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과 두 개의 중국, 1950~60년대 중국 인식과 중국문학의 수용

        이봉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2

        냉전 종식 후 하나의 중국정책의 영향 속에 취해진 대만과의 단교/중공과의 수교조치는 중국에 대한 접근과 인식태도를 근본적으로 전환시킨 중대사건이었다. 이러한 대전환 이면에는 중국문학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굴곡진 역사가 개재되어 있다. 차오위의「雷雨」수용사가 이를 잘 대변해준다. 냉전기 중국에 대한 접근과 중국문학의 수용은 대만(선택)/중공(배제)의 틀로 단순화되지 않는 복잡성을 지닌다. 마오쩌둥에 대한 지식인사회의 지속적 관심에서 보듯 배제되었다고 여겨진 것이 또 다른 맥락에서 실체적 흐름을 형성하며 중국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개척하고 있었다. 1950~60년대 두 개의 중국에 대한 접근은 냉전의 거시적 규율과 한국의 냉전외교정책에 의해 촉진/제약된다. 1954년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과 1966년 아시아태평양이사회(ASPAC)의 창설로 구체화된 한국주도의 아시아지역구상은 미국의 동아시아전략과의 부정합성으로 군사동맹체의 성격이 탈각되는 대신 아시아국가와의 문화적 교류, 협력관계를 촉진시키는 역설적 계기가 된다. 1950년대 대만과의 문화교류도 주로 APACL을 매개로 선전전 차원에서 시행된 동남아예술사절단 파견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데, 반공과 독재를 근간으로 한 사상적 연대라는 범주를 넘어서지 못했다. 저널리즘을 통해 증식된 중공에 대한 담론도 정보가 차단된 상태에서 심리전에 경사된 미국 정보에 의존한 결과 냉전적 적대를 양산하는데 그친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중국에 대한 접근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데탕트국면의 도래와 박정희정권의 아시아중시 외교정책에 따라 지피지기승공론의 차원에서 중공을 중심 대상으로 한 아시아의 공산주의와 근대화에 대한 연구가 촉진된 것이다. 특히 포드재단, 아시아재단 등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에 의해 국제적 냉전네트워크와의 긴밀한 연계 속에 전문적인 중공 연구가 트랜스내셔널한 차원으로 확장되기에 이른다. 대만에 대한 관심은 초점이 경제로 이동하며 대만의 근대화 문제로 집중된다. 이 같은 두 개의 중국에 대한 이해의 지평은 중국문학의 번역과 수용에도 대체로 적용된다. 1950년대 후반 세계문학전집에서 중국문학의 비중은 현저히 낮았고, 중국의 전근대문학이거나 대만작가의 작품이 포함되었을 뿐이다. 당대 상상된 세계문학에서 중국문학은 배제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번역 전체의 지형으로 볼 때 중국문학은 영미문학 다음으로 많았는데, 대부분 중국문학이란 특징 하에 전근대문학, 대만의 무협소설, 일부의 대만 전후문학, 그것도 상당수가 중공과 대만에서 배척된 문학이 번역되는 기형성을 나타낸다. 1950~60년대 외국문학의 번역 및 수용은 냉전검열에 의해 규율되는 일반성을 지니는데, 중국문학의 번역이 가장 불구성을 나타낸 것은 검열의 영향뿐만 아니라 대학제도, 전문학회의 존재와 학술지 발간의 지속성, 대학원을 중심으로 한 학술연구의 재생산기반, 미디어의 관심도 등 제도적 차원의 물적 토대가 허약했던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산물이다. 1960년대 임어당 붐과 루쉰 문학이 냉전반공을 뒷받침하는 사상적, 문화적 자원으로 수용되는 양상도 냉전기 중국문학 수용의 축소, 왜곡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특이하게 냉전기 중국문학의 번역, 수용의 불구성 속에서도 일련의 중국문학사 저술이 하나의 흐름으로 존재한다. 중국신문학에 대한 체계적 서술의 ...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Korean government broke diplomatic relations with Taiwan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Communist China. These actions transformed Koreans’ attitude toward China fundamentally. Behind these turn, there is a difficult history of acceptance of Chinese literature in Cold War Korea. It is a good example that the acceptance of Cao Yu’s “Thunderstorm” in Cold War Korea. Korean approaches to china and acceptance of Chinese literature in Cold War period can’t be just characterized by a binary structure: selecting Taiwan and excluding Communist China. As Korean intellectuals’ continued interest in Mao Zedong shows, what is officially considered excluded had promoted another way to understand China. In 1950s and 60s Korea, relationship with two Chinas was promoted or, conversely, limited by Korean governments’ Cold War controls and diplomatic policies. It was foundations of Asian People’s Anti-Communist League (APACL) in 1954 and Asian and Pacific Council (ASPAC) in 1966 that materialized Korean governments’ Korean-led Asian regional initiative. Though these organizations couldn't be military alliance such as NATO because it would conflict American East Asian policies, it promoted paradoxically Korean 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s with other Asian countries. In 1950s,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aiwan were mostly taken in form of goodwill missions’ Southeast Asia tour held by APACL, these tours are nothing but a ideological solidarity based on Anti-communism and dictatorship. Korean journalism’s discussions on Communist China also followed Cold War antagonism because their sources was very limited and depended on American materials. However, It began a new phase of Korean approach to China in the 1960s. As détente mood has arrived and Park’s Administration began to implement a more Asia-conscious foreign policies, it improved that studies of Communism and Modernization in Asia, especially Communist China. While American private foundations including Ford and Asia Foundations assist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old war networks, it became to broaden transnationally that area of study on Communist China. Koreans’ main interest about Taiwan was shifted from cultural issues to economic issues, focusing issues of Modernization in Taiwan. These changes on way to understand Two Chinas also work translating and accepting of Chinese literature. There are very little Chinese works in world literature anthologies in the late 1950s, and it were just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or Taiwanese writers’ works in them. Koreans didn't think that Chinese literature have significant for world literature a whole. However, Chinese literature was is second only to Anglo-American work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most of them includ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aiwanese wuxia fictions, and some of Taiwanese post-war literature. many of those translations are the excluded works in both Communist China and Taiwan. In 1950s and 60s, Korean translations and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were generally controlled by Cold War censorship, as well as its lack of academical and journalistic infrastructures: related department in high education system, scholarly societies, and academic journals. In 1960s, Lin Yutang’s and Lu Xun’s works were accepted as ideological and cultural materials which support Cold War Anti-communism. Besides Chinese literature were inevitably translated and got acceptation in Cold War context, a series of histories of Chinese literature were steadily published. These works have merits as systemic approach, but generally give Taiwanese literature legitimacy as a successor to Chinese modern literature. It also shows that the boundaries of Korean understanding Two Chinas was limited by Cold War.

