to express their various experiencing of phenomen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being promoted up to the status of a female elementary principal from the society of teaching profession. This will allow them to describe their experiences in their own voices and terms. The subject was the female elementary principals who worked for three schools throughout eight years after experiencing teacher life as long as 30 years. The material was collected mainly by in-depth interviews which include a draft of the school education plan, various kinds of written materials, the principal"s diaries and writings etc. It was transcribed the collected materials and made folders by computers and to investigate the material by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The life history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the female elementary principal was divided into before promotion and after promotion, while the promotion factors were divided in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ones.

      • KCI등재후보

        수업 장면에서 드러난 초등교사의 특성에 관한 참여관찰연구

        이성은(Lee Sungeun),송현순(Song Hyunsoon),윤연희(Yoon Yeo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ary teacher's characteristics in instruction with a participant observation. For this purpose, three public schools and one private school were selected. And six classes were chosen eqnally the two 1st, two 4th, two 6th grades from three public schools and one private school. The collection of data observed the classes as well as the scenes where the students come to the school, activities after school that reaches from all day. After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analysis of videotapes consisted of recordings that contain every school/class/lesson. The category was divided into teaching and personal aspects. And then 'teaching' aspects divided into three parts. Those were contextualization, elaboration, and integration. And personal aspects were divides into communication, guidance, and modeling.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hen the elementary teachers' characteristics were trying to share with the teaching and personal aspects, those were not divided separately but operated coordinately in one situation inside.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wer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pproach.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o be developed various perspectives in addition to two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ic study. 본 연구는 참여관찰을 통해 초등학교 교실 수업 장면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사의 특성을 탐색 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형적 사례로 인정되는 공립 3개교 사립 1개교에서 저학년 2학급, 중학년 2학급, 고학년 2학급 총 6학급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138차시의 수업뿐만 아니라 아동이 학교에 오는 장면부터 방과 후 활동까지 전일 활동을 관찰하였다. 수집된 참여관찰 기록은 사실기술과 해석으로 전사하였다. 전사된 내용분석은 학교별, 학년별 교과별로 표시하면서 일정한 체계로 코딩하였다. 세 번의 수정과정을 거쳐 완성된 코딩의 틀은 교수측면과 인격적 측면이다. 교수 측면은 맥락화, 통합화, 정교화의 3개의 영역으로, 인격적 측면은 의사소통, 생활지도, 모델의 3개영역으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 초등교사의 특성을 교수 측면과 인격적 측면으로 나누어볼 때, 두 측면은 뚜렷이 구분되기보다는 하나의 상황 속에서 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은 개별적 접근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문화 기술적 연구의 특성상 교수 측면과 인격적 측면 이외에 다양한 또 다른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폐지수집 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성은(Sungeun Lee) 한국생활환경학회 2017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4 No.3

        Although the elderly collecting and selling wastepaper is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in society, this group has not been studied specifically. Subjective health status is an important aspect of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collecting and selling wastepaper. Analyses are based on data from 2014 Korean Elderly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depression, and fear of falling were associated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 and mental health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intervention plan for assessments and providing services for health among the elderly collecting and selling wastepaper. The study findings also indicate that efforts to improve safety in worksite of elderly persons collecting and selling wastepaper are needed.

      • KCI등재

        노인의 지역사회 야간보행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성은(Lee Sunge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노인의 야간보행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간보행시 두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 총 1,82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과 안전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노인의 야간보행시 안전행동 수행률은 54.8%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안전행동 영향요인에 있어서는 연령, 성별, 거주지역, 그리고 주거형태가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아파트에 거주할수록 노인의 안전행동 가능성이 증가했으며, 남성일 경우와 도시에 거주할 경우 노인의 안전행동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야간보행시 노인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노인의 범죄피해를 예방하고 안전보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protective behaviors when walking at night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6 Social Survey. A total of 1,829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answered that they are afraid to walk alone at night in some areas in their neighborhood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es. To identify sample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and factors affecting protective behaviors when walking at night were examined using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ate of protective behaviors when walking at night in the study population was 54.8%, which is somewhat low. The possibility of doing protective behaviors when walking at night among the older pers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female elderly and rural, apartment resid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suggest plans to prevent crime victimization and increase safe walking at night among the elderly by exploring factors affecting protective behaviors when walking at night in the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