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조된 폐세탁기 SBR 을 이용한 축산폐수처리

        이상형,이준상,전항배,박종호 ( Sang Hyung Lee,Jun Sang Lee,Hang Bae Jun,Jong Ho Park ) 한국물환경학회 1997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3 No.4

        In this research, an wasted washing machine was remanufactured to a sequencing batch reactor(SBR) and investigated for treating swine wastewater with it. This SBR system was operated for removing COD, ammonia, and suspended solid, that were the major pollutants in animal wastewater. Aerobic and anoxic conditions after FILL were applied intermittently for effective removal of nitrogen. SETTLE and DRAW modes were followed by the complete aerobic and anoxic REACT. The total volume of the SBR was 75 liters, while the working volume in a cycle was 35 liters. When the final operating strategy of the SBR was FILL/REACT/SETTLE/DRAW of 0.5/10/1/0.5 hr,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COD_(Cr), NH₄-N, and T-N were 95, 98, and 85%, respectively. Finally, this SBR system can handle 10(based on 70㎏) pigs effectively.

      • 공생 진화를 이용한 Immunotronic 접근 방식의 하드웨어 오류 검출

        이상형,김은태,이희진,박민용,Lee, Sang-Hyung,Kim, Eun-Tai,Lee, Hee-Jin,Park, Mignon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5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오류 검출을 위하여 공생 진화(symbiotic evolution)에 기반을 둔 새로운 immunotroni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면역학(immunology)과 전자공학(Electronics)을 결합한 immunotronic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포용 조건 (tolerance condition)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포용 조건 생성은 생체 면역 시스템에서의 항체 생성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 면역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항체의 다양성 원리(principle of antibody diversity)를 포용 조건 생성에 적용한 후 공생 진화를 통하여 이를 구현한다. 공생 진화는 기존의 유전자 알고리즘(standard genetic algorithm, SGA)에 비해서 더욱 더 생체 면역 시스템이 항체를 생성하는 방식과 유사하며 이러한 방식은 이전의 immunotronic 방식에 비해서 더 향상된 비자기 검출 율을 보여 준다. 이렇게 제안된 알고리즘을 FSM(Finite State Machine)의 가장 전형적인 예인 십진 카운터와 MCNC benchmark FSM에 적용한 후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한다. A novel immunotronic approach to fault detection in hardware based on symbiotic evolution is proposed in this paper. In the immunotronic system, the generation of tolerance conditions corresponds to the generation of antibodies in the biological immune system. In this paper, the principle of antibody divers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the biological immune system, is employed and it is realized through symbiotic evolution. Symbiotic evolution imitates the generation of antibodies in the biological immune system morethan the traditional GA doe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suggested method outperforms the previous immunotronic methods with less running time. The suggested method is applied to fault detection in a decade counter (typical example of finite state machines) and MCNC finite state machines and its effectiveness is demonstrated by the computer simulation.

      • 자기진실성(Authenticity)과 남명 조식의 경의사상(敬義思想)

        이상형 ( Lee Sang-hyung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개인주의와 다원주의로 특징지워지는 현대 사회에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도덕적 원천이 고갈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를 불안사회, 피로사회 등으로 진단하게 하며, 정체성 위기와 자아실현의 어려움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의 해결 방안으로 찰스 테일러가 주장하는 자기진실성의 이상을 부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는 서양 근대 자율성의 이상과 달리 내면의 도덕적 원천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내면은 개인의 고유성뿐만 아니라 공동체가 가지는 도덕적 내용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행동과 삶은 공동체가 공유하는 도덕적 지평에서만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올바른 정체성 형성과 자기실현에 도달할 수 있다.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관계에 대한 이런 함의를 우리의 도덕적 공간에서 조식 또한 성과 경을 통해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곧 조식의 경의사상이 자기진실성의 이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식의 경의사상에 대한 이런 해석에 기반해 오늘날 개인주의와 나르시시즘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을 탐구하며, 이는 또한 조식 사상의 현실성에 대한 하나의 주장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the thought of Josik is actual. Modern times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ism and pluralism. Individualism is based on ideals of autonomy.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 communities. Eventually the meaning of life is exhausted, and the crisis of identity and the difficulty of self-realization occur. To solve this, Charles Taylor claims an ideal of authenticity. I would argue that this ideal of authenticity is a characteristic of Josik’s thought. Josik insists on confirming my own inner nature through sincerity and reverence. Since sincerity is a principle of heaven, sincerity as a principle of man can function as a practical standard of moral act. And man learns this principle by clearing his mind through the reverence. This gaze on the inner self is the identification of our moral sources. Our moral sources are made up of the meanings of the world. Josik tries to solve the problem of an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through sincerity and reverence. We can correctly position our lives and actions in a moral horizon. And through this orientation, moral practice can be meaningful. The ideal of authenticity through the thought of reverence and righteousness will be completed in the practical thought of Josik.

