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번역의 동아시아적 시공간과 한국문학 : 「춘향전」의 번역과 민족성의 재현 -이광수의 「춘향」(1925∼1926)을 읽을 또 다른 문맥, 게일,호소이 하지메의 고소설 번역 담론-

        이상현 ( Sanghyun Lee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6

        본고의 목적은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춘향(春香)」(『동아일보』 1925. 9. 30~1926. 1. 3)[혹은 『일설 춘향전(一說 春香傳)』(1929)]을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 그리고 호소이 하지메(細井肇, 1886~1931)가 주관한 자유토구사(自由討究社)의 「춘향전」 번역 실천’이라는 문맥 속에서 읽어 보는 것이다. 「춘향전」을 주어로 놓고 세 사람의 「춘향전」에 관한 번역 실천을 본다면, 이광수의 「춘향」은 비록 자유토구사와 동등한 지평의 근대어로의 전환을 전제로 한 작업이었지만, 상대적으로 더더욱 원전을 보존하고자 한 지향점을 지니고 있었다. 즉 이광수의 「춘향」은 원전을 최대한 보존하고자 한 게일의 번역과 원전에 대한 축역이자 통속역을 지향한 자유토구사 사이에 놓인 글쓰기였던 셈이다. 「춘향전」에 근대소설의 의장을 부여하고자 한 이광수의 실천, 또한 원전의 언어를 근대어로 바꾼 그의 「춘향」은 「춘향전」과 이를 구성하는 언어가 ‘고전문학’ 또한 ‘고전어’로 재편되는 모습을 예비하는 실천이기도 했다. 종국적으로 이광수의 「춘향전」다시 쓰기는 번역 혹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구현되는 「춘향전」의 새로운 형상을 만들며, 원전 「춘향전」을 ‘민족의 고전’으로 정립시키는 행위였기 때문이다. The paper compares Choonhyang , published serially in Dong-A Daily between September 30th 1925 and January 3rd 1926, and IlSul Choonhyang Jeon , published in book form by Lee Kwangsoo in 1929, with the translations of J. S. Gale (1863∼1937) and Hosoi Hajime (細井肇, 1886∼1931) who led the Chayut’ogusa organization (自由討究社). Taking Choonhyang Jeon as a source text and comparing the translation practices of three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Lee attempted to render the classical Choonyang Jeon in a modern version, much as the Chayut’ogusa version did, but he tried to preserve much more of the original than Hosoi. Lee’s approach can therefore be considered intermediate between that of Gale, who kept most of the original, and that of Chayut’ogusa, which tried to produce a more concise and popular text. Lee apparently wanted to transform the classical Choonyang Je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s of the modern novel, so he adopted a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of Lee Haejo (李海朝) and Choi Namsun (崔南善). Lee Kwangsoo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by reviving the original Choonhyang in a modern Korean format, and the style and direction of his writing represented a preliminary step toward the restructuring of Choonyang Jeon and its language in the context of classical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콘크리트의 탄산화 관점에서 CO<sub>2</sub> 배출량-흡수량 평가에 관한 연구

        이상현,이성복,이한승,Lee, Sang-Hyun,Lee, Sung-Bok,Lee, Han-Seung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21 No.1

        콘크리트는 생산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시멘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친환경적 재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는 사용기간 중 탄산화 과정을 통하여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 고찰을 통하여 1) 콘크리트 내 탄산화 가능한 물질의 농도, 2) 탄산화된 콘크리트의 체적, 3) 이산화탄소 분자량을 이용, 탄산화를 통한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정량적 산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생산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단위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및 배출량의 정량적 산출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사용중인 아파트 건축물 1동을 대상으로 하여 콘크리트의 생산에 따른 배출량과 사용기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량-흡수량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축물을 40, 60, 80년 사용시, 사용된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대 흡수량의 비율이 3.65, 4.47, 5.18%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 생산 및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흡수량의 정량적 산정방법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흡수량 평가 결과 구조물을 80년 사용할 시 약 5.18%로 그 값이 미비하였으나 시멘트의 혼화재 치환율 증가를 통한 배출량 저감과 탄산화 체적 증가를 통한 이산화탄소 흡수량 증가를 통해 배출량-흡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후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흡수량 평가에 본 연구의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concrete is considered unfriendly-environmental material because it uses cement which emits much $CO_2$ during producing process. However, a concrete absorbs $CO_2$ through carbonation process during service life. In this paper how much concrete absorbs $CO_2$ through carbonation was calculated using 1) concentration of carbonatable substances in concrete, 2) carbonated volume of concrete, 3) molecular weight of $CO_2$ based on references and the method was proposed. $CO_2$ emission from producing $1m^3$ concrete was calculated based on $CO_2$ emission datum of materials used in concrete. From using these methods that calculate $CO_2$ emission and absorption of concrete, assessment of $CO_2$ emission-absorption against a real apartment was conducted by subtracting absorption $CO_2$ according to service life from $CO_2$ emission in the process of making concrete. As a result, a ratio of absorption over emission of $CO_2$ through concrete carbonation according to service life 40, 60, 80 years was assessed about 3.65, 4.47, 5.18%.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calculate emission - absorption of $CO_2$ from producing and using concrete. Although the result value, emission - absorption of $CO_2$, is 5.18% very low when the service life of an apartment is 80years, the valu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emission from using blended cement such as blast furnace slag or increasing replacement ratio of cement and increasing carbonated volume of concrete from expanding service life of a building. This study may be useful when $CO_2$ emission - absorption of concrete is evaluated in the further study.

