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句麗 古墳壁畵 模寫圖의 현황과 일제강점기 자료의 검토

        박아림(Ah Rim Park)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고구려 벽화고분이 20세기 초 학술적으로 발굴되면서 발굴한 벽화를 기록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벽화의 선과 색채, 그리고 석실 내부의 상태를 재현하면서 화폭에 그대로 옮기는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현존하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관련 자료들을 비교하여 모사도 제작자와 제작시기에 대하여 재조명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이르게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여 여러 본의 모사도가 현존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각 모사도 세트를 유리건판으로 남은 촬영사진, 모사도 초본, 흑백모사도, 소장정보 등을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모사도 제작 작가에 대한 정보를 조선총독부 문서를 살펴서 재검토하였다. 1914년 평안남도 용강군 쌍영총 외 3개 고분벽화 모사에 오바 스네키치(小場恒吉)와 오타 후쿠조(太田福藏)와 같이 잘 알려진 모사도 제작 작가 외에 후나고시 겐(船越謙)이라는 인물이 참여한 기록이 있다. 마지막으로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감신총의 모사도들의 원화사진, 현존 모사도, 모사도에 남은 서명과 필치, 소장번호 등을 비교 검토하여 고구려 벽화 모사도의 제작 과정과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12년 오바 스네키치와 오타 후쿠조의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모사도 제작에서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는 현재까지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종류의 모사도들이 존재한다. 일제강점기 모사도 관련 자료를 통해 본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과 보존 및 활용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이러한 모사도들이 학술적이고 자료적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각 모사도의 제작방법과 기술에 대해 상세한 기록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제작된 모사도들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의 관련 자료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각 모사도의 제작 시기, 제작 방법, 열화 표현 정도, 바탕 처리 정도 등을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모사 방법을 달리하는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 감신총, 쌍영총 등도 각 모사도의 계통과 작가에 대하여 보다 고찰이 필요하다. 현존 모사도와 출간 도록에 실린 모사도, 모사도 제작 기록과 모사도를 찍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과 조선 총독부 문서 등을 검토하여 현재까지 남은 모사도의 제작 과정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는 것이 향후의 연구과제이다. Since the Koguryo mural tombs have been excavated academically in the early 20th century, a replica painting has been produced as one of the measures to record the discovered murals as it reconstructed the linework, the colors, and the interior condition of a stone chamber. This paper looked up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tate of mural replicas of Koguryo since the Japanese colonial time period and then reexamined the painters and the dates of replicas as comparng the remaining materials regarding the Koguryo mural tombs. The Koguryo mural replicas started in 1912 when Oba Tsunekichi and Ota Fukujo made copies of wall paintings inside the Great Tomb at Kangso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Currently, they have been continuously produced in South Korea, North Korea, Japan, and China in various methods. As the paper investigated the production and the preservation as well as the usage of those replicas, in order to study those replicas as the academical and authentic research sourc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nditions must be recorded in details. As of the already existing replicas, we need to thoroughly examine the related materials to figure out the dates, the techniques, the expression of the deterioration, the painters, etc. Several tombs with different versions of replicas such as the Great Tomb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and the Niche Spirit Tomb, and the Twin Pillars Tomb should be more carefully studied along with the remaining replicas and the replicas on the published catalogs as well as the written records of the replica produc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the glass dry-plates of Koguryo murals and replicas

