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산주의 이후 러시아 연금개혁의 과정과 과제

        이성기 ( Lee Sung Kee ),원석조 ( Won Seok J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본고는 공산주의 이후 러시아 복지개혁의 핵심인 연금개혁의 과정과 과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비에트 복지시스템, 소비에트 시기 연금실태와 문제점, 연금개혁의 과정과 그 배경, 개혁과정에서 노정된 여러 과제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대안을 제시하고 개혁의 성공여부를 전망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산주의 이후 동유럽과 구 소비에트연방 국가는 연금개혁을 조기에 성공시킨 반면 러시아는 실패했다. 옐친정부의 급진적이고 비타협적인 경제개혁으로 실업, 빈곤, 불평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했고, 이로 인한 비토세력과의 갈등으로 정책적 교착상태에 빠져 연금개혁이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옐친정부의 무능으로 실패한 연금개혁은 옐친을 계승한 푸틴의 강력한 정치리더십과 경제호전에 힘입어 2002년에야 이루어졌다. 둘째, 러시아 연금개혁이 푸틴정부의 공이긴 하지만, 옐친정부의 1991년 연금공단 신설과 1998년 연금개혁안이 있었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추진되었다. 푸틴정부의 2002년 연금개혁은 공산주의 이후 러시아 연금개혁의 연속선상에 있다. 셋째, 2002년 개혁으로 연금시스템은 기존의 부과방식과 새로운 적립방식이 혼합된 3층 구조, 즉 기초연금, 명목확정기여연금, 개인계정으로 재편되었다. 이러한 정책결정에는 월드뱅크의 조언과 권고가 큰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연금개혁의 성공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주요 과제로는 연금수급연령의 상향조정, 지나치게 관대한 조기퇴직의 통제, 연금 수준의 현실화, 연금 혜택 불평등성의 개선, 개인계정 적립금 투자수익의 증대 등이 있다. 다섯째, 러시아 연금개혁에는 고령화, 인플레, 저임금, 실업, 제도개혁에 필요한 추가지출 등 재정에 부정적인 변수와 연금수급연령의 상향조정, 조기퇴직의 개선, 적립금 투자수익률의 향상을 통한 재정안정과 같은 긍정적 변수가 공존해 있다. 연금개혁의 성공여부는 경제성 장과 같은 거시경제에 달려있는데, 석유수출의존형 경제는 그 전망을 흐리게 만든다.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process and the issues of the Russian pension reforms in the Post-Communism. For the purpose, the soviet welfare system,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soviet pension system, its process and background of the pension reform, and its critical issues were analysed. On the analysis, some alternatives were proposed, and the future was prosp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ussian pension reform in the post-communism was failed contrary to the success of the Eastern European and the former Soviet Federation States in the welfare reforms including the pension. A critical reason of the failure was Yeltsin government`s incompetency. Yeltsin`s economic reform was too radical that it made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poor and inequality. Because of these reverse effects, the veto forces were organized, and political conflicts with them resulted in the reform stagnation and the failure of the pension reform. After all, Putin who had strong leadership and achieved economic recovery could reform the russian pension system in 2002. Second, it is not true that the success of the pension reform is totally Putin`s even though Putin could reform the pension system Yeltsin has failed. Because Putin`s success of the 2002 pension reform owed the establishment of the Pension Fund of Russia(PFR) in 1991 and the pension reform proposition in 1998 which were made by Yeltsin government. This means that Putin`s pension reform succeeded Yeltsin`s efforts. Third, according to the pension reform 2002 of Putin government, the russian pension system was restructured to the three-tier system composing of the basic pension, the nominally defined contributory pension and the individual accounts. This policy determination was influenced by the World Bank`s advices. Fourth, the future of the russian pension reform has many issues such as upward adjusting the age of pension benefit, controlling too much generous early-retirement, realizing the level of pension benefits, improving the inequality of pension benefits, and increasing the interest rate of the individual accounts. Fifth, there are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variables in the russian pension reform. Negative ones are ageing society, inflation, low income, unemployment, and additional expenditure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pension system. Positive ones a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the age of pension benefit, the early-retirement, and the pension fund management. And the success of the pension reform depends on the russian macro economy. However, the oil and gas export economy of russia makes the perspective of the pension reform not clear.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중국 의료보험 개혁의 과정과 과제

