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원 중심의 4+2년제를 주장하는 이유

        이상헌,Lee, Sang-Heon 대한건축사협회 2000 建築士 Vol.2000 No.4

        본지에서는 지난 2000년 1월호에 '21세기 한국건축의 비전'이란 주제로 기획특집을 마련, 교육관련 부문을 이상헌(건국대 건축대학원)교수에게 집필 의뢰하여 '건축교육개혁방안 ; 학부 5년제 문제 있다'는 내용의 원고를 게재하였고, 이후 이교수의 글과 관련하여 김광현(서울대 건축학과)교수는 학부 5년제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한데서 비롯됐다며, 이교수의 글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여 '학부 5년제 문제있다는 주장의 문제'의 글을 기고하여 본지 2월호에 게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상헌교수는 '학부 5년제 문제있다는 주장의 문제'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 김광현교수의 글은 필자의 글에 대한 의도나 생각을 근본적으로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필자의 생각을 피력하기 위해 '대학원 중심의 4+2년제를 주장하는 이유'에 대한 글을 3월호에 게재코자 기고하였다. 그러나 지면관계상 3월호에 게재하지 못하고, 이번호의 '기고'지면을 통해 게재코자 하며, 아울러 지난 1,2월호 본지를 통해 게재된 건축교육 관련내용에 대한 필자의 글과 본란의 글은 우리 협회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힌다.

      • 효율적인 다중 채널 On-Chip-Bus를 위한 SoC Network Architecture

        이상헌,이찬호,이혁재,Lee Sanghun,Lee Chanho,Lee Hyuk-Jae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2 No.2

        공정기술과 EDA 툴의 발전에 따라서 하나의 실리콘 다이(Die)에 많은 IP가 집적되고 멀티프로세서가 포함되는 SoC 구조가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SoC 버스는 공유버스 구조라는 문제점으로 인해 통신의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전체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많은 경우에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성능은 CPU 자체의 속도보다는 효율적인 통신과 균형있는 연산의 분배가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SoC 버스 대역폭(Bandwidth)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크로스바 라우터(Crossbar Router)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온 칩 버스구조인 SoC Network Architecture(SNA)를 제안한다. 제안된 SNA구조는 다중 마스터(multi-master)에 대해 다중 채널(multi-channel)을 제공하여 통신의 병목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뛰어난 확장성을 지원한다. 제안된 구조에 따라 모델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AMBA AHB 버스에 비해 평균 $40\%$ 이상 효율이 증가했다. We can integrate more IP blocks on a silicon die as the development of fabrication technologies and EDA tools. Consequently, we can design complicated SoC architecture including multi-processors. However, most of existing SoC buses have bottleneck in on-chip communication because of shared bus architectures, which result i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systems. In most cases, the performance of a multi-processor system is determined by efficient on-chip communication and the well-balanced distribution of computation rather than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ors. We propose an efficient SoC Network Architecture(SNA) using crossbar routers which provide a solution to ensure enough communication bandwidth. The SNA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bottleneck of on-chip communication by providing multi-channels for multi-masters. According to the proposed architecture, we design a model system for the SNA. The proposed architecture has a better efficiency by $40\%$ than the AMBA AHB according to a simulation result.

      • KCI등재

        차단기 적용을 위한 초전도체의 합성

        이상헌,Lee, Sang-He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8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1 No.2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cess for creating bulk single-crystal YBaCuO superconductors in a high magnetic field. To support the bulk unidirectional growth of $YBa_2Cu_3O_{7-y}$, $SmBa_2Cu_3O_{7-y}$ seeds were planted inside YBaCuO composites and samples were produced by melting, enabling the growth of two YBaCuO superconductors. Due to the magnetism generated inside the superconductor of the upper sample, the magnetization inside the superconducting single crystals was evenly distributed, the sharpness of the induced magnetic force was improved, and the superconducting magnetiza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is approach is widely applicable for the production of superconducting wires and current leads used for DC power breakers.

      • 산화물 초전도체를 이용한 자기센서의 제작 및 특성

        이상헌,Lee, Sang-Heon 한국전기전자학회 199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3 No.2

        YBaCuO계 초전도체로 자기 센서를 제작하였다. 초전도 자기 센서는 약 95K에서 초전도 특성이 나타나며 액체질소온도에서 외부 자계를 인가할 때 전기저항이 증가하였다. 자계 인가로 인해 센서에서 발생되는 전압강하는 0에서부터 $100{\mu}V$이상으로 변화하였다. 전기저항의 변화는 자계에 의존하며, 센서의 감도는 2.9 ohm/T가 된다. 이 센서는 약 $1.5{\times}10^{-5}T(=1.5{\times}10^{-1}G)$까지의 자기를 감지 할 수 있다. 외부자계에 의한 전기저항의 증가는 초전도재료를 관통하는 자속으로 인한 Josephson 접합의 변화에 기인한다. A magnetic field sensor is fabricated with superconducting ceramics of Y-Ba-Cu-O system. The prepared material shows the superconductivity at about 95K. The sensor at liquid nitrogen temperature shows the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by applying magnetic field. Actually, the voltage drop across the sensor is changed from zero to a value. more than $100{\mu}V$ by the applied magnetic field. The change in electrical resistance depends on magnetic field. The sensitivity of this sensor is 2.9 ohm/T. The sensing limit is about $1.5{\times}10^{-5}T(=1.5{\times}10^{-1}G)$. The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by the magnetic field is ascribed to a modification of the Josephson junctions due to the penetrating magnetic flux into the superconducting material.

      • KCI등재

        투시도적 표상에서 공간의 투사로 -2차원 그림의 3차원 투사를 활용하는 현대건축의 경향에 대한 연구-

        이상헌,Lee, Sang-Hun 한국건축역사학회 2006 건축역사연구 Vol.15 No.3

        Many contemporary architectural avant gardes tend to use painting as a medium to create architecture which goes beyond the rationalized spatial conception of modem architecture represented by perspectivism. They produce non perspective drawings to represent spatial Ideas, and expand it through poetic imagination to create an unexpected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historical origin and background of dominance of drawing in the production of architecture. It was with the invention of perspective that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became important tool for architectural production. Thereafter, drawing was considered prior to actual building and architecture was considered a three dimensional realization of two dimensional drawing. Modernist avant gardes such as Cubism shattered the rationalized pictorial space of perspective and found a new pictorial space. They tried to extend it to three dimensional space through parallel projection largely based on the Hildebrand's theory of pure visibility. However, due to the ambiguity of the position of the viewing subject, their attempts could not succeed in creating a new architecture. The new architectural avant garde of the 70's rediscovered the early 20th century avant gardes in their attempt to create a new architecture which can register the fragmented spatial condition of contemporary society, and used painting as a medium to create architecture. Their difference from the early avant gardes was that they used poetic imagination rather than parallel projection in the process of projecting three dimensional space and form from the painting. However, their architecture cannot escape the scopic field of perspectivism in that they rely on the picture plane and the distance between object and viewing subject. Therefore, I conclude that in order to create architecture which goes beyond the rationalized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it is necessary to resort to other tradition of modern architecture than visual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