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실과 교육과정개정을 위한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계 개발 방안

        이성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2

        이 연구는 실과교육과정기별로 실과 가정영역의 변화 과정 및 교육과정 개정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실과 교육과정개정을 위한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계를 개 발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실과교육과정기별로 실과 가정영역의 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목표는 가정생활, 자신의 주도하는 삶, 가치 판단력, 미래 지향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내용 체계는 가족생활에서는 가정 일, 가족원의 역할, 식생활에서는 전통 한식의 중요성, 의생활에서는 자립적인 의생활과 창의 성, 환경, 나눔, 주생활에서는 쾌적한 주거 환경, 소비생활과 자원관리에서는 시간과 용 돈 관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2007, 2009 개정 실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공통된 주제어는 통합, 미래 핵심 역량, 일상 생활 등이었다.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미래 교육과정의 실과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 체제의 개발 방향은 통합적 측면, 미래 핵심 역량적 측면, 가정생활 관점, 사회적 실제 및 시간적ž공간적 측면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실과 가정영역의 목표 및 내용체 계는 다음과 같다. 개발된 가정영역 목표는 대영역 목표와 3개의 하위 목표로 제시하였 다. 개발된 내용 체계는 나를 중심으로 한 ‘자율적인 생활’,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한 ‘건 강한 생활’, 자신, 가족 더 넓은 생활환경인 사회를 중심으로 한 ‘행복한 생활’ 3개 영역 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초와 심화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3개 영역에서 가정영역 내용인 가족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및 자원관리 영역이 의미 있게 포함되도록 하 였다. 개발된 실과 가정영역 목표와 내용 체계는 미래의 교육과정을 대비한 시도로서 앞으로 많은 보완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 실과교육과정은 동일한 분야에서의 영역간의 상호 보완과 통합 및 핵심역량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goals and content system of future curriculum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changes and revision of home economic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goals of the area showed the change into family life, self-leading life, value judgment and future orientation. Content system was changed into the emphasis on family affairs and roles of family members in family life, importance of traditional Korean food in dietary life, independent clothing, creativity, environment and sharing in clothing life, comfortable residential life and environment in housing life, and time and pocket money management in consumption life and resource manage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revis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2007 and 2009,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mmon key words such as integration, future core competence and daily life. Goals and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area of future practical arts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integration, convergence, future core competence, family life, social practice and temporal and spatial aspects. Goals and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developed are as follows. Goals of home economics area were divided into large-area goal and three sub-goals. Content system developed consisted of three areas including self-centered 'autonomous life', family life centered 'healthy life', and 'happy life' centering around self, family and society by dividing them into basic and advanced areas. These three areas also included family life, dietary life, clothing life, housing life, consumption life and resource management area. It is considered that goals and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developed need more complementary studies in preparation for future curriculum and also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integration, and core competence view are required in the same area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 KCI등재

        링크드 데이터에서 인물 정보의 식별 및 연계 범위 확장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성숙,박지영,이혜원,Lee, Sungsook,Park, Ziyoung,Lee, Hyewon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인물 정보가 표현되고 연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는 링크드 데이터에서도 인물을 표현하는 어휘와 연계되어 기술되고 있는 반면에, 주제로 표현된 인물은 개념으로만 취급되고 있었다. 또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과정에서 기존의 전거 정보를 변환한 것 외에는 별도의 부가 정보를 추가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뿐 아니라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도 서지 정보에 포함시키고, 저자로서의 인물정보와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를 연계할 때 링크드 데이터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인물과 관련된 부가 링크 정보를 함께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지데이터 검색의 접근점을 확장하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s for representing and link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linked data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 scope of identifying and linking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subject has been dealt with a concept, w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tributor has been linked with a vocabulary of personal name. In addition, there have not been assured of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except existing authority data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linked dat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linking personal information as a subject and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tributor was essential for the quality of linked data. In addition, we propos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son in linked data for expanding the scope of access points in information discovery.

      • KCI등재

        국내 도서관 링크드 오픈 데이터 구축과 발행의 개선방안 연구

        이성숙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2

        도서관 LOD가 확산되지 못하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 LOD의 발행과 구축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사례조사, 전문가 면담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은 첫째 도서관은 LOD 구축 대상의 중복을 피하고, 유일하고 특화된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은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LOD 서비스를 개발하고, 편리한 LOD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서관은 데이터의 식별체계를 마련하고 전거파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도서관은 사서나 이용자에게 데이터 개방과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위한 교육과 홍보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서관은 통합 검색을 위해 LOD를 활용하고, 도서관 LOD를 검색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도서관은 LOD 발행과 활용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실무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정부는 LOD 추진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계속해서 예산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situation where library LOD does not spread after the introduction of library LOD.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The improvement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library needs to avoid the redundancy of the LOD construction target and build the only and specialized data. Second, libraries need to develop LOD services that reflect user needs and implement convenient LOD interfaces. Third, libraries need to establish identification system of data and build a authority file. Fourth, libraries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data opening and linking to librarians and user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publicity. Fifth, it is necessary to use LOD for integrated search and to establish an integrated platform for search of library LOD. Sixth, libraries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for LOD issuance and utilization, and form a working-level consultative body.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strong policies with a continuous commitment to LOD promotion and need to continue to provide budget support.