        이성기(Lee, Sung Kee),원석조(Won, Seok J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3

        본고는 개혁개방 이후 전개된 중국 의료보험개혁의 과정과 그 과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의료보험의 인프라에 해당하는 보건의료시스템의 실태, 문제점, 정부개혁의 방향을 검토하였고, 도시근로자 의료보험과 농촌 의료보험의 개혁과정과 과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개혁과제의 대안을 제시하였다.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자원의 도농격차의 완화를 위해 농촌 의료자원의 확충에 대한 정부지원이 시급하다. 의료보험으로 진료비를 확보했다 하더라도 농촌에 제대로 된 의료장비를 갖춘 의료기관과 유자격 의사가 없다면 의미가 없다. 둘째, 병원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중국의 병원이 모두 공공병원인 한 정부지원은 당연하다.병원의 이윤추구 성향도 병원에 대한 정부지원이 삭감되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셋째,과도한 의료비 본인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의료보험에 가입하고도 진료비의 절반을 환자와 그 가족이 부담하고 있다면 사회보장제도라 할 수 없다. 넷째, 도시근로자 의료보험 적용대상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입자뿐만 아니라 피부양자까지 당연적용 받도록 해야 하고, 자영업자를 위한 의료보험을 신설해야 하며, 민공에 대한 적용차별을 없애야 한다. 다섯째,농촌 의료보험 상환제의 보장범위를 확대해야 한다.외래 진료비까지 상환대상으로 삼아야하고, 입원 진료비 상환률을 높여야 한다. 여섯째, 농촌 의료보험 정액제는 어떤 형태로던 개선되어야한다. 정액제는 가구 소득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보험료를 부과한다는 점에서 불공평하다. 근로소득자가 아닌 농민에게 소득비례제를 적용할 수는 없으므로 등급제가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일곱째,병원의 약품처방 남용을 막아야 한다. 병원의 약품처방 남용은 환자가족의 진료비 부담을 가중시키는 주범이다.이 문제는 병원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확충되면 쉽게 해결된다. Almost all Chinese people have be benefited high level of social welfare compared with their incomes after the nation building of 1949. Urban citizens as workers of the state owned enterprises and rural residences as members of the communes had gotten basic welfare benefits such as social insurances, free education and housing. However, the open policy of 1979 disorganized the SOEs units as well as the communes so called ‘small welfare state.’ Social security systems based on them had to be reformed as well.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process and the issues of the Chinese health insurance system. For the purpose, not only the process and the issues of the health insurance reforms but also the health care systems as infrastructure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s, the problems and the reform directions were analyzed and some alternatives were propo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rural areas for reducing the disparity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health resources. It’s meaningless that even though the medical fees are gathered through the health insurance, but there are no well-equipped hospitals and qualified doctors. Second,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to the hospitals must be enlarged. Most Chinese hospitals are public ones, Therefore, it’s governments duty. Reducing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made the undesirable result that many hospitals are now seeking profit. Third, over burden of medical fees should be lessened as a security system i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ust pay a half of their medical fees in spite of insured persons. Fourth, the coverage of urban health insurance should be enlarged. Their families, as well as the insured persons must be included, a new system for the self-employed is needed,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Mingong(migrational workers) should be eliminated. Fifth, the medical coverage of the rural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should become more generous. Many counties do not reimburse the out-patient fees and the reimbursement coverage of the in-patient fees is very narrow. Sixth, the flat-rate contribution system of the rural health insurance must be reformed. Considering farmers are not workers, a grade system can be a alternative.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regulate drug prescription abuse of the hospitals to protect patients from economic burden. I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o the hospitals would be increased, this problem could be easily resolved.

