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론파의 종교정체성 담론

        이성옥 ( Sungock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5 중동연구 Vol.34 No.2

        Narratives in any identity discourse, especially concerning a group’s origin, are not seamless. Rather, they are contested and restructured constantly. This article examines Maronites’ discourse on their religious origin focusing on the name of the group ‘Maronite’ and their orthodoxy in Catholic faith. Maronites generally consider they are originated from the fourth century hermit St. Maron and their group name ‘Maronite’ was taken after him. And despite misunderstanding of their being followers of the Monothelitism, they have not only been followers of the Chalcedonian Christology from the very beginning, but guardians of it in the East. However, this historiography has been challenged especially about its historical accuracy. On the other hand, a debate on Maronites’ origin of ‘Marada’, that is a Christian army against Muslims dispatched by the Byzantine Empire, was once heated but chilled quite in short period of time. This article explores these three issues by looking at a major narrative and counter narrative(s). Also, it aims to find out meaning of narratives to Maronites’ identity, not to judge their historical accuracy.

      • Untact 상황에서 PBL 교수법을 통한 SW 프로젝트 영어 지도 사례 연구

        이성옥(Sungock Lee),김민규(Minkyu Kim),이혜수(Hyuesoo Lee),정회경(Hoekyung 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 가운데 ‘SW프로제트 영어를 PBL 교수법으로 운영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교양 영어인 만큼 다양한 학년과 전공 학생들이 수강하였고 개강 직후 학생들의 영어 실력 및 SW 관련성을 판단하고자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강 동기와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어학 수업을 비대면으로 실시해야 함에 따라 적절한 교육과정 운영, 과제 운영을 구성할 수 있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학생들의 SW 영어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SW 관련 영어 실력 배양을 위한 퀴즈와 과제를 구성하였다. 매 과제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으로 비대면 녹화콘텐츠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1:1 피드백을 통하여 소통하며 학생들의 수업 진행을 점검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수업 진도에 따른 학습을 유도하였고 주제와 관련된 과제를 통하여 SW 관련 영어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자신이 모르는 단어를 중심으로 SW 영어 단어장 만들기 및 본인의 목소리로 직접 예제를 녹음하는 과제를 마감까지 충분한 시간을 주어 수행토록 하였다. 과정이 종료되면서 학생들의 성적을 평가한 결과 AI/SW창의융합대학, 경영대학, 문화예술대학, 인문사회대학, 자연과학대학 순으로 학생들의 성적이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 가운데 SW 영어를 PBL(Project-Based Learning : 프로젝트 법)이라는 교수법을 통하여 수업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SW 영어 성취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occupational identity by examining the narrative of the life of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with self-esteem in programming fields. The following six types of occupational identity were found a positive image of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fits oneself)!: I feel proud of myself while doing vocational training activities.’, ‘a teacher who continues to develop him/herself as an expert in the subject class’, ‘a teacher who immerses him/herself as an expert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a teacher engaged in leading activitie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a teacher of continuous pursui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structure of occupational identity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its formation of a self-esteemed vocational training teacher in programming field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 비대면 환경에서의 ‘기계학습’ 지도 사례 연구 : 융합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성옥(Sungock Lee),이지은(Jieun Lee),송현(Hyunok Song),김한길(Hangil Kim),정회경(Hoekyung 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과목을 수강하는 융합전공 학생들의 학습 패턴 파악하여 과목 운영을 실시한 교수자의 사례를 살펴봄으로 향후 융합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SW 교과 운영에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융합전공의 프로그래밍 수업은 다양한 학년과 전공 학생들이 수강을 하는데 비대면 환경가운데 이들의 학습 패턴을 파악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수자는 대면이 불가한 경우에도 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를 끌어낼 수 있을지 연구하였고 학습자들의 학습 성향을 파악하여 수업을 운영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상황가운데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성공경험을 유지하고 있는 학생들이 다수임에 따라 자기 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매주 과제설정을 하였고 전원에 가까운 학생들이 과제를 제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기계학습활용 과목을 융합전공 학생들에게 운영함으로서 학생들의 학습 패턴과 과제 수행여부, 프로그래밍 성취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ases of instructors who conducted subject management by understanding the learning patterns of convergence major students taking programming courses Therefore, we inte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SW curriculum for convergence majors in the future. In the programming class of the convergence major, students of various grades and majors take the course,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patterns in a non-face-to face environment. The instructor studied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induce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even when face-to-face communication was not possible, and tried to operate the class by understanding the learning propensity of the learners. As there are many students who have maintained successful experi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mid COVID-19. weekly assignments were set so that they could solve their own problems independently, and almost all students submitted assign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students’ learning patterns, task performance, and programming achievement by operating ‘Machine Learning’ subject to students of the convergence major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due to COVID-19.