      • KCI등재

        1950년대 잡지저널리즘과 문학 - 대중잡지를 중심으로

        이봉범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30 No.-

        This thesis aims to discuss the forms of historical literature used during the 1950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gazine journalism and literature both comprehensively and synthetically. Furthermore, magazines in the 1950s, had more power than the newspaper. Magazines pursued business diversification which aimed at a target class of readers throughout the magazine chains with an individual publication fund. As a result of the magazine's business diversification, rivalry composition in various other fields was settled. Also, because of unlimited cutthroat competition, the public could see the quality alternation within the magazine movement which has shown commercialism has been overwhelmed. Additionally, because the strategy was to maximize commercialization, the popular press began to edit, focusing on literature. The press revealed their intention to exclude poems, properly distribute pure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to specialize popular literature including various genres of literature, and the revitalization of long serial publications. Especially, clearness novel and detective fiction surpassed. Also, since the pure literature magazines were published competitively since the 1950s, the public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ower of literature and the success of enterprises. The latter way was the situation for the pure literature in the 1950s. In this organizational mechanism of the journalism, the literature in 1950s had started to form its own special characters. 이 글은 1950년대 잡지저널리즘과 문학의 관계를 거시적․종합적으로 살펴 1950년대 문학의 역사적 존재방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문저널리즘을 능가하는 문화적 권능을 지녔던 1950년대 잡지는 개인적 출판자본이 잡지연쇄를 통해 목표독자층을 겨냥한 경영의 다각화를 추구함으로써 잡지의 분업화․전문화가 촉진된다. 그로 인해 분야별 경쟁구도가 정착되고 무제한적 출혈경쟁을 벌임으로써 잡지의 운동방식에 질적 변화, 한마디로 상업성이 압도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그 결과 종합지, 문예지의 제한된 독자층과 뚜렷이 구별되는 지역, 연령, 직업을 초월한 광범한 독자층을 포섭한 대중지가 잡지시장을 주도하게 된다. 대중지가 상업성의 극대화를 위한 전략으로 문학중심의 편집노선을 택하는데, 그것은 시의 배제, 순수문학과 대중문학의 적절한 안배, 대중소설의 다양한 장르적 분화, 장편연재의 활성화로 현시된다. 특히 명랑소설과 탐정소설이 압도적이었다. 대중지의 연재물은 단행본 형태로, 영화로 일반대중들에게 거듭 수용됨으로써 그 실질적 영향력은 광범위하고 지속적이었다. 라디오․텔레비전과 같은 매스미디어의 보급이 열악한 1950년대 상황에서 대중지가 매스미디어의 주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1950년대는 순문예지가 경쟁적으로 출현해 문학적 권위의 확립과 기업적 성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 경쟁은 문학상의 획기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가운데 문학이 신문예속성을 탈피해 독자적 영토를 확보하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한다. 순문예지를 당대 저널리즘 전체 지형에서 접근했을 때 문예지의 존재방식을 규정한 것은 확산일변도에 있던 대중문학 세력이었다. 순수문학론자들의 힘이 미치지 않는 저널리즘을 거점으로 증식된 상업적 대중문학의 위협에 순수/대중문학의 위계적 관계를 극단화하면서 순수문학의 견고한 성채를 고수하거나 아니면 극단적 혐오와 부정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1950년대 순수문학의 현주소였다. 이와 같은 저널리즘의 구조적 역학관계 속에서 1950년대 문학의 독특한 지형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1950년대 문화 재편과 검열

