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나님의 영과 신인식 - 이사야와 에스겔을 중심으로 -

        이사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4

        구약학에서 חור(루아흐)와 성령론은 다른 신학적 주제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שודק חור(루아흐 카도쉬/성령)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은 시편 51편 13절(개역-11절), 이사야 63장 10절, 11절 뿐이다. 하지만 구약성서 특히 예언서는 신인식론적인 하나님의 영에 대해 65회 언급하고 있다. 하나님의 영과 힘으로서의 신(神)인식론적인 의미는 구약성서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표현이다. 특히 예언자들이 말하는 하나님의 영은 하나님의 임재의 한 방법이다. 본 논문은 구약의 예언서, 특히 포로기와 그 이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영 본문들을 주석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신학적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루아흐가 구약성서의 또 다른 신학적 중심어라는 사실을 주목함과 동시에 구약의 영과 영성, 성령론에 대한 빈곤한 연구 건축에 돌 하나를 얹고자 한다. 하나님의 창조와 재창조, 절대주권, 이스라엘의 회복, 하나님의 절대 주권, 신인식에 대한 보편주의, 개인의 신앙양태의 변화는 예언서에서 하나님의 영과 맞물려 나타나는 중요한 신학적 특징들이다. 에스겔은 단순히 생기를 통한 피조물의 생명 얻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이스라엘 민족의 회복을 선포하고, 생명의 호흡으로서의 하나님의 영을 통해 이스라엘의 회복과 새로운 창조를 말하면서 이스라엘의 내면적, 윤리적 변화를 요구한다. 이사야도 하나님의 영이 임재할 이스라엘 백성을 통해 본토와 민족의 회복이라는 사실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의미를 제시한다. 그리고 전통적인 기름부음을 대신하는 영부음이 나타나고,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 손 그리고 말씀과의 연합이 나타난다. 이는 전통적인 임재의 상징이었던 법궤를 대신하는 표현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학개와 스가랴 그리고 에스겔은 성전의 재건과 회복된 공동체의 필수요건으로서의 하나님의 영을 말한다. 특히 이사야 63장의 שודק הור(루아흐 카도쉬/성령)는 하나님의 거룩함에 대한 강조가 하나님의 현현묘사까지 나아간 것으로, 이는 하나님의 영에 대한 인식이 하나님의 권능을 나타내는 도구에서 하나님의 현현을 통한 존재 자체에까지 확장되는 점에서 신인식론적인 대전환(大轉換)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에 대한 인식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영에 대해서도 다양성과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Studies on the theme of הור or Holy Spirit are rare in comparision with other theological themes in the Old Testament. In fact, the word Holy Spirit (שודק חור) occurs only three times in the Old Testament(Ps.51:13; Is.63:10,11). But the books of Prophets include sixty-five times of God’s Spirit of theoepistemological meaning. The theoepistemological meaning of God’s Spirit and Power is unique expression which could not find in any other near eastern texts except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God’s Spirit was a way of God’s presence to the prophe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ological features in interpreting God’s Spirit texts in the Prophets and to prove the fact that חור is one of the theologically important themes in the Old Testament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ies of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God’s creation and re-creation, supremacy, Israel’s restoration, universalism on the theoepistemology, changes of individual religious life are main theological characteristics engaging with the God’s Spirit in the Prophets. Ezekiel said not merely the creatures' life-receiving through life-giving spirit, but entire Israel's restoration and new creation(Ez.37) and required Israel’s internal, ethical changes. Also Isaiah presented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new life-giving was not restricted in natural creatures and pointed out wider meaning about the restoration of the own land and nation(Is.40:12-14; 44:1-5 etc.). And there appeared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pouring of oil and presence of Ruah YHWH, so to speak, the selection of YHWH appeared through oil-pouring was replaced by pouring of Ruah YHWH. Shem YHWH, Kabod YHWH and Yad YHWH supports the presence of Him(Is.59:19; Ez.3:12,14; 43:5 etc.). These are the alternations of the ark which was traditional symbol of God’s presence. Haggai, Zechariah and Ezekiel paid attention to God’s Spirit, necessary element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the restoration of the faith of Israelite community. Especially שודק חור(Is.63:10,11) was the expression of God’s presence itself (not a symbol) starting from the emphasis of God’s holiness and it could be the theological great conversion because God’s Spirit appeared as the agent of YHWH or even His own manifestation. We could see the diversity of the epistemology of God’s presence and even its changes in the prophets.

      • GIS를 이용한 지질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이사로,최위찬,민경덕 한국공간정보학회 199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7 No.1

        Geological map and data are needed for land use planning, resources development, geological hazard prevention, environment protection and education, Since the nationwide geological database in Korea has not been constructed yet, there are many problems in using the geological map and data.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 stratigraphy unestablishment, map conservation and edge matching in geological paper map.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geological map database, but the geological map database must be constructed as soon as possible as one of national thematic map. In this study, geological maps of pilot area such as Ansung geological map on a scale of 1:50,000, Busan on a scale of 1:250,000, Namchang on a scale of 1:25,000 and the whole Korean peninsula on a scale of 1:1,000,000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databas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addition the geological map management program was developed by GIS program. The digital geological maps were produced using the constructed geological database. The database could be of access through Internet World Wide Web(WWW) environment and be distributed in Compact Disk(CD).

