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번역의 동아시아적 시공간과 한국문학 : 「춘향전」의 번역과 민족성의 재현 -이광수의 「춘향」(1925∼1926)을 읽을 또 다른 문맥, 게일,호소이 하지메의 고소설 번역 담론-

        이상현 ( Sanghyun Lee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6

        본고의 목적은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춘향(春香)」(『동아일보』 1925. 9. 30~1926. 1. 3)[혹은 『일설 춘향전(一說 春香傳)』(1929)]을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 그리고 호소이 하지메(細井肇, 1886~1931)가 주관한 자유토구사(自由討究社)의 「춘향전」 번역 실천’이라는 문맥 속에서 읽어 보는 것이다. 「춘향전」을 주어로 놓고 세 사람의 「춘향전」에 관한 번역 실천을 본다면, 이광수의 「춘향」은 비록 자유토구사와 동등한 지평의 근대어로의 전환을 전제로 한 작업이었지만, 상대적으로 더더욱 원전을 보존하고자 한 지향점을 지니고 있었다. 즉 이광수의 「춘향」은 원전을 최대한 보존하고자 한 게일의 번역과 원전에 대한 축역이자 통속역을 지향한 자유토구사 사이에 놓인 글쓰기였던 셈이다. 「춘향전」에 근대소설의 의장을 부여하고자 한 이광수의 실천, 또한 원전의 언어를 근대어로 바꾼 그의 「춘향」은 「춘향전」과 이를 구성하는 언어가 ‘고전문학’ 또한 ‘고전어’로 재편되는 모습을 예비하는 실천이기도 했다. 종국적으로 이광수의 「춘향전」다시 쓰기는 번역 혹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구현되는 「춘향전」의 새로운 형상을 만들며, 원전 「춘향전」을 ‘민족의 고전’으로 정립시키는 행위였기 때문이다. The paper compares Choonhyang , published serially in Dong-A Daily between September 30th 1925 and January 3rd 1926, and IlSul Choonhyang Jeon , published in book form by Lee Kwangsoo in 1929, with the translations of J. S. Gale (1863∼1937) and Hosoi Hajime (細井肇, 1886∼1931) who led the Chayut’ogusa organization (自由討究社). Taking Choonhyang Jeon as a source text and comparing the translation practices of three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Lee attempted to render the classical Choonyang Jeon in a modern version, much as the Chayut’ogusa version did, but he tried to preserve much more of the original than Hosoi. Lee’s approach can therefore be considered intermediate between that of Gale, who kept most of the original, and that of Chayut’ogusa, which tried to produce a more concise and popular text. Lee apparently wanted to transform the classical Choonyang Je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s of the modern novel, so he adopted a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of Lee Haejo (李海朝) and Choi Namsun (崔南善). Lee Kwangsoo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by reviving the original Choonhyang in a modern Korean format, and the style and direction of his writing represented a preliminary step toward the restructuring of Choonyang Jeon and its language in the context of classical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중국의 해양회색지대 전략에 대한 일본의 대응 : 법적 기반정비와 해상안보·보안체제 강화를 중심으로