      • KCI등재

        의사결정의 세 가지 모델

        이상형(Lee, Sang-hyung)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집단적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모델을 검토하고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에 적합한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하버마스는 이런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모델을 그 정당화 유형에 따라 자유주의적 모델, 공화주의적 모델, 심의정치적 모델로 구분하고, 호네트는 자유주의, 공화주의, 절차주의의 세 가지 모델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논자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가능한 의사결정의 모델을 그 특징에 따라 다시 세 가지, 즉 힘에 의한 모델과 절차에 따른 모델, 공화주의적 모델로 구별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런 구별을 통해 각각의 의사결정이 가진 특징을 뚜렷이 부각시키며 이와 더불어 각각의 장단점을 파악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런 장단점에 대한 분석은 결국 올바른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다. 그러나 올바른 의사결정의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의사결정의 목표가 무엇인지 또한 밝혀져야 한다. 따라서 집단적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의 목표는 사회적 행복에 있음을 해명하며, 이 사회적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을 때 집단적 의사결정은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사회적 행복을 도모하기 위한 정당한 의사결정의 방법은 오늘날 현대 사회의 조건에 대한 분석을 또한 요구한다. 따라서 현대 탈형이상학적 시대와 다원주의 사회에서 정당한 의사형성 및 의사결정이 되기 위한 조건에 대한 분석도 시도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primarily to examine models of collective decisio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The goal is to propose a model of decisio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that is appropriate for a democratic society. Habermas distinguishes these models of decisio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by liberal, republican, and deliberative political models according to their justification types. Axel Honneth, on the other hand, is divided into three models of liberalism, proceduralism, and republicanism. I want to divide the model of possible decision-making in democratic society into three, that is, the model based on force, the model based on procedure, and the republican model. This distinction will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cision-making model and this confirmation will help us find the best decision-making model for a democratic society. In the end, I will combine the republican model with the procedural model. For this synthesis, I will also propose three conditions in modern society. I will argue that the three condition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ctive freedom, and horizontal networks are necessary.

      • KCI등재

        가구재의 표면마감재 종류에 따른 오염물질 방출특성

        이상형(Sang-Hyung Lee) 한국생활환경학회 2010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7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mission rate of pollutants from furniture with different surface finishing materials. Generally, furniture is made of particle board(PB) and medium density fiberboard(MDF) as bodies and doors of furniture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kinds of surface finishing materials with same emission rate of formaldehyde of base board(PB and MDF respectively) were selected and 32 specime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mall-scale chamber method. The surface finishing types of PB were finishing foil, poly paper and PVC(poly vinyl chloride) and those of MDF were matt painting, high glossy painting and patterned lumber. In case of PB, specimens finished with poly paper emitted less TVOC and formaldehyde than the others. And MDF specimens finished with patterned lumber emitted less TVOC than the painting-type specimens.

