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수업에서 고등학생의 형성평가 인식 유형 및 영향 요인 탐색

        이빛나,박민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어 수업에서 고등학생의 형성평가 인식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PISA 2018에 참여한 우리나라 고등학생 1학년 5,698명(154개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3-step 방식에 기반한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형성평가 인식을 구성하는 요인으로는 PISA 2018의 학생 설문지에 포함된 피드백 3문항, 수업조정 3문항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형성평가 인식 양상은 저인식 집단(45.9%), 중인식 집단(36.3%), 고인식 집단(17.8%)으로 구분되어 피드백과 수업조정 간의 차별적인 특성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 간 비교했을 때 수업조정보다는 피드백 인식의 평균 차이가 더 큰 편이었다. 둘째, 3개 집단을 구분하는 학생수준의 예측 요인은 읽기 자아개념, 성취목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읽기 자아개념과 성취목표가 높을수록,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낮을수록 보다 높은 인식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학교수준에서는 해당 학교의 교사가 교수학습에 대한 흥미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인식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학생들 간 협동 분위기의 학교일수록 저인식 집단보다는 중인식 또는 고인식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형성평가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formative assessment typ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language classes. To this end, we conducted a 3-step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data of 5,69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ISA 2018. The elements of formative assessment were defined as feedback and instructional adjus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perception of formative assessment was divided into a low-perception group (45.9%), a middle-perception group (36.3%), and a high-perception group (17.8%). Second, the predictive factors at the student level that distinguished the three groups were reading self-concept, achievement goals, and fear of failure. The higher the reading self-concept and achievement goal, the lower the fear of fail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perception group. Third, at the school level, the higher the interest of teachers in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school,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perception group. Additionally, schools with a cooperative atmosphere among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iddle- or high-perception group than the low-perception group.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aising perception of formative assessment were presented and further research was proposed.

      • KCI등재

        메니에르병과 동반된 전정편두통에서 내림프수종 2예

        이빛나,황승배,강진주,오선영 대한평형의학회 202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20 No.4

        Vestibular migraine and Menière’s disease have similar clinical features which are recurrent dizziness or auditory symptoms, so it is challengeable to establish the correct diagnosis. Herein, a 31-year-old male and a 56-year-old female showed recurrent dizziness with auditory symptoms and suffered from vestibular migraine. They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vestibular migraine, but the Menière’s diag-nostic criteria were not satisfied as there was no hearing loss. Delayed intravenous gadolinium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inner ear was taken to find out of correlation of the inner ear and revealed endolymphatic hydrops. This case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a vestibular migraine associated Menière’s disease.

      • KCI등재

        교실수업 및 평가에 대한 중학생 인식의 종단적 변화 탐색: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

        이빛나,박민애,김난옥,손원숙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three subjects(Korean, Mathematics, English) and to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instructional factors in middle school. For these purposes, we used the three-point data from the fourth grade panel of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irst, we assumed that the growth trajectory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 during middle school would appear as a heterogeneous type and conducted LCGA(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ll subjects, the latent classe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s are divided into three such as a) a high-level maintaining group(65.6∼69.5%), b) a increasing-group(22.9∼24.3%) and c) a decreasing-group(7.6∼10.1%). Second, Whe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positive, th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level maintaining-group. Third,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learning effort, learning method,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three latent clas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on effective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교과별(국어, 수학, 영어) 수업 및 평가 인식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4패널 4~6차년도의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업 및 평가 인식은 교사의 교수활동 및 과제점검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시기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성장궤적이 이질적인 유형으로 나타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3-step 방식에 기반한 잠재계층성장분석(Asparouhov & Muthen, 2013)을 실시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잠재계층은 수업 및 평가 인식이 3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상유지집단(65.6∼69.5%), 인식이 점차 높아지는 상승집단(22.9∼24.3%), 인식이 낮아지는 하락집단(7.6∼10.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교사-학생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하락집단 및 상승집단 보다는 상유지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학습노력, 학습방법, 수업참여, 학업성취도는 상유지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및 평가에 관한 교육적 시사점 및 논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쓰기 부진 학생의 쓰기 인식에 관한 분석

        이빛나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6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with poor writing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of writing and to find out what the appropriate educational direction is. Among the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who belonged to the bottom 5% of the writing ability evaluation, 10 students who agreed to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experience poor writing also had very low writing efficacy. As repeated failure experiences can lead to a decline in writing efficacy, it is necessary to present tasks and topics considering poor writing. Second, students with poor writing do not have conceptual knowledge of writing procedures or processes and do not use writing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easy and interesting explanations and activities suitable for the level so that knowledge and methods of strategy can be internalized. Third, students with poor writing thought that the cause of poor writing was lack of reading experie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riting the presentation type, lack of reading ability can affect writing evaluation, so various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when designing tasks. Fourth, students with poor writing clearl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high-quality and low-quality writings. You can use education to improve your writing ability by reading good articles and imitating them or allowing you to identify differences from your writings.Until now, the perception patterns of students with poor writing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is, we hope to lay the groundwork for education to improve writing slump. 이 연구는 고등학생 쓰기 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쓰기 부진 학생의 쓰기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고 알맞은 교육 방향이 무엇인지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부진을 경험하는 학생들은 쓰기 효능감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복된 실패 경험은 쓰기 효능감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쓰기 부진을 고려한 과제와 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쓰기 부진 학생은 쓰기 절차나 과정에 대한 개념 지식이 없고 쓰기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다. 전략에 대한 지식과 방법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수준에 적합한 쉽고 흥미있는 설명과 활동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쓰기 부진 학생은 쓰기 부진의 원인이 독서 경험 부족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제시문 유형 쓰기의 경우 읽기 능력 부족이 쓰기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과제를 설계할 때 다양한 고려를 해야한다. 넷째, 쓰기 부진 학생은 수준 높은 글과 수준 낮은 글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였다. 좋은 글을 읽고 이를 모방하거나 자신의 글과의 차이점을 파악하게 하여 쓰기 능력을 개선하는 교육을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쓰기 부진 학생의 인식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쓰기 부진 개선 교육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심리적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식습관 관련 변인연구 : 학부모 대상의 MSG 사용에 따른 편식행동감소 매개효과

        이빛나,최윤영,신은하,김민지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use of MSG, balanced eating habit, perceived life happin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foo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arents.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of reducing unbalanced eating hab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food and use of MSG. For this analysis, 80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ith boostrapping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roup using MSG is more satisfied with food-related life than group not using it. (2) Perceived life happiness and healthy eating habit were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food-relate life. Lastly, (3) Reducing of unbalanced eating habit was a partia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MSG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It suggests that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use of MSG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the positive effects of which may be mediated by expectancy of reducing unbalanced diet. 본 연구는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식생활 만족도에 MSG 사용, 균형 잡힌 식습관, 주관적 행복감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MSG 사용과 식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편식행동 감소에 대한 생각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내 학부모 8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 분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MSG를 사용하는 집단이 미사용 집단에 비해 식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행복감이 높고 균형 있는 식습관을 가질수록 식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SG 사용이 식생활 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편식행동 감소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식생활 만족도 향상에 MSG 사용이 긍정적 효과를 보이며 이는 편식행동 감소에 따른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