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엡스타인 기형의 20년 수술 치험

        이삭,박한기,이창영,장병철,박영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4

        배경: 엡스타인 기형 환자들에서 수술적 치료의 임상적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엡스타인 기형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5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6.9세였고, 남자가 19명이었다. 동반 심질환으로는 심방중격결손(33), 동맥관개존(2), 심실중격결손(1), 폐동맥협착(4) 등이 있었고 90% (45/50)의 환자에서 중증도 이상의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동반하였다. Carpentier type은 A형 6명, B형 26명, C형 14명, D형 4명이 속하였고 10명의 환자에서 WPW 증후군을 동반하였다. 수술방법으로는 31명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삼첨판 성형술, 심방화 우심실 주름잡기술(plication of atrialized RV) 등)이 가능하였으며, 폰탄씨 수술은 4명, 삼첨판막 치환술 12명, 고식적 수술은 2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13명의 환자에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을 시행하였고(one and a half ventricular repair), WPW 증후군을 동반한 10명의 환자와 심방세동의 4명의 환자에서 부정맥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함께 시행되었다. 결과: 술 후 뉴욕심장학회 기능분류(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중간값 3 (범위: 1∼4) → 1 (1∼3))와 평균 심흉비(0.65→0.59)는 술 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01, p=0.014). 평균 산소포화도(86.6→94.1%)와 삼첨판막역류 정도(중간값 4 (범위: 1∼4)→1 (0∼4)) 역시 술 전에 비해 술 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p=0.004, p<0.001).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과 보존적 수술 간의 비교에서는 수술 전 우심실 압력(33.0 vs 41.3 mmHg), 중환자실 기간(2.86 vs 1.89일), 입원기간(10.6 vs 16.8일), 그리고 수술 후 좌심실 구축률(64.3 vs 72.8%)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술 후 조기사망이 3명(6%)의 환자에서 있었는데 2명은 양심실부전, 나머지 1명은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1.5개월이었으며 추적 조사 결과, 심장관련사망이 1명(폰탄 실패)이 있었고 6명의 환자에서 재수술을 요하였다(조직판막 퇴행성 변화(2), 폰탄 전환술(4)). 수술 후 10년 생존율은 90.2%였고, 10년 재수술 자유도는 78.9%, 심장관련 합병증의 자유도는 49.2%이었다. 결론: 엡스타인 기형의 수술적 치료는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의 추가가 고위험군에서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적절한 술기의 적용이 결국 장기 생존율의 호전과 재수술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관상동맥루의 임상적 고찰

        이삭,박영환,박한기,임상현,홍유선,장병철,강면식,조범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10

        Background: Coronary artery fistula is rare congenital anomaly, which account for 0.27~0.40% of all congenital heart diseases. We report the clinical observations of 45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fistula.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all patients presented with or without symptoms of coronary artery fistula between 1987 and 2004. Age ranged from 1 to 83 years. Twenty-six patients were femal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ting symptoms. Twelve patients were in group A (asymptomatic) and 33 patients in group B (symptomatic).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in group B was angina (18) followed by dyspnea (7), atypical chest pain (5), syncope (1), fatigue (1), and palpitation (1). Twenty-five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other cardiac diseases, which were atrial septal defect (4),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6), hypertension (12), and valvular heart disease (2). Result: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a mean period of 64.8±62.7 months. There was no complication related to coronary artery fistula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both group. There was no mortality related to coronary artery fistula. Conclusion: In symptomatic patients, early surgical treatment is recommended considering the low perioperative morbidity. In asymptomatic patients receiving medical treatment, close follow up may be necessary. 배경: 관상동맥루는 모든 선천성 심질환의 0.27∼0.40%를 차지하는 매우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45명의 관상동맥루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결과를 살펴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관상동맥루를 진단받은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1세부터 83세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여자가 26명이었다. 환자들을 증상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었다. 12명의 환자에서는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된 경우로 A군으로 분류되었으며, 33명의 환자는 증상이 있는 군으로 B군으로 분류되었다. B군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흉통(18) 이었고, 그 외에 호흡곤란(7), 비전형적 흉통(5), 실신(1), 피로감(1), 심계항진(1) 등이 있었다. 25명의 환자에서는 다른 심혈관질환이 동반되었는데, 심방중격결손증(4), 관상동맥협착증(6), 고혈압(12), 심장판막질환(2) 등이 있었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64.8 62.7개월이었다. 추적관찰기간동안 두 군 모두에서 관상동맥루 관련 합병증은 없었다. 또한 관상동맥루 관련 사망 역시 두 군 모두에서 한 예도 없었다. 결론: 수술전후의 사망률이 낮은 것을 고려해 볼 때 증상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조기에 수술적 교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증상으로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환자들에서는 집중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코퓰라를 이용한 연생보험의 분석