      • KCI등재

        시민사회의 이중성과 해방의 조건 - 헤겔 시민사회론과 새로운 규범성 모색 -

        이상형 ( Lee Sang Hyung ) 한국헤겔학회 2021 헤겔연구 Vol.- No.49

        본 논문의 목적은 시민사회의 성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민사회에서 해방의 조건을 탐구하는 것이다. 시민사회 개념은 역사적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민사회에 대한 규정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시민사회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정립하기 보다는 시민사회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며 이에 기반해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시민의 규범성을 도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헤겔의 시민사회에 대한 분석에 기반해 시민사회의 성격을 자발성과 공동성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자의를 포함한 자유로운 의지를 의미하는 자발성은 시민사회가 성립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성격이다. 왜냐하면 시민사회는 자발적인 관심에 의해 성립되며, 따라서 주관적, 사적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사적관심과 욕구는 충족되기 위해 상호의존적 체계를 필연적으로 요구할 수밖에 없다. 즉 시민들의 욕구충족을 위해 시민사회의 공동성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이것이 공공성으로 발전할 계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의 공공성을 통한 시민사회의 문제해결은 시장의 과잉과 함께 관료지배체제와 중앙집권화된 권력체제에서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시민사회 자체의 내재적 가치를 살리기 위해 시민의 자율성을 증대하고 협력적 결사체를 형성하기 위한 규범성이 요구된다. 이 지점에서 필자는 자발성이 자의에 머물지 않고 결사체가 집단이기주의가 아니라 연대의 결사체가 되기 위해 한나 아렌트의 ‘행위’개념과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실천’개념에 의존하고자 한다. 시민의 ‘행위’와 ‘실천’의 사회적 활동을 통해 시민사회에서 자발적이면서 다원적인 연대적 결사체를 구성하는 길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ociety and to present the conditions for emancipation of civil society.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and various definitions on civil society have also been made. In this change, rather than establishing a theoretical model for civi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civil societ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ociety and to derive the normativity of citizens constituting civil societ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o this end, I intend to define the nature of civil society as voluntary and communal based on Hegel's analysis of civil society. Voluntaryness, which means free will, including self-interest, is the most basic nature for civil society to establish. This is because civil society is founded by voluntary interest and therefore by a subjective and private interest. However, such personal interests and desires inevitably require an interdependent system to be met. In other words, the commonality of civil society is inevitably required to satisfy the needs of citizens, and this is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publicity. However, solving the problems of civil society through the publicity of the nation is not easy in a bureaucratic and centralized power system, along with the exaggeration of the market. Therefore, a normativity is required to increase citizens' autonomy and form cooperative associations in civil society. At this point, I intend to introduce Hannah Arendt's concept of “action” so that voluntaryness does not remain arbitrary, and restore Alasdair McIntyre's concept of “practice” to become a solidarity, rather than collective egoism. Through the social activities of these citizens' “act” and “practice”, I hope to form a voluntary and pluralistic solidarity associations in civil society.