      • SCOPUSKCI등재

        추황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과피로부터 1종의 Sterol과 3종의 배당체 화합물의 단리·동정

        이유건(Yu Geon Lee1),조정용(Jeong-Yong Cho),이현주(Hyun Joo Lee),이용현(Yong Hyun Lee),이상현(Sang-Hyun Lee),한태호(Tae-Ho Han),김월수(Wol-Soo Kim),박근형(Keun-Hyung Park),문제학(Jae-Hak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5

        본 연구에서는 배의 유용성 증명을 위한 일환으로 배의 화학성분을 분자수준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배 과피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은 EtOAc-산성 분획과 EtOAc-중성분획을 대상으로 Sephadex LH-20, silica gel, 그리고 ODS colmn chromatography와 HPLC를 이용하여 정제 및 단리하였다. 그 결과, EtOAc-산성 분획과 EtOAc-중성 분획으로부터 각각 2종씩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 1-4는 1H- 및 13C-NMR 분석을 통하여 각각 (S)-(+)-2-cis-abscisic acid O-β-D-glucopyranosyl ester (화합물 1), 1-[4-O-β-D-glucopyranosyl]phenyl ethanone(piceoside, 화합물 2), β-sitosterol (화합물 3), 그리고 β-sitosteryl 3-O-β-D-glucopyranoside (화합물 4)로 동정되었다. 단리된 3종의 배당체 화합물(화합물 1, 2, 4)들은 본 연구에 의해 배로부터 처음 동정되었으며, 화합물 3은 추황배로부터 처음 동정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배 함유 성분연구는 물론 배의 기능성 해명 연구에도 추후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We isolated and identified antioxidants from acidic and neutral ethyl acetate fractions of the peel of pear (Pyrus pyrifolia N. cv. Chuhwangbae). We isolated 4 compounds from the methanol extract, by using 3 different types of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silica gel, and octadecylsilane) and preparative HPLC. We identified the isolated compounds as (S)-(+)-2-cis-abscisic acid O-β-D-glucopyranosyl ester (compound 1), 1-[4-O-β-D-glucopyranosyl]phenyl ethanone (picroside, compound 2), β-sitosterol (compound 3), and β-sitosteryl 3-O-β-D-glucopyranoside (compound 4)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We are the first to report the identification of compounds 1, 2, and 4 from pear.

      • KCI등재

        RapidEye 위성영상의 시계열 NDVI 및 객체기반 분류를 이용한 북한 재령군의 논벼 재배지역 추출 기법 연구

        이상현,오윤경,박나영,이성학,최진용,Lee, Sang-Hyun,Oh, Yun-Gyeong,Park, Na-Young,Lee, Sung Hack,Choi, Jin-Yong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6 No.3

        While utiliz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for land use classification has been popularized,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has been adapted as an affordable classification method rather than conven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paddy field area using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with time series NDVI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the RapidEye satellite images of Jaeryung-gun in North Korea wer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creating objects by setting of scale and color factors was conducted, then 3 different land use categories including paddy field, forest and water bodies were extracted from the objects applying the variation of time-series NDVI. The unclassified objects which were not involved into the previous extraction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using unsupervised classification by clustering analysis. Finally, the unsuitable paddy field area were assorted from the topographic factors such as elevation and slope. As the results, about 33.6 % of the total area (32313.1 ha) were classified to the paddy field (10847.9 ha) and 851.0 ha was classified to the unsuitable paddy field based on the topographic factors. The user accuracy of paddy field classification was calculated to 83.3 %, and among those, about 60.0 % of total paddy fields were classified from the time-series NDVI before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ther land covers were classified as to upland(5255.2 ha), forest (10961.0 ha), residential area and bare land (3309.6 ha), and lake and river (1784.4 ha) from this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 KCI등재

