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발과 유지보수 프로젝트의 이상적인 팀 규모

        이상운,박중양,박재흥,Lee, Sang-Un,Park, Joong-Yang,Park, Jae-H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1

        팀의 규모에 관한 연구 결과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데 규모가 작은 팀이 큰 팀 보다 좋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또한, 항상 최소한의 실질적인 팀 규모를 구성하는데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작은"이 얼마를 의미하는지가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인도율과 인도속도와 같은 생산성 측도를 도입하여 이상적인 팀 규모를 결정하였다 300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데이터 집합을 2개의 서브 그룹인 개발 프로젝트와 유지보수 프로젝트로 분류하였다. 실험결과 가장 성공적인 프로젝트는 최대 5명으로 수행하는 경우였으나, 본 논문은 실제 개발 된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생산성-기반 이론을 접목시켜 이상적인 팀 규모를 판단하는 지침을 제공한다. 지침을 제공한다. Experts work teams generally agree that small teams are better than large teams for getting things done. Also, always aim for the lowest practical team size. But what does "small" mean\ulcorner We Introduce to productive metrics such as project delivery rate (PDR) and speed of delivery (SOD) for decision criteria of ideal team size. The experimental is based on the analysis of 300 project data. These data sets are divide in two subgroups. One is a development project ; the other is a maintenance project. As a result of experimental in two subgroup,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olt successful projects has small teams indeed staffed with maximum five persons. This paper presents ideal team size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guide in selecting the most practical and productive-based team size for a software development project.t project.

      • DMB + 텔레매틱스/ITS 컨버전스 표준화

        이상운,Lee, Sang-Un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6 TTA저널 Vol.104 No.-

        DMB는 첨단 휴대이동 멀티미디어 디지털방송 서비스로서 텔레매틱스 및 ITS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서비스의 전송채널로서 최고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ITS분야에서는 DMB를 전송 플랫폼으로 하는 교통 및 여행자정보 전송규격의 국제표준화가 추진되어 왔다. 이번호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교통정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DMB의 양방향 서비스를 앞당김으로써 유비쿼터스 사회를 촉진시키게 될‘DMB + 텔레매틱스/ITS 컨버전스 관련 표준화 및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이상운 TTA DMB PG 의장으로부터 알아본다

      •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노력 추정능력 향상

        이상운,Lee, Sang-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9 No.1

        Putnam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인력이 Rayleigh 분포를 따르는 SLIM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서 인력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총 개발노력과 개발 난이도를 추정해야 한다. 프로젝트 개발에 참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초기단계에서 이 모수들을 보다 적확히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utnam은 시스템 속성들 중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량을 제거하고 나머지 변량들만으로 총 개발노력과 개발 난이도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통계적 방법에 따라 변량들이 다르게 선택되며 모델의 성능에 차이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Putnam 방법 대신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최적의 시스템 속성을 선택하였다. 모델의 성능분석 결과 주성분분석 방법이 Putnam의 방법보다 9.85% 성능향상을 보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은 단순하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Putnam develops SLIM (Software LIfecycle Management) model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the manpower utilization during software project development is followed by a Rayleigh distribution. To obtain the manpower distribution, we have to be estimate the total development effort and difficulty ratio parameter. We need a way to accurately estimate these parameters early in the requirements and specification phase before investment decisions have to be made. Statistical tests show that system attributes are highly correlation (redundant) so that Putnam discards one and get a parameter estimator from the other attributes. But, different statistical method has different system attributes and presents different performance. To select the principle system attributes, this paper uses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instead of Putnam's method. The PCA's results improve a 9.85 percent performance more than the Putnam's result. Also, this model seems to be simple and easily realize.