      • 코로나-19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교수법을 통한 VR 콘텐츠 개발 사례연구

        이성옥(Sungock Lee),양승의(Seung-Eui Yang),송현(Hyun-ok Song),정회경(Hoekyung 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여성 ICT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VR 콘텐츠를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한 교수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1학년 신입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시 전에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판단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담을 진행하여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기본 문법과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분절하는 강의를 구성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반복학습 유도하였으며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을 미리 부여하여 피드백을 주었다. 23명(전체 학생 40명)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였고, 17명은 시험은 응시하였으나 프로젝트는 미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공대 실기 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하면서 수업설계와 실행, 상호작용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curriculum of a professor who taught how to make VR contents through PBL(Project Based Learning)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caused by Corona-19.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udent’s learning status before implementing the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for education, and then lectures of the basic programming grammar and each stage of the project were composed. In addition, repetitive learning was induced through weekly quizzes, and feedback was given by giving time before the project deadline. 23 in 40 students completed the project. However, 17 students took the mid-term and final term but they did not complete th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tudied whether the project can be carried out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and interaction while operating practical courses in engineering college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caused by Corona-19.

      • 코로나-19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교수법을 통한 프로그래밍 지도 사례

        이성옥,양승의,정회경,Lee, Sungock,Yang, SeungEui,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프로그래밍 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한 교수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1학년 신입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시 전에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판단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담을 진행하여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기본 문법과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분절하는 강의를 구성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반복학습을 유도하였으며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을 미리 부여하여 피드백을 주었다. 23명(전체 학생 40명)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였고, 17명은 시험은 응시하였으나 프로젝트는 미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공대 실기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하면서 수업설계와 실행, 상호작용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urriculum operation of a professor who operated a programming subject as a PBL(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n untact situation due to COVID-19. A survey was conducted for first-year freshmen students to determine their learning condition before projec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for education, and then, basic grammar for project completion and lectures that segmenting each stage of the project were composed. Repeated learning was induced through weekly quizzes, and feedback was given by giving time in advance until the project deadline. 23 students (40 students in total) completed the project. The remaining 17 students took the exam but did not complete th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whether a project can be carried out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and interaction while operating a programming subject through PBL in the COVID-19 environment.

      • KCI등재

        프로젝트법을 활용하는 프로그래밍분야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내러티브 연구

        이성옥,정회경,Lee, Sungock,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논문은 그 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인터뷰 방식을 활용하여 프로젝트법으로 강의하는 교사가 어떠한 직업정체성을 가지는지 연구했다. 연구 참여자인 S교사는 대학에서 시간 강사로 시작하여 지난 20 여 년간 프로그램을 강의해왔다. 연구결과로 프로젝트법으로 강의하는 프로그래밍 교사의 직업정체성은 여섯 가지가 발견되었다. S교사는 프로젝트법을 통하여 강의할 때 학생들이 실업자에서 전문 직업인이 되는 행동 변화를 경험하며 교사로서 자긍심과 뿌듯함을 느꼈다. 프로젝트법은 S교사를 전문가로 이끌도록 지속적인 자기계발의 동기로 작용하였다. 긍정적 교사로서의 강화 경험이 그로 하여금 정년퇴직의 시기가 지났어도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이 삶을 유지하며 교사로서 살아내고 싶다는 소망을 갖게 하였다. 업무강도가 다른 직업에 비하여 녹록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S교사에게 보이는 것은 '번아웃', 소진이 아닌 생동감, 자신감, 만족감이다. 본 논문은 프로젝트법을 교수법으로 채택한 프로그래밍분야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occupational identity by examining the narrative of the life of a TVET teacher using the project method in programming fields. Teacher S, a participant in the study, started as a part-time lecturer at university and has been teaching programs fo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six kinds of occupational identities of a programming teacher who teach by project method were found. S experienced pride and pride as a teacher through the project method. The project method served as a motive for continuous self-development to lead S to an expert. His experience as a positive teacher made him wish to maintain this life and live as a teacher as long as his health permits, even after retir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structure of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a TVET teacher using the project method in programming field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yet.

      • KCI등재

        코로나-19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교수법을 통한 프로그래밍 지도 사례

        이성옥,양승의,정회경,Lee, Sungock,Yang, SeungEui,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프로그래밍 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한 교수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1학년 신입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시 전에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판단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담을 진행하여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기본 문법과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분절하는 강의를 구성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반복학습을 유도하였으며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을 미리 부여하여 피드백을 주었다. 23명(전체 학생 40명)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였고, 17명은 시험은 응시하였으나 프로젝트는 미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공대 실기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하면서 수업설계와 실행, 상호작용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urriculum operation of a professor who operated a programming subject as a PBL(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n untact situation due to COVID-19. A survey was conducted for first-year freshmen students to determine their learning condition before projec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for education, and then, basic grammar for project completion and lectures that segmenting each stage of the project were composed. Repeated learning was induced through weekly quizzes, and feedback was given by giving time in advance until the project deadline. 23 students (40 students in total) completed the project. The remaining 17 students took the exam but did not complete th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whether a project can be carried out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and interaction while operating a programming subject through PBL in the COVID-19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