        복층터널 안정성 분석을 위한 빔-스프링 모델 개발

        이상현,안준상,강경남,김병찬,송기일,Lee, Sang-Hyun,An, Joon-Sang,Kang, Kyung-Nam,Kim, Byung-Chan,Song, Ki-Il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7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9 No.2

        In this study, as an initial study for development of stability analysis program of a double-deck tunnel during life cycle, a structural analysis solver based beam-spring model for the double-deck tunnel is constructed. Effect of parameters(slab supporting type, depth of the tunnel and ground elastic modulus) is analyzed with the beam-spring model. The model is also compared and verified by commerci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It is considered that the slab supporting type affects the integrated behavior with segment lining and influence of intermediate slab on the stability of the tunnel decreases as the tunnel depth incr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elastic modulus and the effect of the intermediate slab on the segment lining needs further investigation. 본 연구는 복층터널 생애전주기 안정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기 연구로서, 복층터널 안전성 분석을 위한 빔-스프링 모델 기반의 구조해석 솔버를 개발하였다. 구축된 복층터널의 빔-스프링 모델을 사용하여 중간슬래브 지지방식, 터널심도 및 지반탄성계수가 복층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중간슬래브의 지지방식은 세그먼트 라이닝과 일체화 거동에 영향을 미치고, 터널심도가 깊어질수록 중간슬래브가 복층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반탄성계수와 중간슬래브가 세그먼트 라이닝 부재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The Stable Rechargeability of Secondary Zn-Air Batteries: Is It Possible to Recharge a Zn-Air Battery?

        이상현,이철우,Yongjoo Jeong,Sihyoun Lim,Eun-Ah Lee,김건 한국전기화학회 201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3 No.1

        The rechargeable Zn-air batter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next generation secondary batteries due to its many advantages. However, its further applications and commercialization have been limited by the complexity of the reactions on air electrode which are oxygen reduction and evolution reactions (ORR/OER) upon discharging and charging processes,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lanthanum was impregnated into a commercial Pt/C gas diffusion electrode, and it clearly verified significantly enhanced cycling stability and reversibility.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show the possibility of repeated charge/discharge processes for Zn-air batteries with a La-loaded air electrode, and they demonstrate the potential as a promising next generation secondary battery.

      •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향나무에 피해가 심한 녹병

        이상현,Lee, Sang-Hyeon 한국조경수협회 2008 造景樹 Vol.104 No.-

        녹병은 향나무뿐만 아니라 산당화, 꽃사과, 산사나무, 명자나무 등 조경수에도 많이 발생되며, 조경수목으로서의 미관적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고 잎 뒷면에 발생되는 녹포자퇴는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준다. 또한 배나무, 사과나무 등의 과일의 상품성과 생산량을 크게 저하시켜 농가에 큰 피해를 준다. 녹병은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붉은별무늬병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병해이다.

      • KCI등재

        비선형 구조물에 대한 수정 슬라이딩모드 제어알고리즘 성능 평가

        이상현,Lee, Sang-Hyu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수정 슬라이딩 모드제어기의 비선형 이력구조물의 지진응답 제어성능이 평가되었다. 수정 슬라이딩모드 제어는 제어력을 계산하기 위해 Lyapunov함수의 목표변화율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선형구조물에 대한 성능만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강진시 대부분의 구조물은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의 결과는 실제 적용에 있어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Bouc-Wen 모델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을 모델링 하였으며, 이력이선형 단자유도 구조물에 대한 통계해석과 비선형이력 면진구조물에 대한 해석결과는 제안된 수정 슬라이딩모드 제어알고리즘이 기존의 슬라이딩모드 제어기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modified sliding mode control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is evaluated for seismic response control of nonlinear hysteretic structures. Modified sliding mode control(MSMC) utilizes the target derivative of Lyapunov function in order to calculate control force,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only lot linear structures in the previous study. However, considering that most structures subject to strong earthquake show nonlinear hysteretic behivior,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study have limitations in practical application. The results from numerical analyses of single degree of freedom systems and base isolated system, which were described using Bouc-Wen model, indicate that the proposed MSMC algorithm shows better control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sliding mode controll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