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大韓自强會 교육론의 도구적 성격 연구

        이성심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교육은 인간의 합리적 이성계발을 강조하는 본래적 기능과 국가 및 사회의 현실적 문제를 교육을 통해 해결하려는 수단적 기능 사이의 모순을 내포해왔다. 정치·경제적으로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최우선시 되는 시기, 교육목적은 어떠한 기능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의 문제는 해당 시기 교육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만약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여 교육의 본래적 기능보다 수단적 기능이 강조되었다면, 교육목적이 원래의 취지대로 달성될 수 있는가는 많은 논의의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시대, 즉 한국근대교육 형성기에 설립된 대한자강회 교육론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한자강회의 교육이념이었던 대한제국정신, 조국정신, 한국정신, 대한정신 등의 개념은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한 인재양성 보다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애국심교육과 일맥상통하였다. 일본 제국주의로 부터의 독립을 교육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던 대한자강회의 교육목적은 합리적 이성계발을 통한 인간해방이라는 교육의 내재적 가치 추구보다는 국가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을 바라보는 외재적 가치를 추구하였다. 결국 근대문명과 근대지식으로 국민을 계몽하려 했던 대한자강회의 교육구국론은 교육의 수단적 기능을 중시한 결과 본래의 취지와는 다른 결과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침략을 기정사실화하는 토대를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rumental value represented the educational theory of Daehan Jaganghoe, which was formed in the era of Korean Education modernization. In particular, it is to examine on which function the educational aims are focused during the dangerous situation whether the country and nation disappears or not. Furthermore, it is to research that if the educational aims focus on the function of means, how they would accomplish the orignal ai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ducational aims of Daehan Jaganghoe showed the results pursuing the external values considering the education as a tool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rather than about pursuing the original values of the education which is a human liberty through the rational reason development for each individuals. The ideology of education is changed from "Korean imperial spirit", "Country spirit", "Korean spirit" and "National spirit" to the patriotic education for Japanese imperialists. Finally, the efforts of Daehan Jaganghoe that enlightens the people on modem civilization and modem knowledge provided the fact taken for granted the Japan's colonial imperialist aggression.

      • KCI등재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 추구행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성심,손현정,이동숙,강현욱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e-health literacy,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Participants were 195 adults in their 20’s~50’s who resided in G city in Gangwon-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Levels of e-health literacy and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high and the degree of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was in the middle.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a little low, with the highest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omain and the lowest in the physical activity domai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e-health literacy,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biggest influencing fa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ubjective health status, followed by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and e-health literacy. This model accounted for 33% of the total variance. 본 연구는 성인 남녀의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 건강상태,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 추구행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G시에 거주하는 만 20~50대 성인 남녀 195명이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높은 편 이었으며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추구 행위는 중간 정도였다.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다소 낮았으며, 대인관계 영역이 가장 높고 신체활동 영역이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차이에서는 결혼여부, 건강관심 정도에 따라 e-헬스 리터러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건강관심 정도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었고, 건강정보 추구행위, 건강증진행위에서는 건강관심 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건강증진행위는 주관적 건강상태, e-헬스 리터러시, 건강정보 추구행위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의 크기는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정보추구 행위, e-헬스 리터러시 순이었다. 이 모델은 건강증진행위를 33.0%의 설명력으로 예측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 관계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이성심,전주성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 of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se two variables. In this study, data from the 10th to 12th rounds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and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The research samples of this study were 216 college students (83 males, 133 females) who entered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in 2016 and were currently enrolled in 2018.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high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early stages of college admission slowly decreased their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ver time, and students with low initial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ed a sharp decrea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dividual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admission, but career maturity did not change over time. Third,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in the early stages of college entran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faster the increase in career maturity over time, the slower the rate of decrease in school life satisfaction. Fourth, students with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early stages of college entrance also had higher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이들 두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청년패널2007(YP2007) 조사 10~1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에 전국 4년제 대학에 입학하여 2018년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 216명(남 83명, 여 133명)이다. 연구자료는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입학 초기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시간 경과에 따라 학교생활만족도의 수준이 느리게 감소하고 초기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은 학생들은 변화 속도가 급격히 낮아졌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입학 초기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진로성숙도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셋째, 대학 입학 초기 진로성숙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생활만족도 역시 높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로성숙도의 증가가 빠를수록 학교생활만족도의 감소 속도는 느려졌다. 넷째, 대학 입학 초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 역시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면학(面學)의 교수체제 연구 -도훈장제 및 면훈장제를 중심으로-