        이삭,백혜연,이항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4

        Multiple life insurance is an insurance product paying the benefits in its event of their life-statuses. Life times of couple insureds can be thought as correlated random variables. To calculate the premiums of these insurance products, joint survival function is needed because the probability of the time of benefit plays a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insurance premiums. Although there exists a correlation between insured people, actuaries calculate the premium assuming that the insured people's lifetimes are independent. In this study, Gaussian copula is used to reflect the correlation of the future life times. Using a Gaussian copula, this paper calculates the premiums of the multiple life insurance products under the dependency assumption. Premiums based on assumption of dependent lifetime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based on independence assumption as its correlation is high. In this paper, we shows that it is more rational to consider the dependency of life times so as to calculate the premiums of multiple life products. 연생보험은 2인 이상의 사람들이 함께 가입하여 피보험자들(insureds)의 생사(生死)여부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받는 보험 상품이다. 부부연금보험과 같이 남편이 사망하면 그때부터 부인이 연금을 지급 받을 수 있는 연생 상품의 경우 보험료를 계산하기 위해 보험금의 지급 시점을 나타내는 확률변수의 생존분포가 필요하다. 이때, 부부의 생활환경이 비슷하기 때문에 두 사람의 생존 기간이 독립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부부의 생존기간에 대한 결합분포가 필요하다. 보험 실무에서 연생보험의 보험료를 계산할 때 계산상 편의로 가입자들의 생존기간을 독립이라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생보험의 가입자 대부분이 혈연관계나 동일 위험 집단에 속해있기 때문에 그들의 생존시간에 대하여 상관성을 고려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 상관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코퓰라를 활용한 통계분석은 많이 있지만 연생보험에 대하여 코퓰라를 이용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코퓰라인 가우시안 코퓰라를 이용하여 생존기간의 상관관계를 반영한 이변수 확률분포를 만들고, 보험수리적 현가를 나타내는 기댓값을 계산한다. 코퓰라를 이용하는 경우에 기댓값의 공식은 유도가 어려우므로 대안으로 상관성이 있는 두 확률변수의 난수를 만들어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댓값을 산출한다. 또한, 가입자들의 생존기간에 대한 상관계수별로 보험료의 차이를 분석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생보험의 보험료 산출 시 가입자들의 생존기간에 대하여 상관관계를 반영한 산출 방법이 타당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급성 심근경색 후 좌심실류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재 좌심실용적감소술의 시행 치험 1예 보고

        이삭,이창영,이교준,유경종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1

        Surgical anterior ventricular endocardial restoration (SAVER) is a technique that improves hemodynamic status by excluding akinetic or dyskinetic portions of the left ventricle, restores the ventricle to normal elliptical shape and reduces ventricular wall tension to normal level in patients with acute anterior wall myocardial infarction that accompanies aneurysm. We performed redo-SAVER procedure in a 40-year old man with remodeled dilated ventricle who had already underwent LV aneurysmectomy 12 years earlier, and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전벽의 급성심근경색에 의한 좌심실류가 있는 경우 수술적 전측심실내복원술(SAVER)은 좌심실의 무운동과 이상운동 구획을 분리하여 정상적인 좌심실 원형구조와 심근벽의 긴장도를 정상적인 수준으로 감소시켜 줌으로써 혈역학적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술식이다. 저자들은 급성심근경색에 의한 좌심실류로 좌심실류절제술을 시행 받은 과거력이 있는 40세 남환에서 12년간에 걸친 remodelling의 결과로 진행된 말기심부전의 치료방법으로써 다시 수술적 전측심실내복원술을 시행한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유아 환아에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의 임상적 효율성

        이삭,박영환,박한기,홍순창,곽영태,조범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3

        배경: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은 복잡심기형의 일차적 고식수술 중 하나로, 여러가지 장점이 있으나 유아 환아들에서는 수술 후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3년까지 48명의 1세 이하 환아들이 연세대학교 심장혈관병원에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을 시행 받았다. 모든 환아들은 단심실로 인한 폰탄수술의 대상자였다. 환아들은 수술당시의 나이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되었다. A군(<3개월, 12명)과 B군(3∼12개월, 36명) 간에 평균 나이(67.58 3.78 vs. 212.91 13.44일)와 평균 몸무게(4.51 0.29 vs. 6.62 0.27 kg)를 제외한 술 전 변수들은 차이가 없었다. 결과: A군에서 연속적으로 측정한 동맥혈 산소 포화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병원 내 사망률은 각각 25%와 19%였다. 추적관찰 기간동안 A군에서 2명, B군에서 5명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환아들에서도, 수술 위험성이 나이가 든 환아들과 비교하여 비슷하여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이 후에 시행될 폰탄수술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반복적인 고식적 수술을 피할 수 있는 수술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폐동맥고혈압이나 Heterotaxia 증후군 등이 동반된 고위험군 환아에서는 다른 고식적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Bentall 수술 10년 후 발생된 좌관상동맥 가성동맥류의 수술 치료