      • KCI등재

        황윤석 詩論 연구

        이상봉(Lee Sang-b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이재 황윤석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문학 외적인 성과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본고는 이재의 문학, 특히 그가 남긴 시론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가 남긴 방대한 양의 글 중에서 문학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다. 그 이유는 그의 가학과 스승 김원행의 영향인 것으로 보이는데 따라서 이재가 남긴 「고주집서」는 그의 문학관을 살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BR>  『고주집서」에서 이재는 재도지문을 먼저 천명한 다음 산문에 있어서는 『서경』과 한유ㆍ구양수를, 시에 있어서는 『시경』과 이백ㆍ두보를 각각 최고의 위치에 두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퇴계 이황(1501~1570)과 율곡 이이(1536~1584)가 주자의 도를 밝혀 우리나라의 풍속을 변화시킨 글을 지었다고 평가했고 그 외에 文에 있어서는 소재 노수신(1515~1590)ㆍ간이 최립(1539~1612)ㆍ월사 이정구(1564~1635)가 뛰어났고 詩에 있어서는 고죽 최경창(1539~1583)ㆍ옥봉 백광훈(1537~1582)ㆍ구봉 송익필(1534~1599)ㆍ손곡 이달(1539~1618)ㆍ석주 권필(1569~1612) 등이 우리나라의 문장을 광대하게 했다고 평가했다.<BR>  특히 「고주집서」의 끝부분에는 뛰어난 시의 조건으로 風神의 시원함과 興象의 광대함과 음률의 淸圓함과 格調의 秀硏함을 제시했는데 이 중 풍신과 흥상은 唐詩를 정의하는 중요한 풍격이다. 그리고 이재의 이와 같은 견해는 이재가 愛玩했다는 胡應麟(1551~1602)의 『詩藪』에 유사한 모습으로 나타나 있어 이재의 말이 호응린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BR>  이재가 제시한 몇 가지 좋은 시의 조건 가운데 핵심이 되는 풍신의 시원함과 흥상의 광대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풍신과 흥상에 관해 구체적인 시 구절을 들어 비교 평가한 호응린의 평어를 근거로 살펴보았다.<BR>  풍신을 위주로 한다는 것은 사전적인 의미로 볼 때 ‘작가가 자기 고유의 성품이나 정신을 과감하게 표현하되 작가 자신의 의도 또는 含意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 합쳐지기를 힘쓴다는 것’ 즉, ‘작가정신의 형상화’인데 이것을 『시수』에 의거해서 다시 해석해보면 ‘인간의 감정이 시 속에 녹아있는 것’이었고 이는 흔히 말하는 ‘감정이입’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재가 좋은 시의 조건으로 주장한 風神之爽은 ‘감정이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시를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BR>  흥상의 사전적인 의미는 ‘詩文 가운데 표현된 정취’이다. 이를 『시수』에 근거해서 살펴보면, 흥상이 잘 표현된 시란 ‘詩文 가운데 표현된 정취가 미세하게 집중되어 있거나 범범하게 일반화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무한하게 뻗어나가도록 묘사한’ 시를 말하며 이것이 이재가 주장한 興象之曠의 함의라고 볼 수 있다.   As to Studies about Hwang, Yun-seok(黃胤錫), the mainstream was not on literature. So I focused on his literature, expecially his criticism of poems, Among the large number of his writings, critics on literature are not plentiful. So 「Gojujibseo(孤舟集序)」 remained by him is very important to look out his thought about literature.<BR>  In 「Gojujibseo(孤舟集序)」, he persist that moral philosophy(Do-hak; 道學) should be included in literature. And on prose writings, he insisted that Shih-Ching(詩經)ㆍYu (韓愈)ㆍLiu, Zongyuan(柳宗元) should be the best model of the world On poetry, he insisted that Shu-Ching(書經)ㆍLi, Bo(李白)ㆍTu, Fu(杜甫) should be the best model.<BR>  In Josen(朝鮮), he insisted that after appearance of Lee, Hwang(李滉)ㆍLee, Yi(李珥) there were lots of writers which prospered literature, And he estimated that Rho, Su-shin(盧守愼)ㆍChoi, Lib(崔笠)ㆍLee, Joeng-goo(李延龜) in prose, Choi, Gyeong-chang(崔慶昌)ㆍBaek, Goang-hoon(白光勳)ㆍSong, Ik-phil(宋翼弼)ㆍLee, Dal(李達)ㆍGoen, Phil(權?) in poetry enlarged literary field in Josen(朝鮮).<BR>  Expecially at the end of 「Gojujibseo(孤舟集序)」, he presented that the very condition of being good poetry is Poongshinjisang(風神之爽)ㆍHeungsangjigoang(興象之曠) which are important factor of Tang poetry(唐詩). And It shows that Hwang was affected by Si-su(詩藪) written by Ho, Ying-lin(胡應麟). So I observed criticism by Ho, Ying-lin (胡應麟) which regarded as being accurate to define term; of Poonggyeok(風格).<BR>  Putting Poongshin(風神) first is, in lexical meaning, that "writers should express his own temper and spirit boldly and should struggle to combine the object which he wanted to show with his intention and implicature" and that is "the shaping of writer"s spirits". If we reinterpret it with Si-su(詩藪), this will be "human feelings melt in poetry" and it also can be, as it is called, "empathy". Therefore, Poongshinjisang(風神之爽) which Hwang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of being good poetry express the poetry "those empathy is well made".<BR>  Lexical meaning of Heungsang(興象) is "the artistic effect presented in poetry". Looking around it with Si-su(詩藪), we can see the fact that poetry which Heungsang(興象) is well presented are not only the artistic effect is presented skilfully but also which could be wide boundlessly.