        이상현 ( Lee¸ Sanghyun ) 현대일본학회 2020 日本硏究論叢 Vol.52 No.-

        2012년 일본의 센카쿠열도 국유화 선언으로 강화된 중국의 해양공세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더불어 일본의 안보를 심각하게 저해하는 위협요인으로 부상하였다. 이 논문은 중국의 해양 회색지대 전략에 대한 일본의 대응을 법적기반 정비와 전략적 해상보안체제 구축이라고 하는 두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2010년대 중반 일본국회에서는 평화안보법제 제정을 둘러싸고 활발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당시 아베정부는 회색지대사태에 대한 대응을 집단적 자위권 도입 여부와 더불어 핵심의제 중 하나라는 인식을 보였지만, 원거리 도서지역의 영역경비와 관련한 신법제정은 유보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중국의 해양공세에 대해 영역경비와 관련한 신법을 제정하여 평시에도 자위대가 출동할 수 있도록 군사적 대응을 강화하게 되면, 이것이 오히려 센카쿠열도를 포함한 남서제도에서의 군사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 이후 일본은 해양경찰인 해상보안청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해상보안체제 구축과 자위대의 해상억지력 강화에 역량을 집중시키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략적 해상보안체제 강화가 시급한 한국에게 있어 중국의 해양공세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 대처방안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China’s maritime offensive, strengthened by Japan’s nationalization declaration over the Senkaku Islands in 2012, along with North Korea’s development of nuclear missiles, has emerged as a threat seriously impeding Japan’s security. This paper examines Japan’s response to China’s maritime gray zone strategy in the 2010s, focusing on two aspects: legal system discussion, and strategic maritime security system establishment. In the mid-2010s, active discussions took place in the Japanese National Assembly over the enactment of peace and security legislation. At that time, the Abe administration showed recognition to be one of the core agenda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to respond to the gray zone situation, but it delayed the enactment of a new law. Behind the scenes, there was a perception that if a new law related to territorial security was enacted against China’s maritime offensive, and with a strengthened military response (so Self-Defense Forces could be dispatched even in peacetime), this could instead lead to a military crisis in the Southwest Islands, including the Senkaku Islands. Since then, Japan has shown a pattern of concentrating its capabilities on establishing a strategic maritime security system to strengthen its own maritime deterrence, centering on the Maritime Security Administration (a maritime police force).

      • KCI등재

        사물-사람 간 개인화된 상호작용을 위한 음향신호 이벤트 감지 및 Matlab/Simulink 연동환경

        이상현,김탁곤,조정훈,박대진,Lee, Sanghyun,Kim, Tag Gon,Cho, Jeonghun,Park, Daejin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5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0 No.4

        Most IoT-related approaches have tried to establish the relation by connecting the network between things. The proposed research will present how the pervasive interaction of eco-system formed by touching the objects between humans and things can be recognized on purpose. By collecting and sharing the detected patterns among all kinds of things, we can construct the environment which enables individualized interactions of different objects. To perform the aforementioned, we are going to utilize technical procedures such as event-driven signal processing, pattern matching for signal recognition, and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We will also aim to implement the prototype of sensor processor based on Arduino MCU, which can be integrated with system using Arduino-Matlab/Simulink hybrid-interoperation environment. In the experiment, we use piezo transducer to detect the vibration or vibrates the surface using acoustic wave, which has specific frequency spectrum and individualized signal shape in terms of time axis. The signal distortion in time and frequency domain is recorded into memory tracer within sensor processor to extract the meaningful pattern by comparing the stored with lookup table(LUT). In this paper, we will contribute the initial prototypes for the acoustic touch processor by using off-the-shelf MCU and the integrated framework based on Matlab/Simulink model to provide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ouch-sensing for the user on purpose.

      • KCI등재

        딥뉴럴네트워크 기반의 흡연 탐지기법 설계

        이상현,윤현수,권현,Lee, Sanghyun,Yoon, Hyunsoo,Kwon, Hyun 한국융합보안학회 2021 융합보안 논문지 Vol.21 No.1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developing in an environment where a lot of data is pro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ing technology, a cloud environment that can store data, and the spread of personal mobile phones. Among thes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e deep neural network provides excellent performance in image recognition and image classific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image detection for forest fires and fire prevention using such a deep neural network, but studies on detection of cigarette smoking were insufficient. Meanwhile, military units are establishing surveillance systems for various facilities through CCTV, and it is necessary to detect smoking near ammunition stores or non-smoking areas to prevent fires and explosions. In this paper, by reflecting experimentally optimized numerical values such as activation function and learning rate, we did the detection of smoking pictures and non-smoking pictures in two cases. As experimental data, data was constructed by crawling using pictures of smoking and non-smoking published on the Internet, and a machine learning library was us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the learning rate is 0.004 and the optimization algorithm Adam is used, it can be seen that the accuracy of 93% and F1-score of 94% are obtained.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 그리고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많은 데이터가 생산되는 환경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 중에서 딥뉴럴네트워크는 이미지 인식, 이미지 분류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딥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산불 및 화재 예방을 위한 이미지 탐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흡연 탐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한편 군 부대에서는 각종 시설에 대한 감시체계를 CCTV를 통해 구축하고 있는데 화재, 폭발사고 예방을 위해 탄약고 주변에서의 흡연이나 금연구역에서의 흡연을 CCTV로 탐지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흡연 여부를 탐지하는 방법에 대한 성능 분석을 하였으며 활성화함수, 학습률 등 실험적으로 최적화된 수치를 반영하여 흡연사진과 비흡연사진을 두 가지 경우로 탐지하는 것을 하였다. 실험 데이터로는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 있는 흡연 및 비흡연 사진을 크롤링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실험은 머신러닝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로 학습률 0.004로 최적화 알고리즘 Adam을 사용하였을 때, 93%의 accuracy와 92%의 F1-score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로써 이미지의 연속인 CCTV 영상도 딥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흡연 여부를 탐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IoT 서비스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을 통한 AI 기반 이상 데이터 탐지 기술

