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웅성불임을 이용한 보리의 순환선발 육종에 관한 연구 제1보 보리 순환선발집단 RSPYB#1의 육성과 계통선발에 관하여

        李奉鎬,徐得龍,徐亨洙,朴來敬 韓國作物學會 1980 한국작물학회지 Vol.25 No.1

        영남작물 시험장에서는 우리 나라 남부지방의 답이작에 적합한 조숙 안전 다수성 보리 신품종을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1975년부터 보리의 웅성불임을 이용한 누환선발육종을 실시한 결과 1978년에 보리의 순환선발집단인 RSPYB#1을 육성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집단육성에 이용된 재료는 미국 California 와 Idaho 및 Montana 지방에서 육성된 Composite cross F2 집단과 우리 나라 육성계통의 혼합집단을 사용 하였다. 2. 집단육성 과정에서 각 Cycle의 F1 세대에서는 종자증식만 하고 F2 세대에서는 웅성불임과 웅성임성을 인공교배 하였다. 3. 웅성불임 재료에 우리 나라 육성계통의 혼합집합이 2회 교잡되므로서 이론적으로 75%의 적응률을 가졌으며 남부지방의 답이작하에서 그 Cycle 이 반복되어 왔으므로 답이작에 대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인정된다. 4. 각 Cycle의 F2 세대에서는 우량개체를 주별로 선발하였고 선발된 계통은 계통 육종법에 따라 재배하였으며 유망한 계통은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하여 수량과 특성을 검정하였다. 5. 보리순환선발집단 RSPYB# 1에서 선발된 계통들은 기존장여 품종들에 비하여 조숙 다수성으로 답이작에 적응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6. 보리순환선발집단 RSPYB# 1은 Cycle이 진전될수록 답이작에 더욱 우수한 계통들이 선거될 것으로 기대된다. A male sterile facilitated recurrent selection population was developed by the barley breeding team of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To breed this population, three composite cross populations and a composite population of breeding lines in our country were used as the materials. This popula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breed early maturing, wet-soil tolerant and high yielding barley varieties, adapted for double cropping with rice in southern part of Korea. The population was named by RSPYB#l which means Recurrent Selection Population No.1. of Yeongnam Barley.

      • KCI등재

        유지작물의 기상재해와 피해 경감 대책

        이봉호,방진기,박희운,이정일,박노진 韓國作物學會 1991 한국작물학회지 Vol.36 No.5

        유지작물의 안전 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해 지금까지 유지작물에 발생되는 주요 기상재해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종합 고찰하였다 유지작물에 발생되는 주요 기상재해는 타작물에서와 같이 냉해나 한해와 같은 온도에 의한 장해, 습해나 도복과 같은 풍수해, 그리고 기타재해 등 각종 재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있다. 그러나 유지작물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주요작물에 비해 비중이 낮고 재배면적도 적어 비중이 낮게 취급된 관계로 각종 재해에 대한 정확한 피해정도나 재해경감 대책이 밝혀지지 많은 부분이 많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지금까지 조사 보고된 결과들 중에서는 참깨와 땅콩에 대한 결과들이 많고 그 중에서도 침관수해, 한충해, 도복피해 등 풍수해에 대한 연구결과가 많으며 이 같은 재해들은 피해정도도 매우 큰 것으로 보고되어 심한 경우는 90%이상의 수량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재해에 대한 피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품종개량 면에서 각종 재해에 대한 내성을 가진 품종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재배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재해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법이나 비닐멀칭재배법 등과 같이 기상재해의 사전예방 기술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농산물유입 개방화에 따른 다품목 소량재배 추세와 다양한 식품의 안정적 생산공급 측면에서 점차 비중이 높아가고 있는 유서 작물의 안전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품종개량과 재배기술 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기상재해 경감대책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되었다. The literatures on meteorological disasters of which reported in Korea and abroad were reviewed and discussed in oilseed crops for refer to stable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crops. From the reviews, it was clarified that much of the reported disasters are almost same kinds as the other crops like reported in soybean and rice. However much of the disasters reported in oilseed crops were unconfirmed on their injury mechanisms or damage rate on yield loss and quality deteriorate comparing to the reports on soybean or rice. Among the meteorological disasters reported in oilseed crops, the disaters on sesame and groundnut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numbers of report and water-flooding damage, drought damage, lodging damage in the kinds of disasters. Such kinds of the above disasters were leading to 90% yield loss in the most serious situation. To reduce the damage of meteorological disasters, it was suggested that the variety improvement of which highly resistant, and vinyl-mulching culture would be also an way to reduce water -logging and drought damage in sesame and groundnut in cultural practice. Further, it was indicated that the emphasis must be put on the oilseed crops to investigate and clarify the damage mechanisms, and reducing method of meteorological disasters in breeding and cultural practice.

