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규모 저수지의 효율적인 운용에 의한 농업용수의 확보방안

        이상봉 ( Yi Sangbong ),전종길 ( Jeon Jonggil ),윤진하 ( Kang Changho ),강창호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무효방류를 농업용수로 유효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댐 방류 후 예기치 못한 강우가 발생한다면 몽리지 수요수량의 감소와, 하천유량의 증가에 의해 두수공 등 취수시설 지점에서는 하류역으로 무효방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량은 일시적이며 또 그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용수계획상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댐과 취수시설 사이에 소규모 저수지를 설치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운용 한다면 상당량의 무효방류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시뮬레이션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상정하는 저수지의 용량이 커질수록 무효방류의 유효화율은 증가하였으나 저수지의 운용효율은 감소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댐 및 저수지의 운용법은 물이 부족한 용수계나 갈수기 농업용수량확보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정량적으로 평가 되었다. In the irrigation system of Japan, the water demand is usually supplied by the river flow caused by tributary inflow and any shortage is offset by dam release. In this case, excess water is generated easily due to the decrease of water demand in command area and the increase of river flow by unexpected rainfall. Generally, such excess water is invalidly discharged by the water intake facility such as head work.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nstruction of a mid-storage reservoir between the dam and the water intake facility, so that excess water is temporarily stored by such a reservoir. Also, we propose an effective operation method of dam and the mid-storage reservoir for using the excess water effectively.

      • 논 감수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상봉 ( Yi Sang-bong ),전종길 ( Jeon Jong-gil ),윤진하 ( Yun Jin-ha ),강창호 ( Kang Chang-ho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The water requirement of transplanting culture(TC) consisting of 16 plots and direct seeding culture in a well-drained paddy field(DC) also having 15 plots were measured in order to clarify the influence factors on water requirement. Each plot was maintained under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Those varied cultivation conditions were classified into 7 items.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requirement and 7 items were analyzed by evaluating the average water requirement in each condition to clarify the items influencing water requirement. Fro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water requirement of DC was determined to be 3.5 times of the TC. Furthermore, water requirement in DC and TC were influenced mainly by ponding depth and locational condition respectively.

      • KCI등재

        미국 기술 교육에서의 기술적 소양을 위한 표준의 분석과 비판

        이상봉(Sangbong YI) 표준인증안전학회 201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STL) in American technology education. The STL in the US was reviewed and analyzed in terms of curriculum sequency, areas, validity, and its strength and weakness were discussed in the study.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ellow: First of all, core concept from five key areas was extracted. Second, substantial contents of STL s five key areas were analyzed and a sequence of the contents was suggested. Third, improvements about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STL s five key areas were suggested.It is expected that analysis of STL in American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contribute to Korean Education in many ways.

      • KCI등재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의 개발

        이상봉(Yi, Sangbong),임휘(Lim, Huiy)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개발된 혼합 학습 설계를 비교 분석 및 종합하여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 학습 경험의 성격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표준 혼합 학습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제시한Michael & Heather(2015)의 혼합 학습 설계와 Bath & Bourke(2010)의 혼합 학습 설계를 분석하여 혼합학습 설계 단계별로 수정 및 보완하여 종합하였다. 또한 Mager & Beach(1967)의 수업 개발 모형을 통해 수업개발의 기본적인 단계를 보완하여 반영함으로써 여러 교과 및 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이 가능한 표준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준비, 개발, 실행, 개선의 네 단계를거치며 각각의 세부 절차에 따라 전개된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 분석, 혼합 학습 상황분석, 학습목표 선정의 절차를 수행한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는 세부 목표를 선정하고 학습 경험과 혼합 학습공간, 혼합 학습 전략을 선정하며 수업을 위한 혼합 학습 자료를 개발 및 디지털화 한다. 또한 학습의 평가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혼합 학습 관리 시스템에 탑재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혼합 학습의 전반에 대해 안내하고 혼합 학습을 실시하며, 넷째, 개선 단계에서 이를 토대로 설계된 혼합학습을 개선한다. 또한 동 교과 및 학습 주제의 전문가에 의해 혼합 학습 설계 및 수업 자료를 평가하고 보완하여 수업을 재실시 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와 같이 개발된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국내 여러 교과 및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가능하며, 이 연구를 토대로 각 교과의 성격을 반영한 혼합 학습 설계 모형, 혼합학습 유형별로 구체화된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을 개발에 대한 연구가 발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ing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blended learning design based on the learning space and the learning experience by compar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previously develop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s. In this study, the blended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learning space, character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blending level were comprehensively studied and considered. The blended learning design of Michael B. H. & Heather S. (2015), which applied blended learning types according to learning spaces, and the blended learning design of Bath, D. & Bourke, J. (2010), which considered blended learning types according to level of blending,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In addition, through the instruction developing model of Mager, R. F. & Beach, K. M. (1967), a standardized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blended learning situations was developed by supplementing and reflecting the basic steps of class development. This develop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is improved according to each procedure through four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application and improvement. First, in the preparation stage, procedures for curriculum analysis, student analysis,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 and learning objective selection are included. Second, in the development stage, objectives for each courses are selected, blend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paces, and character of learning experiences are selected,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blended learning are developed and digitalized. In addition, a tool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learning is developed and mounted on a blend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present it to students. Third, in the application stage, students are guided on the overall blended learning and after, tried blended learning out. And fourth, in the improvement stage, blended learning is improved based on the result from application stage. In addition, it goes through a procedure of reimplementing classes by evaluating and supplementing blended learning design and instructional materials by experts in the subject and learning experience. In conclusion,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blended learning design based on the learning space a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applicable to various subjects and blended learning situations in Korea, and based on this study, a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수준에 따른 생산, 통신 및 수송기술 분야의 문제 해결 활동 과제 개발