        이성심 교육사학회 2017 교육사학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as a part of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granted to the local bureaucrats by the Joseon government, they established Myeonhak(面學) in the subordinate units of Gun·Hyeon(郡·縣) and ran the Dohunjang(都訓長) System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udy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a daily edu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Chukilgwasu(逐日課修), Jo-Hyeonmyeong’s 「Gweonhakjeolmok(勸學節目)」 was proclaimed. After the dissemination of the 「Gweonhakjeolmok」, the provincial schools were transformed into the system of Yeonghak(營學)-Gunhak(郡學)-Myeonhak(面學), and professors were divided according to administrative units. In addition to the teaching committee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al affairs of Hyanggyo(鄕校), a new system of Dohunjang(都訓長) System to lead the education of Gun·Hyeon(郡·縣)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was established to lead the education of Myeon·Ri(面·里). The Dohunjang(都訓長) System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was not operated separately but the two systems were operated together to provide a reward system, Jaejang(齋長)-Myeonhunjang(面訓長)-Dohunjang(都訓長)-Hyanggyo(鄕校)-Suryeong(守令). Lee-Heonyeong and O-Hoengmuk operate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in Gun·Hyeon(郡·縣) that they served as the district governors. There was one seodang per 18∼19 households in Baekryang, per 185 households in Yeongju, where the size of the Myeon(面) unit school was known. Dohunjang(都訓長) System and Myeonhunjang(面訓長) System has been operated as a way to organize the school system in Myeon·Ri(面·里) as the local school system has been systemized into the field of Yeonghak(營學)-Gunhak(郡學)-Myeonhak(面學) 본 연구는 조선정부가 지방관료에게 부여한 지방교육자치의 일환으로, 수령들이 군·현의 하부단위에 면학을 설립하고, 면학체제 정비를 위해 도훈장제 및 면훈장제를 운영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정부는 축일과수(逐日課修)를 목적으로 한 매일 교육체제 수립을 위하여 조현명의 「권학절목」을 반포하였다. 「권학절목」 반포 후 지방학교는 영학-군학-면학의 체제로 변모하였고, 교수담당자도 행정 단위에 따라 구분하였다. 향교의 강학업무를 담당하는 교임 외에 군·현 단위 교육을 통솔하는 도훈장 제도와 면·리 단위 교육을 통솔하는 면훈장 제도를 신설하였다. 지방관(수령)은 도훈장 및 면훈장 제도를 함께 운영하여 재장-면훈장-도훈장-향교-수령의 보고체계를 확립하였다. 이헌영은 전라도 부안, 평안도 정주, 평안도 의주, 오횡묵은 강원도 정선, 경상도 자인, 함안, 고성, 진보(청송), 전라도 지도 및 익산군 수령일 때 면훈장 및 면강장을 임명하고 하첩을 내려 권학을 장려하였다. 이헌영과 오횡묵은 지방관(수령)으로 근무한 모든 군·현에서 면훈장제를 운영하였다. 리(里)단위 학교규모가 파악된 백량면은 18-19 가구당 1개의 서당이, 면(面)단위 학교규모만 파악된 순흥(영주)읍은 185 가구당 1개의 서당이 설립되어 있었다. 도훈장 및 면훈장 제도는 매일교육이 가능한 가숙, 사숙, 향숙, 서재, 정사 등의 건설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청년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이성심,Sungsim Lee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youth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ways to increase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we utilized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2021 Youth Socio-Economic Survey' to study 2,041 youth aged 18-34 as of 2021. The randomForest 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youth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1 variables were analyzed, including demograph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The results of exploring the variables affecting youth life satisfaction using randomForest are as follows. First, all 21 predictor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young adults'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youth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work values'. Third, it can be seen that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society, such as 'political effectiveness' and 'perception of older generation', are also variables that affect youth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variables affecting youth life satisfaction are explained and discussion points are presented.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반 당뇨 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 효과: 농촌지역 당뇨 노인을 대상으로