      • KCI등재

        태양광 복사 가속화 시험을 통한 에폭시 폴리머의 색 변화 특성 연구

        이상봉(Sang-Bong Lee),이동건(Dong-Geon Lee),김명준(Myung-Jun Kim),이수용(Soo-Yong Lee),박정선(Jung-Sun Park),강태엽(Tae-Yeop Kang),백상화(Sang-Hwa Baek)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4 No.11

        태양광 복사에 의한 기계적 부품의 강성 및 강도 저하, 변색 등의 영향이 다양한 항공우주산업분야에서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연구를 위해 자연 상태의 태양광에 대한 노출 시험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균일한 시험환경 구현이 어렵고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자연 상태의 태양광 복사강도(1,120W/㎡)를 가속화 할 수 있는 시험 장치를 개발하고, 섬유강화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epoxy polymer에 대한 가속화 시험을 통하여 태양광 복사에 따른 색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시험 시편은 인장 시험 규격인 ASTM-D638에 따라 제작하였으며, 시험 기간에 따른 색변화 특성에 관한 가속계수와 역제곱 모형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사강도가 증가할수록 동일한 변화량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a number of effects by solar radiation in many aerospace industrial fields, such as degrad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sealing effect of sealants or decolorization. Because it takes long time to investigate these effects by using the light of natural state, new methods are developed for accelerating this phenomenon.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pparatus to simulate accelerated solar radiation phenomenon selecting irradiation intensity 1,120W/㎡ as the designed environment. Epoxy polymer as the composite material was chosen and processed by ASTM-D638, a reference for tensile test of polymer and plastic. Total color shift was selected as the test category to evaluate acceleration of the test. We obtained acceleration factors and numerical model from test data and concluded it can shorten test periods by accelerated irradiation intensity of 1,120W/㎡.

      • KCI등재

        의료관광 특구와 그 외 지역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조사

        이동엽 ( Dong-yeop Lee ),이상봉 ( Sang-bong Lee ),박영임 ( Yeong-im Park ),이진근 ( Jin-geun Lee ),박윤희 ( Yoon Hee Park ),이소영 ( So Young Lee ),강동윤 ( Dong-yoon Kang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23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8 No.2

        Objectives: With the designation of Seo-gu in Busan as a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the influx of hospitalized patients requiring caregiver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nd verify the expertise of caregiver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competencies of caregivers in the Seo-gu in Busan and compared them to other region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the knowledge, skill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Busan, South Korea.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7.0 an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rosstabulation. Results: In the end, 132 caregivers from Seo-gu in Busan and 132 caregivers from other regio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knowledge, skills,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 in Seo-gu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and they were positive about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regardless of the region. Conclusions: The competency of caregivers in the Seo-gu in Busan was evaluated as excellent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in order for the region to operate effectively as a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continuing education and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백수 양응수의 삶에 대한 가치 의식 - 그의 한시를 중심으로

