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희롱-이성애제도-조직문화 그 연관성에 관한 고찰

        이성은(Lee Sung Eu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본 논문은 이성애적 실행으로서의 성희롱이 한국의 이성애 제도를 재현하는 성적순결, 결혼제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검토하고 또한 성희롱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장인 조직 내의 성별, 성문화가 성희롱의 발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28명의 사무직 여성 노동자와 심층 연접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첫째, 이성애적 제도로서 순결이데올로기와 결혼 제도 내에서의 성에서 비롯된 지배적인 이중규범은 여성을 성희롱의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로 남성을 일상화된 성희롱의 가해자로 만드는데 주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이성애제도에 근거한 남생 중심적, 이성애 중심적 성별, 성문화는 다양한 양태에 성희롱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성희롱을 유지 공고화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희롱의 문제 해결은 단지 새로운 법안의 수립, 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가능하기 보다는 이성애 주의에 대한 도전, 조직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서 가능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exual harassment as a heterosexual incident is not only perpetuated by heterosexuality as an institution but also related to gendered and sexual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In doing so, the data of this research derives from qualitative interview with 28 female clerical workers who work in Seoul in Korea.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heterosexuality is characterized as the dual norm based upon the ideology of sexual chastity and sexuality within marriage. Therefore, Korean female workers affected by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ity are unable to assertively respond to sexual harassment. Whereas women are defined as a sexual victim, men are regarded as a common harasser. Secondly, this research shows how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is linked with the gendered and sexual culture in the Korean workplace. The gendered organizational culture is featured as the first,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employment, sex-discrimination in income and promotion, the second, sex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female workers, the third, a uniform for female workers only. The sex-discriminated features contribute to see women not as a worker with an equal ability but as a office wife and a sexual object. Moreover, sexual culture of Korean organizations is mainly related to the 'drinking culture' within the institution of the 'office party'. This drinking culture is male-centered and male-dominated, so most female workers are forced into sexual service roles. In this circumstance, the various forms of sexual harassment are occurred within the office parties and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the sexualized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in cause of sexual harassment. As a result, in order to study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within each society, a research on the sexual harassment- heterosexuality-organizational culture complex is indispensib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Lee, Sung Heu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설계ㆍ개발ㆍ실천하고 인성함양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광진구 소재 C초등학교와 J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179명(실험집단 91명, 통제집단 88명)이었다. 사전ㆍ사후 생활태도검사는 배려ㆍ소통, 효ㆍ예의, 자기존중, 책임, 창의성, 지혜의 인성 덕목을 묻는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은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을 중심으로 인성함양에 미친 효과분석은 사전과 사후 점수 차를 이용한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점수의 차이를 공변량분석(ANCOVA)한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배려ㆍ소통, 효ㆍ예의, 책임, 지혜의 덕목에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사전검사 점수 보다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효ㆍ예의’ 덕목을 제외한 대부분 덕 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효ㆍ예의’ 덕목계발을 위한 인성교육은 학교교육에서 단기간의 교 육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가정과 연계되어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적절한 교수ㆍ학습방법을 선정하여 현장에서 실천되고 난 다음 효과를 재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for form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ife in the 5 th grade students. A total of 179 5 th grade students enrolled in C and J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ing of 91 students, was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cond group, consisting of 88 students, was assigned to control group. The pre- and posttest questionnaires included 41 items which consist of the contents on six character virtues of caring and shar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self-esteem, responsibility, creativity, and wisdom.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pretest score as covariate to compare the posttest score. The t -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COVA were found that the total score, and self-esteem and creativity virtues were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n-significant in virtues of caring and shar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responsibility, and wisdom. Second,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character level building except for the virtue of filial piety and etiquette. It could be that ‘filial piety and etiquette’ cannot be increased by a short-tern educational program, and is a very traditional virtue related to home education. This may have resulted in no effects. Long-term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tegrated wit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their effects of various virtue areas includ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on character level.

      • KCI등재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예후지표로서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와 간정맥압차의 비교

        이성화 ( Sung Hoa Lee ),박승하 ( Seung Ha Park ),김고운 ( Go Woon Kim ),이우진 ( Woo Jin Lee ),홍원기 ( Won Ki Hong ),류명신 ( Myeong Shin Ryu ),박규태 ( Kyu Tae Park ),이민영 ( Min Young Lee ),이찬우 ( Chan Woo Lee ),김진호 ( Jin 대한간학회 2009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5 No.3

        목적: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3개월과 12개월 시점의 간정맥압차와 MELD의 사망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여, HVPG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에서 136명의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HVPG를 측정하였다. 생존분석의 1차 결과 변수로서 3개월과 12개월에서의 사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Cox 회귀분석 결과, MELD와 HVPG 모두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확인되었다[각각 hazard ratio는 1.11(95% CI, 1.04 to 1.20)과 1.12(95% CI, 1.08 to 1.16)]. 두 변수의 ROC곡선의 AUC를 비교해 볼 때, 3개월에서 유의하진 않지만 MELD는 HVPG보다 사망예측에 있어서 정확도가 8% 정도 더 높게 보였다[0.76(95% CI, 0.62 to 0.89) 대 0.68(95% CI, 0.52 to 0.84), P=0.22]. 12개월에서는 MELD와 HVPG 모두 비슷한 사망예측의 정확도를 보였다[0.72(95% CI, 0.61 to 0.83) 대 0.73 (95% CI, 0.61 to 0.84), P=0.45,]. 결론: MELD와 HVPG는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사망과 관련된 독립적인 예후인자로서 사망예측의 정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HVPG는 침습적이고 소수의 의료기관에서만 시행된다는 점에서 사망예측인자로서 HVPG의 역할은 제한적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HVPG의 다양한 예후인자로서의 임상적 역할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환자군(원인, 성별, 지역,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전향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s/Aims: This study compared the prognostic values of the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and the hepatic venous pressure gradient (HVPG) in the prediction of death within 3 and 12 months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Methods: We used data from 136 consecutive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who underwent HVPG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8.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relationships with death of MELD and HVPG. The prognostic accuracies of MELD and HVPG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 for the occurrence of death within 3 and 12 months. Results: Both MELD and HVPG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death [hazard ratio (HR)=1.11 and 1.12, respectively; 95% confidence interval (CI)=1.04~1.20 and 1.08-1.16]. Analysis of the AUROC demonstrated that the prognostic power did not differ between MELD and HVPG for predicting the 3-month survival (HR=0.76 and 0.68, respectively; 95% CI=0.62~0.89 and 0.52~0.84; P=0.22) or the 12-month survival (HR=0.72 and 0.73, 95% CI=0.61~0.83 and CI=0.61~0.84). Conclusions: Both MELD and HVPG a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death within 3 and 12 months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and their accuracies are similar. However, HVPG has a limited role in the prediction of death in decompensated cirrhosis due to its invasiveness and limited use. (Korean J Hepatol 2009;15:350-356)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