        이성심,이동숙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2 No.2

        Background: Health literacy i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have the capacity to obtain, process, and understand basic health inform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new diabetes education material using storytelling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and to determine the education effects. Methods: A new storytelling based education material was developed using ADDIE (Analyze, Design,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teaching model. The content was compiled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by researchers and a storytelling writer. For determination on effectiveness of educati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49 rural elders who visiting elderly welfare center; experimental group (25) received education using the new developed material and control group (24) received education using the existing material. The measurement variables for education effectiveness were diabetes health literacy, diabetes knowledge, diabetes self-efficacy and diabetic self-care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1.0 program for mean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Results: Diabetic health literacy, diabetic self-efficacy, and diabetic self-care behaviors scores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except diabetes knowledge score. Conclusions: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e new education material using storytelling was considered to be easier and more interesting than existing materials for rural elderly to be educated, which improved health literacy more. Using storytelling in health education might be more effective for rural elderly. 연구배경: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개인이 건강정보를 획득하고 이해하는 정도를 말하며 이는 적절한 건강 교육을 위해서 꼭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 이해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당뇨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그 교육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스토리텔링 기반 당뇨 교육자료는 ADDIE 교수모형에 따라 개발되었고, 내용 구성은 한국 전래동화를 편집하여 작성하였다. 개발된 자료의 교육 효과 평가를 위하여비동등성대조군 설계를 이용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농촌지역 노인복지센터를 방문하는 49명의 노인이었고, 그중 실험군 25명은 개발된 교육자료로, 대조군 24명은 질병관리본부에서 배포한 기존 자료로 교육받았다. 효과평가를 위해 당뇨 건강정보 이해능력, 당뇨 지식, 당뇨 자기효능감, 당뇨 자가간호행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당뇨 지식을 제외한 모든 변수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높았다. 결론: 스토리텔링기반 교육자료는 농촌 노인들이 교육받기 더 쉽고,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은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서울형혁신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 및 하위지표 개발 연구

        이성심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and sub-indica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new academic ability, which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eoul-type Hyukshin School.  Methodology: The author reviewed Seoul-type Hyuksh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performed one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two Delphi survey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concerned.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 defined as 'children who make their lives happy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The core competencies are divided into cognitive, social・emotional, and practical ones.  Value: First, the evaluation of Hyukshin schools is prepared with a performance index that can be measured with a new view of academic background that encompasses cognitive ability. Second, five basic spirits of Seoul-type Hyukshin School are established along with student competenc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class. Third, as part of th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actical competency is included to combine life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의 이론적 토대인 새로운 학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로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과 하위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형 혁신초등학교의 교육과정 고찰, 혁신학교 부장경력이 있는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1회의 FGI와 혁신학교 교사, 혁신학교 교장, 혁신학교 업무 담당 장학사 2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초등 학생상을 ‘자신의 삶을 행복하고 더불어 사는 삶으로 가꾸는 어린이’로 정의하고 핵심역량을 지성을 기르는 인지역량, 감성과 건강을 키우는 사회‧정서역량 및 자신의 삶과 지속 가능한 세상을 가꾸는 실천역량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학교의 변화를 시도해 온 혁신학교 평가를 인지능력을 포괄하는 새로운 학력관으로 측정‧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마련하였다. 둘째, 인권과 평등, 책임과 공공성, 자율과 창의, 자발과 참여, 소통과 협력이라는 서울형혁신학교의 5대 기본정신과 초등이라는 급별 특수성이 반영된 학생역량을 정립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역량의 한 부분으로 실천역량이 포함되어 삶과 교육이 결합된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설계가 가능한 학습주제를 형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