      • KCI우수등재

        해외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구축의 최근 동향 연구 - 발행 데이터세트, 재사용 어휘집, 인터링킹 외부 데이터세트를 중심으로 -

        이성숙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4

        In this study, LD construction cases of overseas libraries were analyzed with focus on published datasets, reused vocabulary, and interlinked external datasets,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asic data on LD construction plans of domestic librarie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21 library cases, overseas libraries have established a faithful authority LD and conducted new services using published LDs. To this end, overseas libraries collaborated with other libraries and cultural institutions within the region, within the country, and nationall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library, and based on this cooperation, a specialized dataset was published. Overseas libraries used Schema.org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published LDs, and used BIBFRAME for subdivision of description to define various entities and build LDs based on the defined entities. Overseas libraries have utilized various defined entities to link related information, display results, browse, and download in bulk. Overseas libraries were interested in the continuous up-to-date of interlinked external datasets, and directly utilized external data to reinforce catalog inform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derived implications,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issuing LDs by domestic libraries were propos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future domestic libraries plan LD services or upgrade existing services. 이 연구에서는 해외 도서관의 LD 구축 사례를 발행 데이터세트, 재사용 어휘집, 인터링킹 외부 데이터세트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도서관의 LD 구축 방안에 대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21개 해외 도서관 사례 분석 결과, 해외 도서관은 충실한 전거 LD를 구축하였고, 발행 LD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도서관은 도서관의 주도하에 다른 도서관과 문화기관들과 지역 내에서, 국가 내에서, 국가적으로 협력하였고, 이러한 협력을 바탕으로 특성화된 데이터세트를 발행하였다. 해외 도서관은 발행 LD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Schema.org를 사용하였고, 기술의 세분화를 위해 BIBFRAME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개체를 정의하고, 정의된 개체에 기반하여 LD를 구축하였다. 해외 도서관은 다양한 개체를 관련 정보 연계와 검색 결과 디스플레이, 브라우징, 대량 다운로드에 활용하였다. 해외 도서관은 인터링킹 외부 데이터세트를 지속해서 현행화하였고, 외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목록정보를 보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국내도서관의 LD 구축 시 고려할 점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도서관이 LD 서비스를 계획하거나 기존 서비스를 고도화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bnormal Winter Melting of the Arctic Sea Ice Cap Observed by the Spaceborne Passive Microwave Sensors

        이성숙,이유 한국우주과학회 2016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33 No.4

        The spatial size and variation of Arctic sea ice play an important role in Earth’s climate system. These are affected by conditions in the polar atmosphere and Arctic sea temperatures. The Arctic sea ice concentration is calculated from brightness temperature data derived from the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DMSP) F13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s (SSMI) and the DMSP F17 Special Sensor Microwave Imager/Sounder (SSMIS) sensors. Many previous studies point to significant reductions in sea ice and their causes. We investigated the variability of Arctic sea ice using the daily sea ice concentration data from passive microwave observations to identify the sea ice melting regions near the Arctic polar ice cap. We discovered the abnormal melting of the Arctic sea ice near the North Pole during the summer and the winter. This phenomenon is hard to explain only surface air temperature or solar heating as suggested by recent studies. We propose a hypothesis explaining this phenomenon. The heat from the deep sea in Arctic Ocean ridges and/ or the hydrothermal vents might be contributing to the melting of Arctic sea ice. This hypothesis could be verified by the observation of warm water column structure below the melting or thinning arctic sea ice through the project such as Coriolis dataset for reanalysis (CORA).

      • KCI등재

        효율적인 실과 교수-학습을 위한 영상매체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0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a teaching material in practical arts by using of the audio-visual media as the learning material. Using film in teaching would be effective for students who are very much familiar with computer and multimedia games. Film has a lot of educational advantages when applied to the practical arts. Through film one can acquire knowledge, value and culture of real life. It could intrigue the learners motivation and acquire a indirect experience. In order to the teaching-learning in practical arts through use of film,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the different unit of textbook, and suggested current events of film, utilizable content in teaching, and suggested teaching-learning method. This research suggested a teaching material in practical arts through film and it will be needed further study to achieve this goal when apply to the class.

      • KCI등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발전방안 연구

        이성숙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3

        Main purpose of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is efficient service to the users in the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suggests plan that how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provide service more effective to the users. For the study, RISS(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is investigated. This research examines current services of RISS and analyzes foreign cases which is being advanced. Also it is reviewed that see how thing could have been changed that information service of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for better ways to develop plan for RIS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be the basic resources for new service plan in information service of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국가정보유통기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서는 검토대상으로 선정한 RISS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외선진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정보서비스 발전 추이를 검토하고 RISS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신규 정보서비스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도서관에서 분산자원 검색을 위한 장서 정보에 관한 연구

        이성숙,Lee Sung-Sook 한국문헌정보학회 200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9 No.2

        장서 수준에서 자원을 기술하는 것은 분산된 자원에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정보 서비스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분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관리하기 위한 CLD의 개념과 특징, 효과, 관련 표준을 살펴봄으로 장서정보 연구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국에서 수행된 CLD 관련 프로젝트를 검토함으로서 주제 접근을 강화하기 위한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resources at collection-level is being recognis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information services that seek to provide integrated access to distributed resourc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cept, necessities, and standards of collection level description which manages heterogeneous and distributed resources effectively. Also this research reviewed collection level description projects in other countries to show a new direction of subject access in digital libr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