        이상현(Sanghyun Lee),박현서(Hyunseo Park),이경호(Gyeong Ho Lee),최준균(Jun Kyun Choi)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 시 발생되는 이상치 데이터를 판단하는 연구이다. 인공지능 모델 학습 시 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학습 데이터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데이터셋 내 존재하는 이상 데이터를 판별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LSTM-Autoencoder 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해 시계열 데이터 내 존재하는 이상 데이터를 탐지하는 기법을 다루고 있다. 제안된 이상 데이터 판별 기법의 성능을 오분류 행렬에 기반하여 분석하였으며, 데이터셋 내 10%에서 40%의 이상치 데이터가 존재할 때 약 0.75 에서 0.80 이상의 F1-Score 를 보임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종립대학의 자율성 및 종교교육의 자유에 대한 성적지향에 근거한 차별 판단 ― 국가인권위원회 결정 분석 ―

        이상현 ( Sanghyun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硏究 Vol.29 No.1

        본 논문은 종립대학의 학생들의 동성혼 영화제와 급진적 페미니즘 특강을 위한 시설이용 허가 취소, 행사 불허과 이를 강행한 학생에 대한 징계를 시정하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의 2018년 S대와 H대 사건에 대한 결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종립학교의 종교교육의 자유와 학생의 소극적 종교의 자유에 관한 두 개의 대법원 판례를 조사,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인권위의 종립대학 S대, H에 대한 차별 시정권고 결정에 대해 기본권 충돌의 관점에서 헌법상 보장된 종립대학의 자율성, 종교교육의 자유에 대한 국가 개입의 한계, 학생들의 교육시설 이용에 대한 학칙에 따른 제한, 집회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판단기준으로서 과잉금지 원칙 적용의 문제점을 논증하였다. 나아가, 국가인권위원회법상 성적지향에 따른 차별 금지의 문제를 평등사유로서의 성적지향, 국제법상 인권 여부 논란, 두 인권위 결정들에 인용된 미국 연방D.C.항소법원의 죠지타운대학 판결과의 차이-신청자의 성소수자 여부 불확실, 행사 목적과 건학이념과의 충돌 여부 법적 판단-에 관한 비교법적 분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종립대학의 종교의 자유 및 대학의 자율성은 국공립대학에 비해서도 폭 넓게 보장됨이 현행법제과 사법부의 판례를 통해 인정됨에도 인권위가 단순히 과잉금지의 원칙을 적용하며 동성애 문제의 건학이념 적합성과 종립대학의 학칙에 따른 시설이용 및 행사 허가 여부의 판단에 개입한 것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This thesis examined two recommendatory decisions against two religious universities issued in Nov. 2018 by National Human Right Commission (NHRC), respectively on S unversity’s canceling approval of renting a classroom for same-sex marriage film festival and H university’s imposing disciplines on students pushing ahead with an intra-mural special lecture on extreme feminism inspite of prior official ban. Firstly, judicial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re analyzed which dealt with balance between religious liberty of students and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of religious schools. Secondly,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of religious universities and academic freedom in universities secured by Korean Constitution and freedom of assembly of students along with their rights to use university facility are reviewed from viewpoint of conflict of rights.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is also discussed for its propriety in the context. Finally, discussed are sexual orientation as equality standard under NHRC Act, its eligibility as human right under international law, and a decision of U.S. federal appellate court of D.C. District(Gay Rights Coalition v. Georgetown Univ.) cited by NHRC decision. Autonomy of religious university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from that of public university. However, the NHRC decisions justifying national intervention into the domain of academic freedom of religious universities secured under Constition are to be criticized as unconstitutional measures because they adopted so called proportionality principle supposed to be applied to public universities or institutions. Academic measures of religious universities, such as discipline and ban on using campus facility against activities undermining the universities’ founding ideology, need to be free from gonvernmental intervention unless they violate law under the current legal regime.