      • KCI등재

        중국의 사회복지대학교육과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

        이성기 ( Sung Kee Lee ),원석조 ( Seok Jo W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2

        본고는 중국정부가 2006년부터 추진한 일련의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이 중국의 사회복지대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대학교육의 발전과정과 실태 및 문제점, 정부의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의 주요 내용을 분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대학교육을 전망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대에 시작된 중국의 사회복지대학교육은 신 중국 수립 후 중단되었다가 개혁개방 후인 1989년에 회복되었다. 중국정부가 사회복지대학교육을 되살린 이유는 시장경제로의 전환으로 계획경제시기에는 없었던 사회문제들이 발생하자 이에 대한 연구와 대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복지대학교육 회복 후 사회복지전공 또는 사회복지학과를 설치한 대학의 수가 단기간에 크게 증가했으나 수준 낮은 교수진, 너무 적은 학생 수, 열악한 사회복지실습환경, 빈약한 직업시장 등 상당히 심각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셋째, 개혁개방 이후 심화된 경제성장의 부작용과 사회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중시하는 조화사회를 표방했고, 사회주의와 조화사회의 조력자로 사회복지인재 대오를 건설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넷째, 일련의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은 사회복지대학교육 및 사회복지사의 지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교육기관의 증가, 사회복지대학교육의 질적 향상,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 사회복지전공 대학졸업자의 사회복지분야 진출확대 등이 그것이다. 다섯째, 중국정부와 공산당이 사회복지인재 대오건설정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그것이 사회복지대학교육의 질적·양적 개선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시 되는 만큼 중국 사회복지대학교육의 미래는 밝다.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influence of Chinese government’s policy for developing teams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on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For the purpose, developmental process,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and main contents of government’s policy for developing teams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were reviewed, and future of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was prosp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in China was begun on 1920s, stopped after establishment of the New China, and recovered on 1989 since open policy. The reason of recovery was that the government wanted not only to resolve but also research the new social problems which not existed in planned economy. Second, the number of social work departments or programs of college was rapidly increased in short terms. However, they has serious problems, for example, low quality of professors, few students, bad environments of practicum, and poor job markets. Third, Chinese government announced the harmonious society to resolve the reverse effects of economic growth and social unrest, and chose social workers as assistants of socialism and the harmonious society. Fourth, a series of policies for developing teams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positively influence on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Those are increasement of social workers and social work college, improvement of social work education, better treatment of social workers, and more graduates entering to social work fields. Fifth, the future of social work college education seems to be bright, because Chinese government and Communist Party are driving the policy for developing social workers and the improving effect of social work education is obvious.

      • KCI등재

        미국 TANF의 근로소득공제제도가 수급자의 근로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성기(Sung Kee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04 한국사회정책 Vol.11 No.1

        우리나라에서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 이후 수급자의 근로동기에 관한 문제가 계속하여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근로소득공제제도는 일을 하고 있는 수급자와 하지 않고 있는 수급자간의 가처분 소득을 차별함으로써, 이론적으로는 수급자간 형평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시행과정에서는 실제적으로는 어떠한 효과를 나타낼지 예측 할 수 없다. 미국의 대표적인 공공부조제도인 TANF의 전신인 AFDC에서도 근로소득공제의 효과가 기대와는 달리 나타나서 수급자에 대한 근로소득공제 적용을 여러 차례 번복하였던 역사적 경험은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주제인 공공부조의 근로소득공제제도에 관하여 가장 오래된 시행 경험과 주별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공공부조프로그램인 TANF를 대상으로, 각 주별 프로그램을 근로소득공제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별로 적용하고 있는 근로소득공제가 근로동기에 마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정책적인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서구 국가들의 근로연계복지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경향성을 기술하고, 근로연계복지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분석하여 실제 정책적인 효과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둘째, 미국에서 주별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TANF를 분석하여, 주별 TANF의 근로소득공제제도를 근로소득공제의 방식과 정도에 따라 유형화하고, 각 주의 근로소득공제제도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근로소득공제의 유형에 따라 TANF 수급자의 근로동기에 마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ANF에서 시행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근로소득공제제도 중에서 정률공제의 방식은 공제율이 일정수준 이상 높지 않으면 근로유인의 효과가 마약하여 근로소득이 낮은 계층에 대해 근로유인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근로소득이 낮은 계층에 대해서는 취업에 따른 부대비용으로 일정금액을 공제함으로써 취업을 유인하고 근로소득공제의 체감효과를 높이며, 일정 수준 이상의 근로소득이 있는 계층에 대해서는 잔여 근로소득의 일정비율을 공제함으로써 추가적으로 근로유인 효과를 제고시키는 장점을 가진 혼합공제의 방식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originated from the situation that welfare-to-work has not been systematically valuated yet since introduced in 2000 to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welfare-to-work system and analyze characteristics and several problems being pointed out NBLS as a system for welfare-to-work. In addition, some improved plans will b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NBLS expected to be regarded as a major system for welfare-to-work in Korea in the future via the good use of various current information and operational data input from TANF (an American welfare-to-work system being put in force). Conclusion and political significance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Dependence of NBLS beneficiary on welfare system shall be lovered and the supply term for the conditional payees shall be also limited so to cut down the financial burden. 2. Appropriate self-supporting projects and programs shall be developed for each object to make the self-support fruitful and to provide people from all levels of society with good self-supporting opportunities. 3. Earring disregard system shall be theorized to increase work incentive of the conditional payees. Mixed deduction system is desirable even for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including the middle brackets or more to feel supported by the effect of the deduction. 4. An organization shall be prepared to monitor NBLS systematically on the whole. Though NBLS has been put into operation since October, 2000, continu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are still required to repair the enforcement since somewhat unready and valuated yet for almost 3 yearsalong with public support system. Valuation on a system will and shall play a key role in identifying merits and demerits derived from its operation so as to improve the system and achieve suggestions for its operational way tomorrow.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중국정부의 사회복지사회화전략의 전개과정과 한계