      • KCI등재

        랜덤형 2차원 할당문제의 최소 거리-최대 물동량 배정 알고리즘

        이상운,Lee, Sang-U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3

        2차원 할당 문제는 다항시간 알고리즘이 알려지지 않은 NP-완전 문제이다. 본 논문은 위치간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랜덤형 2차원 할당 문제의 최적 해를 $O(n^2)$ 수행 복잡도로 찾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단순히 거리 합을 오름차순으로, 물동량 합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1:1 매치시킨 최소 거리 위치에 최대 물동량 시설을 배정하는 전략을 수행하고, 위치별 거리와 시설별 물동량 상관관계를 최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시설들을 교환하는 전략을 적용하였다. 실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제안 알고리즘은 $O(n^2)$의 다항시간 알고리즘임에도 불구하고 메타휴리스틱 방법의 일종인 유전자 알고리즘의 해를 개선할 수 있었다. There is no known polynomial time algorithm for random-type quadratic assignment problem(RQAP) that is a NP-complete problem. Therefore the heuristic or meta-heuristic approach are solve the approximated solution for the RQAP within polynomial time. This paper suggests polynomial time algorithm for random type quadratic assignment problem (QAP) with time complexity of $O(n^2)$. The proposed algorithm applies one-to-one matching strategy between ascending order of sum of distance for each location and descending order of sum of quantity for each facility. Then, swap the facilities for reflect the correlation of distances of locations and quantities of facilities. For the experimental data, this algorithm, in spite of $O(n^2)$ polynomial time algorithm, can be improve the solution than genetic algorithm a kind of metaheuristic method.

      • KCI등재

        소프트웨어 개발팀 규모 추정 모델

        이상운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3

        Estimation of development cost, effort and time is difficult and a key problem of software engineering in the early stage of software development. These are estimated by using the function point which is measured from a requirement specification. However, it is often a serious question of the staffing level required for the softwar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us the model which can be used to estimate a size of development team. Three hundred one software projects have been analyzed and studied for the model. First,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algorithmic model. After various data transform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no good model was available. Therefore, non-algorithmic model was suggested for analysis, which has random distribution of residuals and makes good performance using RBF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Since the model provides a standard to determine the required size of development team, it can be used as management information.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에 개발비용, 소요인력과 기간을 추정하는 것은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에서 어렵고도 중요한 문제이다. 이 정보들은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로부터 측정된 소프트웨어 규모인 기능점수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측정된 소프트웨어 규모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개발팀을 몇 명으로 구성할 것인가가 문제로 제기된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개발팀의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모델을 유도하기 위해 301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들이 사용되었다. 먼저, 통계적 알고리즘 모델인 회귀모델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데이타 변환과 회귀분석 결과 좋은 성능의 모델을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비알고리즘 모델인 RBF망을 적용하여 잔차가 랜덤하게 분포하고 우수한 성능을 가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개발팀 규모에 대한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인력관리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대칭키 해독을 위한 아기걸음 2^k-ary 성인걸음 알고리즘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5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2

        a ^{b} == c(mod``p)에서 a,c,p가 주어졌을 때 b를 구하는 이산대수 문제를 푸는 아기걸음-거인걸음 알고리즘은 p를 m= LEFT ⌈ sqrt {p} RIGHT ⌉개의 원소를 가진 m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거인 1명이 보폭 m으로 단방향으로만 a ^{0}로 걸어가면서 찾는 방법이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p를 p/l,`a ^{l} >p로 분할하고, 성인 1명이 보폭 l로 단방향으로 걸어가는 방법으로 변형시켰다. 또한, 성인 2 ^{k}명이 동시에 걸어가면서 b를 빠르게 찾는 방법으로 확장시켰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1 LEQ b LEQ p-1의 범위에서 2 ^{k} ,`(k=2)를 적용한 결과 기본적인 성인걸음수의 1/4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알고리즘은 아기걸음-거인걸음 알고리즘의 보폭 수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The baby-step giant-step algorithm seeks b in a discrete logarithm problem when a,c,p of a ^{b} == c(mod``p) are already given. It does so by dividing p by m block of m= LEFT ⌈ sqrt {p} RIGHT ⌉length and letting one giant walk straight toward a ^{0} with constant m strides in search for b. In this paper, I basically reduce m= LEFT ⌈ sqrt {p} RIGHT ⌉to p/l,`a ^{l} >p and replace a giant with an adult who is designed to walk straight with constant l strides. I also extend the algorithm to allow 2 ^{k} adults to walk simultaneously. As a consequence, the proposed algorithm quarters the execution time of the basic adult-walk method when applied to 2 ^{k} ,`(k=2) in the range of 1 LEQ b LEQ p-1. In conclusion, the proposed algorithm greatly shorten the step number of baby-step giant-step.