        이상봉 ( Lee Sang-bong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기존의 연구는 양응수의 독서법이나 그가 스승의 상을 당해 심상 1년을 실천했던 사실, 그리고 그가 화담학에 대해 가졌던 인식 등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의 독서법이나 그가 남긴 <축장일기> 속 내용, 그리고 화담학에 대한 그의 견해는 모두 그가 가졌던 삶과 학문에 대한 인식이 투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러한 삶의 모습을 가능하게 했던 그의 사상적 기반을 그가 남긴 한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양응수는 24세라는 젊은 나이에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할 만큼 학자적 성품을 갖추고 있었고, 이러한 그의 성향은 많지 않은 그의 한시작품에도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그가 남긴 한시작품의 주요 주제 중에는 경전의 내용에 충실할 것을 노래한 것이 많았는데, 특히 말로만 인의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소학』 등의 경전에 나오는 내용을 몸소 실천할 것을 강조했다. 또한 ‘하늘은 사사로움이 없고 공평하다.’는 『서경』과 『예기』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자신의 운명에 대한 욕심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마음가짐을 그의 한시에서 표현하기도 했고, 이런 마음가짐은 ‘하늘과 사람은 원래 하나’라는 『주역』·『예기』·『심경』 등의 내용으로 발전되어 그의 한시에서 노래되기도 했다. 양응수는 경전에서 말하는 ‘천무사(天無私)’·‘천인일야(天人一也)’의 가르침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마음에서 ‘인욕’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그의 한시 속에서도 인심과 도심이 둘이 아닌 것을 실현하기 위해 인욕을 제거해야 된다고 노래하기도 했다. 하지만 꾸준히 노력한다고 해서 성현의 경지를 쉽게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성리학에 몰두한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스스로를 수양하고 절제해왔지만 여전히 공부하고 실천해야할 것들은 적지 않았다. 따라서 만년의 그는 자신의 인욕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더라도 하늘이 준 초심만은 잃지 않으려고 주의를 기울이는 내용의 시를 남기기도 했다. Existing studies focused on Yang Eung-soo's reading method, the fact that he practiced mindfulness for one year to miss the deceased the death of his teacher, and the perception he had about the study of Hwadam(花潭). His reading method, the contents of the < Chukjang Diary(築場日記) > that he left behind, and his views on the study of Hwadam(flowers) can all be seen as a reflection of his perception of life and learn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looked at his ideological basis that made such a life possible, focusing on the hansi-korean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he left. Yang Eung-soo gave up the civil service exam at the young age of 24 and had a scholarly personality to devote himself to his studies, and this inclination remained intact in his few poems. Among the themes of the poems he left behind, many sang about being faithful to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In particular, he emphasized not only insisting on benevolence and justice with words, but also putting into practice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such as 『Sohak(小學)』. In addition, he inherited the teachings of 『Seokyung(書經)』 and 『Book of Rites(禮記)』 that 'the sky is unselfish and fair' and expressed a free mind in his poems, free from greed for one's own destiny. And this mindset was developed into the content of 'Heaven and Man are originally one', which appears in 『Book of Change(易)』·『Book of Rites(禮記)』·『Book of Mind(心經)』 did. Yang Eung-su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get rid of '人慾' from the human mind in order to achieve the teachings of '天無私' and '天人一也' in the scriptures. So even in his poems, he expressed that in order to realize that the human heart(人心) and the dao heart(道心) are not two, we need to get rid of greed. However, it was not easy to achieve the state of the sage by making steady efforts. After immersing himself in Neo-Confucianism, he has cultivated and restrained himself for a long time, but there are still many things that need to be studied and practiced. Therefore, in his later years, even if he could not completely get rid of his greed, he also wrote a poem that pays attention not to lose the original intention given by heaven. Not only in modern society but also in the 18th century, when Yang Eung-su was active, social success represented by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was what most scholars were aiming for. However, Yang Eung-soo gave up such social achievements and jumped into the academic path of Neo-Confucianism, making it the most important goal of his life to achieve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His attitude toward life is reflected in his poems as well, so his poetry seems to leave a deep impression compared to the works of other ordinary poets.

      • KCI등재

        국어과에서 한문과 분리의 의미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상봉 ( Sang Bong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2 No.-

        제1차와 제2차 교육과정기 국어과는 한자·한문교육을 겸했었다. 하지만 한문과가 국어과에서 분리된 제3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살펴본 것과 같이 한자·한자어에 관한 교육내용이 없다. 한글전용정책의 부작용으로 다시 한자·한자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면서 한문과를 독립교과로 만들었고 이 후부터 국어과에는 한자·한자어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사라진 것이다. 이는 사회와 학계·정치계 등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문교부 당국이 일부 한글전용주의자들의 압력에 따라 국어 속에서 한자·한자어를 교육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피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70년대 전후나 지금이나 한자 관련 교육에 관한 사회적 요구는 그다지 다르지 않은 것 같다. 당시 대중들의 요구도 한문문장이나 한문학 등 전문분야보다는 한자 낱글자나 한자어의 교육을 어릴 때부터 정규적으로 시켜야한다는 것이었고 요즘 사회의 요구도 그와 다르지 않다. 그리고 대중들의 이런 요구를 반영해서 일찍부터 여러 연구자들이 이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교육과정이나 교재, 입시제도 등 다방면에 걸친 연구성과들이 있음에도 현실 교육정책에는 이런 연구결과가 그다지 반영되었다고 보이지 않는다. 이제는 연구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연구자나 학회, 학과 차원의 또 다른 실천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On Primary and secondary curriculum, Korean Language course had involved Chinese chracter Education. However, Since Chinese chracter Education course had separated from Korean Language courses in Third curriculum, there are nothing but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course. As the execution of Chinese chracter Education Cause from the Side effect of Hangeul-only policy, Chinese chracter Education course became a Independent Curriculum, since then there are nothing but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course.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s had wanted to avoid Chinese chracter being taught in Korean Language course, so they had refused the needs of society and politics. The situations of the 1970s and now seems to be not that very different. In 1970s, People wanted to learn Chinese chracters but did not wanted to learn Chinese sentences. That is the same thing what people want to these days. To reflect the needs of the public, several researchers have proposed remedy for this. In reality, however, educational policy did not reflec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Now, I think, researchers and Society, Department have to do Another dimensions of practice in order to fulfill the intents of 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