        이성기(Lee, Sung Kee),원석조(Won, Seok J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3

        본고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정부가 추진한 사회복지사회화전략의 전개과정과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가능성을 전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회화는 정부가 사회복지시설운영비를 모두 부담한 계획경제시기의 정부단일자금방식을 정부, 집체, 개인 삼자공동자금방식으로 전환한 사회복지개혁조치로서 개혁개방 이후 사회문제의 확산과 심화로 인해 사회복지서비스재정지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한 중국정부가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만든 사회복지서비스재정의 다변화전략이었다. 둘째, 사회복지사회화를 위한 일련의 조치들은 민간사회복지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규제에 목적이 있었다. 복리복권 관련 규정은 무분별한 복리복권의 발행을 규제하기 위해, 공익사업기부법은 민간의 기부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민간비영리단체등록관리잠정조례는 민간비영리단체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관리잠정방법은 민간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회화전략은 사실상 실패했다. 중국정부가 사회복지사회화전략을 통해 민간의 사회복지사업에의 참여를 권장하고 지원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과 개인의 공익사업 기부금 액수는 제한적이고 민간사회복지시설도 별로 늘어나지 않았다. 정부 기대와 달리 민간부문의 사회복지에 대한 기부와 투자 모두 성과가 저조했다. 넷째, 사회복지사회화전략이 실패한 원인은 사회복지 민간부문에 대한 과도한 정부규제, 민간사회복지시설의 영리추구 억제, 민간사회복지단체의 어용적 성격, 공공사회복지시설의 자비수양으로 인한 민간양로원의 한계, 민간단체의 사회복지시설 위탁운영 역량의 한계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다섯째, 사회복지사회화전략의 전망은 어둡다. 동 전략의 핵심이 사회복지 민간부문의 활성화인데, 이는 시민사회와 NGOs의 성장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 하지만 중국정부는 시민사회 형성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다. 따라서 시민사회에 기반을 둔 진정한 민간사회복지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process, outcomes and limits of Chinese government’s strategy for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since Open Policy, and taking a look at its future possi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for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was a social welfare reform which changed the government-monopoly expenditure system of the planned economy to the government-groups-individual cooperation system. It was welfare pluralism of Chinese government to provide for the huge welfare expenses due to the enlargement of social problems since Open Policy. Second, the provisions for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were for supporting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But the real purpose was to regulate the private sector. The measures for the welfare lottery was made to regulate over issuing problems, the law on donation for public works was legislated to control private donors, and the interim regulations of registering and supervising the non-profit organizations was enacted to check and supervise the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ird, the strategy for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actually failed. In spite that government recommended vigorous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s in social work, donation and investment of enterprises and individuals were very limited. Outcomes of the strategy disappointed government’s expectation. Fourth, activation of the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 was failed either. The reasons are strong government’s regulation on private social welfare sector, restraint on profit pursuit of the privat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government patronized social welfare associations, personal charged nursery homes for the aged, and low entrusting capacity of non-government organizations. Fifth, prospect of the strategy for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is negative. The core of the strategy is the activating the private social welfare sector, and it is not possible without the civil society and NGOs. However, Chinese government do not want formation of the civil society. Therefore, we can’t expect real development of the private social welfare based on it.