      • KCI등재

        가족규범의 위기, 변화, 그리고 정당화

        이상형(Lee, Sang-Hyung)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3 No.3

        오늘날 가족의 개념과 위상은 근대화의 과정에서 빠르게 변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가족의 규범이 어떤 모순적 상황에 처해 있다는 것이다. 먼저 서구 근대화의 물결에 따라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강조되고 이것이 가족관계에도 침투하고 있다. 이는 사회구성의 기본단위인 가족에도 가족 구성원을 독립적 인간으로 또는 하나의 자유로운 개인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요구와 결합된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들에게도 전통 사회에서의 위계질서가 아니라 수평적 관계가 강조된다. 그러나 이런 변화에 따라 개인의 자유와 독립을 강조하는 것은 개인을 집단과 세계에 맞선 개별자, 단독자로 만들고 이는 필연적으로 불안과 자유의 무게에 짓누르게 한다. 따라서 개인과의 연대와 사랑이 가족 구원성 사이에 다시 강조되며, 이는 가족 집단주의로 귀결되기도 한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대결 장소로서 가족이 처해 있는 이런 모순적 상황은 현대 윤리학의 주요 문제인 정의와 연대의 대결과 조화라는 문제를 가족 내에서 다시금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현대 윤리학자들이 취하고 있는 방법으로 가족에서의 이런 모순적 상황을 해결하기에는 쉽지 않다. 자유주의 진영의 윤리학자들은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을 구별하며 공적영역에 정의를, 가족에 친밀성을 부여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시장과 국가권력의 확장은 기존의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공동체주의 윤리를 통해 가족 구성원의 연대를 강조하는 것은 가족 내 기존의 권력관계를 고착화시키고 가족 외부에 대한 폐쇄적 가족집단주의를 강화할 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가족이 사회 내에서 갖는 특수한 위치를 고려하면서 가족관계를 질서지울 수 있는 규범과 규범의 정당화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는 인정개념을 통해 가족 내에 사랑과 권리, 그리고 연대를 종합하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modern family is changing rapidl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the family faces some contradictory situation. First is the spread of liberal individualism which emphasizes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according to the wave of Western modernization. This means that each family member should be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person or a free individual. However, these changes lead to the dismantling of the family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dividual is responsible for everything. Today, the cause of anxiety, dangerous, and anger society may have come from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Faced with this phenomenon, family intimacy and solidarity are again being emphasized.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in which the family is in conflict as a place of confrontation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can be grasped as a problem of reconciling justice and solidarity. However, it is not easy to solve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in the family by the method that existing modern ethicists are taking. Liberals seek to reconstruct the intimacy of family as a priority of justice by distinguishing the private domain from the public domain. However, due to the expansion of market and state power today, the distinction between existing private and public areas has become ambiguous. In addition, emphasizing the solidarity of family members through community ethics only fixes existing power relations in the family and strengthens closed family groupis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normative meaning that family should have in social order considering the special position of family. This is to present a norm to restore love, rights, and solidarity within the family through the concept of recognition.

      • KCI등재

        시민사회, 무엇을 할 것인가? - 분배적 정의와 인정의 화해 -

        이상형(Lee, Sang-hyung)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4 No.-

        이 논문은 시민사회에서 시민이 그리고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단체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민사회는 자발성과 공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자발적 결사체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시장의 논리와 가치가 시민사회의 다른 영역들을 침범하며 국가 관료주의가 시민들을 타율적으로 만들고 정치적 삶에서 시민들이 멀어지면서 시민들은 시민사회에서 자율성과 연대를 잃어버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시민사회에서 시민들이 좋은 삶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할지가 문제시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필자는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먼저 공통체와 사회적 자본 개념을 참조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사적관심과 공적관심이 혼재한 시민사회는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을 넘어선 공통체를 통해 유지, 발전되며, 공통체는 사회적 자본의 활발함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공동소유, 공유지 등의 개념을 발전시킨 공통체는 자본주의가 발전할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지지만 시장과 국가의 관리라는 선택지를 넘어 시민사회의 자치로 관리될 때 발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신뢰, 협력, 연대 등의 사회적 자본이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이라는 가치를 형성하기 위해 시민들의 동등한 참여가 필수적이다. 동등한 참여가 보장될 때 시민들의 연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낸시 프레이저에 따르면 동등한 참여를 위해 분배적 정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동등한 참여가 좋은 삶을 목적으로 하는 한 동등한 참여도 결국 동등한 신분에 대한 인정을 요구하는 것이다. 즉 분배적 정의는 동등한 것은 동등한 것으로, 차이 있는 것은 차이 있는 것으로의 인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정투쟁을 통해 우리는 동등한 참여를 인정받고 연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제 시민사회는 사회적 규범으로서 인정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고 공통체를 유지, 발전시킴으로써 시장논리에 대항하고 자율성과 연대를 위한 장소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includes a discourse on what citizens and associations constituting civil society will do in civil society. Civil society is characterized by voluntariness and commonality and therefore consists of voluntary associations. However, citizens are losing autonomy and solidarity in civil society as the logic and values of the market invade other areas of civil society, and state bureaucracy induces citizen heteronomy. With this in mind, the question of how citizens should live a good life in civil society, which forms most of the social relationships, is important. To answer this question, I first refer to the concept of commonwealth and social capital. Because civil society is maintained and developed through a commonwealth, and the commonwealth depends on the activity of social capital. The concept of a commonwealth, which developed the concept of common ownership and common land, becomes more important as capitalism develops, but it can be developed when it is managed as an autonomous civil society beyond the option of market and state management. And for this,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cooperation, and solidarity among community members is important. Equal participation of citizens is essential to form the value of social capital. This is because citizens solidarity can be formed when equal participation is guaranteed. Therefore, according to Nancy Fraser, distributive justice is needed for equal participation. However, as long as equal participation aims for a good life, equal participation eventually requires recognition of equal status. In other words, the distributive justice means recognition of equal as equal, and different as different. Therefore, through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we can be recognized for equal participation and form solidarity. Civil society can be a place for autonomy and solidarity against market logic by forming social capital through recognition as a social norm and maintaining and developing a commonwealth.