        이삭,홍유선,강면식,임상현,장병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3

        대동맥 wrap-inclusion 술식은 고유의 Bentall 수술에서 수술 후 지나친 수술의 예방을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비록 이 수술이 대동맥근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과를 향상시켰다고는 하나 관상동맥 연결부위의 관상동맥 협착, 비틀림, 가성동맥류 형성 등의 조기 및 만기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Wrap-inclusion 술식을 이용한 복합이식 후 대동맥 주위 가성동맥류 형성은 비교적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본원에서는 45세의 여자 환자에서 inclusion technique으로 Bentall수술을 받은 후 10년만에 발생한 대동맥주위 가성동맥류를 Cabrol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Pulmonary Artery Embolization of Intravenous Leiomyomatosis Extending into the Right Atrium

        이삭,Do-Kyun Kim,Kyoung Shik Narm,Sang-Ho Cho 대한흉부외과학회 201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4 No.3

        A 43-year-old woman was diagnosed with an intravenous leiomyomatosis at a previous hospital and transferred to our hospital to undergo surgical treatment. Emergency one-stage operation for coincidental removal of intra-abdominal,right atrial, and intravenous masses were planned. Upon arriving at the operating room, she suffered a sudden onset of severe dyspnea and showed hemodynamic instability. Intraoperative TEE showed pulmonary embolization of a right atrial mass. Removal of the pulmonary artery mass and the intra-abdominal mass, and the cardiopulmonary bypass were performed without any complications.

      • KCI등재

        Open Pulmonary Thromboembolectomy in Patients with Major Pulmonary Thromboembolism

        이삭,송석원,이기종,윤영남,유경종,장병철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08 Yonsei medical journal Vol.49 No.6

        Purpose: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pen pulmonary thromboembolectomy in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1990 and May 2005, 12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underwent open pulmonary thromboembolectomy at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Their mean age was 47.5 years, and 7 of the patients were female. Among 12 patients, 5 had acute onset, and 7 had chronic disease, and 9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deep venous thrombosis. Extent of pulmonary embolism was massive in 3 patients with hemodynamic instability, and submassive in 8 patients. Preoperative echocardiogram revealed elevated right ventricular pressure in all patients, and 7 patients were in NYHA functional class III or IV. Pulmonary thromboembolectomy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under total circulatory arrest. Results: There were 2 hospital deaths (16.7%). Among the patients who survived, mean right ventricular pressu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64.3mmHg to 34.0mmHg with improvement of NYHA functional class. Conclusion: Open pulmonary thromboembolectomy is thought to be an immediate and definitive treatment for massive pulmonary embolism with optimal results. Even though operative mortality is still high, early diagnosis and immediate surgical intervention in highly selective patients may improve the clinical outcome.

      • KCI등재

        이중판막 재치환술 시 발생한 급성 대동맥 박리증으로인한 비폐쇄성 장간막 허혈

        이삭,송석원,송승준,김관욱,장병철,조상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2

        Nonocclusive mesenteric ischemia (NOMI) is a rare complication that occurs in about 0.05% of patients after open- heart surgery, and NOMI refers to the mesenteric ischemia that’s caused by splanchnic vasospasm without occlusion of the great intestinal vessels. In the presently reported case, NOMI developed to maintain the blood flow to the heart and brain after several minutes of a hypotensive status and the latter was caused by acute aortic dissection that complicated an aortic cannulation procedure. Unfortunately, the patient died even though the problems were diagnosed early and proper treatment was administered. Early diagnosis of NOMI by angiography and the selective infusion of vasodilators are thought to be the only way to improve survival for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NOMI. 비폐쇄성 장간막 허혈(nonocclusive mesentericic ischemia, NOMI)은 개심술 후 약 0.05%에서 발생하는 아주 드문 합병증으로 주요 장 혈관의 폐색 없이 내장 말초 혈관의 심한 혈관 경련(vasospasm)에 의해 장 허혈이 발생하는 것을 일컫는다. 본 증례에서는 상행 대동맥을 통한 동맥관 삽입시 발생한 급성 대동맥 박리로 수분간의 저혈압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심장과 뇌의 혈류를 유지하기 위한 장 혈관의 수축으로 NOMI가 발생한 경우로 비교적 빠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졌음에도 장 경색으로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임상적으로 NOMI가 의심되는 경우 조기 진단 및 치료만이 생존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빠른 대동맥 조영술 및 혈관 확장제의 선택적 주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패혈성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개심술 후 발생한 Vasoplegic Syndrome에서 메틸렌 블루의 투여 후 혈압회복 -1예 보고-

        이삭,배미경,이기종,윤영남,송석원,김도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4

        Vasoplegic syndrome은 심장 수술 후 8∼10%의 빈도로 발생하고, nitric oxide와 guanylate cyclase가 중요 역할을 하는 염증반응에 유도함에 기인하며, 높은 사망률과 유병률을 나타낸다. 본 증례에서는 수술 전 패혈증이 있던 환자에서 심폐순환 후 vasoplegenic syndrome이 발생하였다. Gguanylate cyclase 억제제인 메틸렌 블루(MB)를 투여하여 환자는 즉시 호전을 보였으며 어떠한 혈압수축제의 도움 없이도 적절한 혈압을 유지할 수 있었기에 보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