      • KCI등재

        빈곤(貧困)의 정의(定義)와 측정(測定)에 관한 연구(硏究)

        이성기 ( Sung-kee L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7 保健社會硏究 Vol.7 No.2

        As idea and reality, poverty is of major significance in welfare. Three questions are of particular practical and theoretical significance: Who counts as poor,how is poverty measured, and what forms should a welfare response take?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overty have become much more complex since the early studies of Charles Booth. In definition of poverty, it may be distinguished two approaches: a) economic approach b) sociocultural approach In measuring poverty, three approaches to defining poverty level are discussed ; social consensus approaches, budget standard approaches and behavioural approaches. Social consensus approaches is to find out what the public thinks should be the poverty level. It may be distinguished two variants: a) What the public says should be provided at the minimum level-the desired poverty level. b) What the public is prepared to say for in taxes as a minimum income-the financeable poverty level. Budget standard approaches consists in defining budgets standards for different types of expenditures. Basically, groups of experts are required to make professional judgements as to what needs to be spent for food, clothing, transport, housing, heating, etc. The third approach, behavioural approach, seeks to identity a poverty level on the basis of a change in social behaviour by examining behaviour in relation to income. Below a certain poverty level or threshold, the loss of each unit of income increases deprivation sharply whereas above this level deprivation declines more slowly. These three approaches are distinguished for clarity. In practice, however, most writers in westemworld combine several approaches. Poverty is always defin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s of the society in which it occurs. Each country has own standard in definition and measurement. So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overty is the matter of politics.

      • KCI우수등재

        국산육가공 제품의 이화학적 성질 및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김종원,이성기,안병윤,이유방 ( Jong Won Kim,Sung Kee Lee,Byung Yoon Ahn,Yu Bang Lee ) 한국축산학회 1981 한국축산학회지 Vol.23 No.1

        Twenty-four processed meat items locally produced by 6 different domestic manufactures from the beginning of June to the middle of August, 1980 were tested for their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isture content of fish sausage was between 59.0 - 66.1%, crude protein 9.6 - 11.7%, crude fat 2.6 - 15.8% and crude ash 1.7 - 3.2%.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were lower than the desirable level and the crude fat content also showed wide variations among manufactures. 2. The moisture content of meat sausage was between 51.3 and 60.8%; crude protein 13.7 - 16.2%, crude fat 17.5 - 28.6%, crude ash 1.9 - 2.7%. The ratio of protein to water was similar to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but fat content was relatively low. 3. The moisture content of ham was about 70%; crude protein 16.1 - 24.4%, crude fat 2.8 - 10.9%, and crude ash 2.9 - 4.5%. When compared to the products of foreign countries, the domestic hams were lower in fat but higher in moisture content. 4. The mean pH values of all products were between 5.9 and 6.4. 5. The nitrite content of all products was between 10 and 40 ppm. None of the products was found to contain more than 70 ppm. 6. Food regulations spec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rocessed meats take effect for the meat products, but not for the fish sausages, resulting in the wide variation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ish sausage. 7. Warner-Bratzler shear press value of meat sausage was 0.23±0.1 (Kg/wt); fish sausage 0.35±0.1 (Kg/wt) and ham 1.69±0.5 (Kg/wt). W/B shear press value of ham was five times greater than that of sausage. 8. Hardness of fish sausage was between 2.67 and 5.98 (Kg/wt); ham 5.1 - 10.8 (Kg/wt). Hardness showed wide variations among 6 different domestic manufactures. 9. Springiness was relatively uniform and cohesiveness of sausage was larger than that of h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