      • 정의와 유대성

        이상형(Lee Sang-Hyu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동서사상 Vol.10 No.-

        하버마스는 “도덕적 관점”을 통해 현대 다원주의의 시대상황을 극복하고자 한다. 즉 그에 의하면 현대는 다원주의로 특징지워지며 따라서 윤리학의 과제는 이 다원주의 사회에서 공동생활을 위한 공정한 관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공정한 관점형성은 곧 공동생활을 규제하기 위한 올바른 정의원칙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덕규범을 정당화하기 위한 정의원칙은 보편타당한 정당성을 요구하기에 탈관습적 입장에서 모든 좋은 삶에 대한 문제로부터 벗어나기를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활세계의 인륜성으로부터의 추상은 정의원칙과 현실과의 괴리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의원칙의 형식성을 극복하기 위해 하버마스는 결국 공동체의 공동의식을 강조하는 유대성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당화담론을 통해 가능한 유대성은 상호간을 대화가능한 주체로 인정하는 형식적 유대성일 수밖에 없다. 이 추상적 유대성을 통해서는 실질적인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즉 서로의 공동복지를 위한 유대성을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좋은 삶에 대한 표상을 공유하는 우리-공동체의 의식형성을 통해서만 가능할 뿐이다. 따라서 형식적 보편주의적 관점은 선윤리의 관점에서 다시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만 정의와 유대성의 실질적인 종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의를 형성하는 것이 우리의 좋은 삶에 대한 표상이고 이 표상이 우리 공동체의 일반적 의지에 의지함을 인식할 때 우리는 좋은 삶에 대한 합의를 위해 서로를 친구로서, 동일한 공동체 내에서 좋은 삶을 추구하는 타자로서 인정한다. 유대성이 우리­공동체(Wir-Gemeinschaft)의 인식에 의지하는 한 그리고 정의가 이 공동체의 의미연관 속에서 규정되는 한, 유대성과 정의는 실질적인 내용을 가지고 서로 보완할 수 있다.

      • KCI등재

        운전자의 차선변경 의도 파악을 위한 기계학습 알고리즘과 입력변수의 선택

        이상형(Sang Hyung Lee),이상헌(Sang Hun Lee) (사)한국CDE학회 2020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5 No.1

        In this paper, we tried to search for the best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feature set for inferring the driver"s lane change intent of the ego vehicle and surrounding vehicles. To this end, first, we collected experimental data for driver and vehicle behaviors using eye and head tracking devices and a driving simulator. Next, we developed several inference models based on typic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compared their performance to select the best one, which was a Random Forest model. Third, we searched for the best set of features using the wrapper method and best-fit search algorithm. Finally, we found the best machine learning algorithm, which was the Random Forest, and its associated feature set, which was ten and nine features out of thirteen and eleven features for the ego and surrounding vehicle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