        이상봉 ( Sang Bong Yi ),백현일 ( Hyun Il Bae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수준에 다른 문제 해결 체험 활동 과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준비, 개발, 개선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준비 단계에서는 ① 요구 분석, ② 문제 해결 체험 활동 주제 선정이 이루어졌고, 개발 단계에서는 ① 문제 해결 체험 활동 주제의 기술적 수준 설정, ② 기술적 수준에 따른 체험 활동 목표 설정, ③ 기술적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체험 활동 과제의 조직이 이루어졌으며, 개선 단계에서는 ① 전문가에 의한 평가, ② 학생에 의한 평가를 실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체험 활동 과제는 기술적 수준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생산기술에서 ``다관절로 봇팔 만들기``, 수송기술에서 ``모형 자동차 만들기``, 통신기술에서 ``통신 장치 만들기``이다. 둘째, 개발된 과제는 문제 상황, 활동 과제, 제한 사항, 재료 및 공구, 평가방법, 평가 기준, 포트폴리오, 평가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y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level for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e study was developed by the following three stage: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needs for hands-on activities were analyzed, Then themes of for hands-on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following steps were practiced; ① setting up the technological level of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y themes, ② setting up the goal of the hands-on activity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level, ③ organizing of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y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level In the improvement stage, ① the validity testing by experts, ② the preliminary test by students were carried out, and the problems were improved by result of evaluating.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y were developed that technological level of the problem separated 3 levels of the high, medium, low: ``making an multi-articulation robotic arm`` as a production technology, ``making a model car`` as a transportation technology, ``making a communication panel`` as a communication technology. Second, developed problems consisted of the problem situation, activities, restrictions, tools& equipments, evaluation table, criteria, portfolio and soon, Evaluation were classified evaluation by teacher and students, Evaluation by teacher include the evaluation based on observations, portfolio, finished product. Evaluation by students comprised of self-appraisal, peer-appraisal.

      • KCI등재

        중등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준 교육의 목적과 교과서에 제시된 표준 단원의 내용 분석

        이상봉(Yi, Sangbong),김성애(Kim, SungAe) 표준인증안전학회 2020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pose of standard education present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family’ and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standard units presented in the textbook.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standard education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technology/family’ of middle and high schools by the time of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standard units presented in 12 types of ‘technology/family’ textbook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 school education, standard education first appeared as a small unit in the ‘Technology and Family’ department of the 2007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was expanded to the middle school level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chnical family’ and It appeared as a unit of ‘Engineering Technology’. Second, standard education in middle school mainly focused on the use of technology as a consumer and the necessity of standards, and examples of standardization in daily life were the main contents. Third, standard education in high school mainly focused 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standards, and examples of standardization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ppeared as the main cont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준 교육의 목적과 그 교과서에 제시된 표준 단원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시기별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준 교육의 목적을 분석하고 12종의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표준 단원의 분석이 이루어 졌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서 표준 교육은 2007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기술·가정’과의 소단원으로 처음등장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에서는 중단원 수준으로 확대되었으며, 고등학교 ‘기술·가정’ 및 ‘공학기술’ 과목의 단원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중학교에서의 표준교육은 주로 소비자로서 기술의 이용과 표준의 필요성에 초점을 두어 생활 속의 표준화 사례 등이 주요 내용이었다. 셋째, 고등학교에서의 표준교육은 주로 기술의 개발과 표준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어 제품의 개발 과정에서의표준화 사례 등이 주요 내용으로 등장 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과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의 설계

        이상봉(Sangbong Yi),안수만(Soo-Man Ah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과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을 설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적정기술 문제해결 활동 과제, 구조화 수준에 따른 문제, 협동학습을 분석하였고, 이를 (1) 학습목표 설정, (2) 학습경험 선정, (3) 학습경험 조직, (4) 평가로 구성된 Tyler의 수업 설계를 적용하여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을 설계하였다. Tyler의 수업 설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협동적 문제기반 학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의 ‘적정기술 문제해결 능력’을 성취하기 위해 협동학습과 문제기반 학습을 복합한 학습경험 중심의 활동이며,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학습경험을 개발하여 다양한 학습자, 학습 주제, 학습 상황 및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둘째, 학습경험은 (1) 구조화된 문제: 주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간이 정수기 만들기, 주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감자 보관 창고 만들기, (2) 반구조화된 문제: 주변의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간이 정수기 만들기, 주변의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감자 보관 창고 만들기, (3) 비구조화된 문제: 수인성 질병예방을 위한 수질 개선 문제 해결하기, 몽골의 기후에서 감자를 보관할 때의 문제점 해결하기로 조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for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 solving ability’. To this end,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solving activity tasks, probl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nalyzed, and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was designed by applying them to Tyler’s model. Cooperative problem-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designed based on Tyler’s model is as follows. First, it is a learning experience-oriented activity that combines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to achieve ‘appropriate technolog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was developed to apply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problems to various learners, learning topics, learning situations and environments. Second, the learning experience is (1) structured problems: making a simple water purifiers using the given materials, making a potato warehouse that can maintain solar energy for a long time using the given materials, (2) semi-structured problems: making a creative simple water purifier using surrounding materials, making a creative potato warehouse using surrounding materials, (3) unstructured-problems: solv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blems to prevent waterborne disease, solving the problems of storing potatoes in Mongolia’s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