      • SCOPUSKCI등재

        광경화성 하이드로겔 액적의 노광 조건에 따른 표면 충돌 거동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이상현 ( Sanghyun Lee ),강동관 ( Dong Kwan Kang ),이상민 ( Sangmin Lee ) 한국화학공학회 202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60 No.2

        3D 프린팅 기술은 다양한 재료를 적층하여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점을 바탕으로 최근 제조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고해상도의 액적 기반 3D 프린팅 기술은 주로 광경화성 물질을 사용하여 액적을 증착해 나가며 최종 구조물을 형성한다. 물질의 광경화 특성으로 인해 프린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 노출에 따라 액적의 물성 및 증착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경화성 하이드로겔 액적의 빛에너지 조사 조건에 따른 액적의 점도변화 및 표면과의 퍼짐 거동에 관해 실험적으로 관찰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3D printing technology, which creates a physical object by various material deposition, has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in the manufacturing field because of its advantages. Among the various printing technologies, droplet-based 3D printing technology (e.g., Polyjet<sup>®</sup>) enables a high-resolution printing using photocurable materials such as hydrogels. Depending on the degree of light exposure, ejected photocurable droplets may have different properties (e.g., viscosity) until they collide with the substrate and it leads to the different spreading behaviors of the droplets (i.e., impact, spreading, and recoiling) during deposition on the substrate. In this study, experimental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changes in hydrogel droplet viscosity and sprea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light exposure were carried out based on high-speed image processing.

      • KCI등재후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과 선거법상 규제 :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이상현(Sanghyun Lee) 대검찰청 2011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2

        SNS라고 불리는‘소셜네트워크 사이트’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SNS가 미국의 공직선거에 미치는 영향과 미국 및 캐나다의 선거법상 SNS에 관한 규제 및 실무에 관해 조사하였다. SNS가 공직 선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SNS는 이용자로 하여금 정치적 이슈에 관심을 갖게 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게 하는 점에서는 효과적인 수단이었으나 투표장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자에게 투표하게 하는 점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미국의 선거법에서는 SNS 이용에 대해 선거비용의 공개를 통해 선거재정규정에 의해 규제하도록 하며, 대가를 받고 SNS상 정치적 의견을 표명하는 경우는 정치광고로서 정치광고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도록 하는 규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선거운동이나 정치광고와 관련 없는 시민의 자발적인 정치적 의사표현에 관해서는 선거법상 면책을 인정하고 있다. 캐나다의 선거법은 SNS나 인터넷에 관해 대가를 받고 정치적 의견을 표현하는 경우 재정후원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는 점에서 미국과 유사한 비용 규제적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선거당일 투표종료시까지 투표결과 공표금지 규정을 SNS에 대해서도 적용하도록 하는 선거관리위원회의 해석에 따라 시민들이 자신의 투표결과를 SNS를 통해 공표하지 못하도록 하는 접근법을 채택하여 SNS를 직접 규제하도록 하기도 하였다. 우리의 선거법상 SNS에 대한 규제의 발전에 있어 미국과 캐나다의 선거법의 해석과 실무가 참고자료가 되길 바란다. Social network site (social network service in Korea, SNS), gaining popularity among people, particularly young generation, looks to have influenced public elections in the real world. This thesis studies researches regarding the impact of SNS and related provisions and practices under America and Canada election law. According to the researches in the United States, although it attracts SNS users to have interests in candidates and issues of election, its effectiveness in leading the users to vote for a candidate turned out to be still less than expected. On the other hand, election laws in the U.S. and Canada have taken similar approaches. Election law in the U.S., after taking historical flip-over, has taken expression on SNS as free speech protected under the 1st amendment unless the expression was made in exchange of money. Canadian election law has taken the approach that expression on SNS should be regulated as election advertisement if its expense is paid by a third party. A prohibition provision of the Canadian law where vote result should not be reveled on the election day applies directly to expression on SNS. On the whole, both in the U.S. and Canada, election law treats expression on SNS as advertisement, and requires total expense and financial support to be with disclosure sentence disclosed to the public and to be reported to a related election committee. It is noteworthy that expression on SNS has been regulated not directly but indirectly under financial regulation regarding political advertis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