      • KCI등재SCOPUS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2002년 강릉지역 태풍 루사로 인한 산사태 연구(II)-확률기법을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및 교차 검증

        이사로,이명진,원중선,Lee Saro,Lee Moung-Jin,Won Joong-S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sceptibility of landslides at Kangneung area, Korea,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remote sensing.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from interpretation of satellite image and field surveys. The topographic, soil, forest, geologic, lineament and land cover data were collected, processed and constructed into a spatial database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data. Using frequency ratio model which is one of the probability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s and related factors such as slope, aspect, curvature and type of topography, texture, material, drainage and effective thickness of soil, type, age, diameter and density of wood, lithology, distance from lineament and land cover were calculated as frequency ratios. Then, the frequency ratio were summed to calculate a landslide susceptibility indexes and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were generated using the index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verified and cross-validated using actual landslide location data.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ed satisfactory agreement between the susceptibility map and the existing data on landslide loca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Evidential Belief Function, Weight of Evidence 및 Artificial Neural Network 모델을 이용한 산사태 공간 취약성 예측 연구

        이사로,오현주 대한원격탐사학회 2019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andslide susceptibility in the Pyeongchang area using Weight of Evidence (WOE) and Evidential Belief Function (EBF) as probability model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as a machine learning model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is study examined the widespread shallow landslides triggered by heavy rainfall during Typhoon Ewiniar in 2006, which caused serious property damage and significant loss of life. For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3,955 landslide occurrences were detected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environmental spatial data such as terrain, geology, soil, forest, and land use were collected and constructed in a spatial database. Seventeen factors that could affect landsliding were extracted from the spatial database. All landslide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datasets, a training set (50%) and validation set (50%), to establish and validate the EBF, WOE, and ANN models. According to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method, the accuracy was 74.73%, 75.03%, and 70.87% for WOE, EBF, and ANN, respectively. The EBF model had the highest accuracy. However, all models had predictive accuracy exceeding 70%, the level that is effective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These models can be applied to predict landslide susceptibility in an area where landslides have not occurred previously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usceptibility map can help reduce landslide risk, provide guidance for policy and land use development, and save time and expense for landslide hazard prevention. In the future, more generalized models should be developed by applying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in various areas.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 환경에서 확률 모델인 Weight Of Evidence (WOE)와 Evidential Belief Function (EBF), 기계학습 모델인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모델을 이용하여 평창지역의 산사태 취약성도를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였다. 본 연구지역은 2006년 태풍 에위니아에 의한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여 많은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기 위해 항공사진을 이용하여3,955개의 방대한 산사태 발생 위치를 탐지하였고, 환경공간정보인 지형, 지질, 토양, 산림 및 토지이용 등의 공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간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였다. 이러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산사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 17개를 추출하여 입력 인자와 EBF, WOE, ANN 모델을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고 검증하였다. 작성 및 검증을 위해 산사태 자료는 각각 50%씩 나누어서 훈련 및 검증을 실시하였고, 검증결과 WOE 모델의 경우는 74.73%, EBF 모델의 경우는 75.03%, ANN 모델의 경우는 70.87%의 예측 정확도를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 중 EBF 모델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모든 모델에서 70% 이상의 예측 정확도를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법이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에 유효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제안된 WOE, EBF, ANN 모델과 산사태 취약성도는 이전에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의 산사태를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취약성도는 산사태 위험 감소를 촉진하고, 토지 이용 정책 및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많은지역에서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방법을 적용하여 산사태 위험 예측을 위한 일반화된 모델을 이끌어 내야 한다.

      • KCI등재

        GIS기법을 이용한 영광지역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이사로,최순학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7 지하수토양환경 Vol.4 No.4

        지하수 오염에 대한 광역적인 취약성 평가를 하기 위한 DRASTIC 시스템은 미국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개발된 것으로 지하수위, 충진률, 대수층 매체, 토양 매체, 지형 경사, 비포화대 매체, 수리전도도 등 수리지질학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DRASTIC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된 지하수 오염 취약성 결과는 취수정 혹은 관측공의 위치선정, 쓰레기 매립지 적지선정, 지하수와 관련된 토지 이용 등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DRASTIC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영광군 지역의 지형, 수계, 우물, 지질, 토양, 토지이용 등 수리지질학적 요소들에 대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러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GIS의 중첩기 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광역적인 지하수 오염 취약성에 대한 상대적인 분석치를 얻고 이를 도면으로 작성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이용한 강릉지역의 퇴적기원의 비금속 광상부존가능성 분석

        이사로,오현주,민경덕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4 No.1

        Mineral potential mapping is an important procedure in mineral resource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ineral potential using weight of evidence model and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environment to identify areas that have not been subjected to the same degree of exploration. For this, a variety of spatial geological data were compiled, evaluated and integrated to produce a map of potential mineral in the Gangreung area, Korea. For this, a spatial database considering mineral deposit, topographic, geologic, geophysical and geochemical data was constructed for the study area using a GIS. The used mineral deposits were non-metallic(Kaolin, Porcelainstone, Silicastone, Mica, Nephrite, Limestone and Pyrophyllite) deposits of sedimentary type. The factors relating to mineral deposits were the geological data such as lithology and fault structure, geochemical data, including the abundance of Al, As, Ba, Ca, Cd, Co, Cr, Cu, Fe, K, Li, Mg, Mn, Mo, Na, Ni, Pb, Si, Sr, V, Zn, Cl-, F-, PO4-3-, NO2-, NO3- SO42-, Eh, pH and conductivity and geophysical data, including the Bouguer and magnetic anomalies. These factors were used with weight of evidence model to analyze mineral potential. Probability models using the weight of evidence were applied to ex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mineral deposits and related factors, and the ratio were calculated. Then the potential indices were calculated by summation of the likelihood ratio and mineral potential maps were constructed fro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mineral potential maps were then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known mineral deposit areas. The result showed the 85.66% in prediction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