      • 이동통신시장의 단말기보조금과 정책이슈

        이봉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논총 Vol.21 No.-

        The handset subsidy is one of the major means of market competition for the mobile operators in the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s market.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handset subsidy will cause market distortions and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in various aspects. As the handset subsidy increase the costs of operators and, in turn, rise the price of mobile services. it will deter the continued growth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market.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handset distribution channel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s marke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handset subsidy marketing and analyse the market distortion problem arising from the handset subsidy. To reduce the distortion problem we have made several policy suggestions, such as removal of SIM-locking, restructuring the handset distribution channel, reshaping the tariff structure. We also have suggested for the operators to refrain from the unproductive subsidy marketing in a way to make the long-term network operation more sustainable. Our study emphasized that new government regulation policy should take the measure that can lessen the burden of mobile services subscriber's expenditure and improve the social welfare. 우리나라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주요 시장경쟁수단인 단말기보조금은 서비스시장의 왜곡과 함께 이동통신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가입자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단말기보조금은 정체된 이동통신서비스 시장에서 사업자의 마케팅비용을 증가시켜 사업자의 네트워크 투자여력을 약화시키고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불투명하게 시행되는 단말기보조금은 불완전한 정보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의 효율적인 선택을 제약하고 궁극적으로는 실질적 요금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이동통신서비스시장과 단말기유통구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단말기보조금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그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단말기보조금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정책 및 규제방안으로 SIM-locking이 해제된 단말기보급의 확대, 단말기유통구조의 개선과 요금제도의 개편, 휴대폰 출고가의 현실화 등이 제시되었다. 해외 사례에 비추어 소모적인 단말기보조금 경쟁을 지양하기 위한 사업자 노력의 중요성도 제기되었다. 이동통신산업내에 이해관련자들의 입장에 따라 단말기보조금을 보는 시각과 개선방안에는 크게 차이가 있다. 그러나 현재 단말기보조금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소해 나감에 있어서는 이용자부담의 경감을 통한 사회후생의 제고와 이동통신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에 초점을 맞추어 개선방향이 모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접속료의 신축적 규제방안과 그 특성분석

        이봉호,임윤성 정보통신정책학회 1999 정보통신정책연구 Vol.6 No.1

        대부분 나라에서는 원가주의에 따라 접속료를 '직접적'으로 규제하고자 한다. 그러나 원가의 검증은 적정원가의 개념설정에서부터, 구체적인 계산방법상의 논란, 그리고 원가정보의 비대칭성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상의 문제들은 이미 과거 요금규제 과정에서 잘 드러난 바와 같다. 그래서 처음 경직적 이던 요금주제도 이제는 대부분 신축적 규제로 전환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접속료 규제도 앞으로 보다 신축적인 방식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몇 가지 신축적 규제방안에 대해 모델분석을 통하여 그 주요 특성을 비교 ·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글로벌 가격상한 규제(GPC)'에 대해 Laffont와 Tirole(1996)을 비롯한 기존 연구에서는 GPC의 접속료가 램지가격으로 결과되는 것을 보이는데 반해, 이곳에서는 바스켓 구성에 따라 원가수준으로도 규제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입배분 방식'은 그 특성이 이곳에서 처음 분석되고 있는데, 특히 접속에 따른 수익을 공분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흥미로운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착신과금 접속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화되고 있지 않으나, 이곳 분석에 따라 망외부효과를 고려한 효율적 접속료로서의 주요 특성이 상당 수준 밝혀지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