      • KCI등재

        선형 병목할당 문제의 역-삭제 알고리즘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3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6

        본 논문은 선형 병목할당 문제의 최적해를 간단히 찾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병목할당 문제 의 최적해는 한계 또는 증대경로 알고리즘으로 구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2단계를 수행하는 역-삭제 알고리즘이다. 첫 번째로, 행 또는 열의 개수가 1개가 될 때까지 최대 비용을 삭제하여 초기해를 구한다. 두 번째로 한계치 보다 큰 값이 초기해로 선택되었으면 해를 개선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28개의 병목 균형 할당 문제와 7개의 병목 불균형 할당 문제에 적용한 결과 최적해를 쉽게 찾는데 성공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hat easily finds an optimal solution for linear bottleneck assignment problems. It is either threshold or augmenting path algorithm that is generally used to solve the bottleneck assignment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reverse-delete algorithm that follows 2 steps. Firstly, the algorithm deletes the maximum cost in a given matrix until it renders a single row or column. Next, the algorithm improves any solution that contains a cost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Cij. Upon its application to 28 balanced assignment problems and 7 unbalanced problems, the algorithm is found to be both successful and simple.

      • KCI등재

        최소신장트리를 적용한 주행시간 기반 내비게이션의 실시간 최단경로 탐색

        이상운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Under the pressure of potential contingencies such as sudden accidents or congested traffic, a demand for a fast search algorithm seems natural as it has become integral to navigation systems which require real-time road information. This paper therefore deals with a newly devised algorithm based on a transit time concept that researches the shortest path real-time in Navigation system. A distance information-based Dijkstra’s algorithm making it unlikely for it to offer a speedy information in real-time road situation. It is also rendered obsolete in the face of changing vehicle speeds subject to road conditions. The proposed algorithm thus disregards calculations of all nodes but rather incorporates both the Borůvka algorithm of the minimum spanning tree and a modified Kruskal algorithm in order to selectively determine the shortest path to a desired destination. To verify its applicability, I test the proposed algorithm on a case in which an accident occurs on both the shortest path and a specific road. The test results prove that the algorithm has been successful in expeditiously obtaining a detour that results in the shortest transit time. 사고나 정체 등 상황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도로의 차량 주행 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하여 최단경로를 재탐색하기 위해서는 빠른 실시간 도로정보 탐색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주행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내비게이션에서 실시간으로 최단 경로를 재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도로 상황에 따른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거리 기반의 Dijkstra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없다. 제안 알고리즘은 모든 노드의 경로 길이를 계산하지 않고, 단지 최소신장트리를 얻는 Borůvka 알고리즘의 변형 형태와 Kruskal 알고리즘을 조합하여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만을 선택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도로 상황에서의 최단 경로와 특정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 경우에 대해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돌발 상황이 발생하여 도로가 정체되었을 때 우회하여 목적지 까지 최단시간 내에 도달 할 수 있는 경로를 쉽고 빠르게 찾음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

        결혼식장 좌석배치 계획 문제의 최소-절단 알고리즘

        이상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1

        The wedding seating problem(WSP) is to finding a minimum loss of guest relations(sit together preference) with restricted seats of a table for complex guest relation network. The WSP is NP-hard because of the algorithm that can be find the optimal solution within polynomial-time is unknown yet. Therefore we can’t solve the WSP not computer-assisted programming but by hand. This paper suggests min-cut rule theory that the two guests with maximum preference can’t separate in other two tables because this is not obtains minimum loss of preference. As a result of various experimental, this algorithm obtains proper seating chart meet to the seats of a table constraints. 복잡한 관계(동석 선호도)망을 갖고 있는 결혼 연회장에 참석하는 하객들에 대해 테이블 당 좌석 수가 한정되어있는 경우, 최소의 관계 손실을 갖도록 좌석을 배정하는 문제를 결혼 연회장 좌석 배정 문제(WSP)라 한다. 이 문제는 다항시간을 해를 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아 NP-난제로 분류되어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 도움 없이 손으로 다항시간으로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최대 관계를 갖는 두 하객을 분리하면 최소 절단(관계 손실 최소화)을 얻지 못한다는 이론에 기반하여 최소절단 값을 갖도록 하객 관계망을 분할하는 규칙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다양한 실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테이블 당 좌석 수 제약조건에 맞는 좌석 배정표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