        이봉범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한국문학연구 Vol.0 No.34

        1950년대 문화재편은 문화변동의 차원에서 한국전쟁이 야기한 사회문화적 변화의 급격함과 문화접변의 차원에서 미국문화의 영향 그리고 국가의 근대화 기획에 의해 추동되었다. 특히 한국전쟁을 통해 내부 평정작업을 완수한 국가권력은 시민사회에 대한 막강한 자율성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문화 통제력을 확보하고 문화를 통한 지배체제의 안정적 재생산을 도모한다. 그 문화 통제의 중심에 검열이 존재한다. 1950년대는 문교부를 중심으로 일원화된 검열체계가 존재했으며, 그것은 통제와 아울러 문화 육성이라는 모순적인 작동을 보여준다. 유한한 자원을 국가가 선별적으로 배분하는 것을 통해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문화주체들의 권력 투쟁을 야기하면서 문화 통제력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문화영역은 정치영역과 달리 무리한 검열을 동원하지 않아도 일정 정도 통제가 가능한 대상이었다. 1950년대 검열이 겨냥했던 일차적인 목표는 사장 통제였다. 반공주의와 반일주의를 기제로 엄격하게 시행된 검열로 인해 1950년대 공론 장에서 반공 이외의 담론의 철저한 봉쇄와 자유, 민주, 교양과 같은 근대적 담론의 과잉을 동시에 초래했다. 근대담론의 총량적 증대는 일반대중들의 근대적 욕망과 교차되면서 사회 전반에 새로운 문화적 분위기를 조성한다. 그리고 ‘폐쇄적 개방’의 담론 지형이 야기한 풍선효과 는 탈정치적인 대중물의 번성으로 나타난다. 검열은 공식문화와 대중문화를 극단적으로 분할하여 양립시키는 역할을 했다. 요컨대 검열은 1950년대 한국문화를 새롭게 재편시킨 핵심적인 기제였다. Culture reorganization in 1950s was driven by two aspects. One, in the aspect of culture change, was sudden sociocultural changes caused by Korean War, the other, in the aspect of culture assimilation, included the effects of American culture and national modernization plans.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ontroling over civil society, national power which completed pacification through Korean War restricted the culture and tried to establish stable control system through it. In the center of culture control did censorship exist. We had unified censorship system in 1950s whose center w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The censorship system played a contradictory role of controlling and developing the culture at a time. The nation distributed limited resources selectively, which had culture control maximized, causing a struggle for power. Thus, the area of the culture could be controled in some degrees without censorship by force contrary to that of politics. In 1950s, the primary object of censorship was to restrict ideologies. Strictly conducted censorship on the basis of anti-Communism and anti-Japanese banned any discourses except anti-Communism in a place for public opinion and overflew modem discourses such as liberty, democracy, and cultivation. Meeting people's modem desires, increasing modem discourses made new cultural atmosphere in the whole society. Balloon effect caused by 'closed opening' in discourses gave birth to prosperity of the post-political popular stories. In short, censorship played the role to divide and stand together official culture and popular culture. It was censorship that made the koran culture newly reorganized in 1950s.

      • KCI등재

        해방공간의 문화사-일상문화의 실연(實演)과 그 의미

        이봉범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6 No.-

        This script grasps an aspect of the liberation cultural history in the liberation period by reconstructing reportage about the new cultural symbol and ordinary customs created upon the liberation. Seoul street that we can ascertain by reconstructing the reportage is quite different with active one, we used to imagine and evaluate, that had political passion for the democracy revolution based on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That was chaos in where the survival will and the desire for a solution for the problem of daily food, clothing and shelter had been spreaded plainly, pondering on the disappoint and indignation on the idea - It's worse than the Japanese reign. The cultural symbol and ordinary customs of Seoul street that had been expressed as a confusion, an illusion and self-contradiction show the real world of chaos that bears down the fictions. That was a inevitable poisonous glass of the liberation that liberated Jo-sun should take under the conditions-politician than economy and production than consumption. We should regar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ted Jo-sun based on this period have been inclused in that chaos enacted dissoluteness, corruption, pleasure and depravity. That was a heavy explosion against the extreme persecution of the Japanese on economy, ideas and pleasure. And that was a revelation of confirmed resignation of the general public because of a distortion on economy and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infection of westernism in noninterference policy. On the other hand, That was an inevitable poison flower of the framework of society, called Capitalism, that liberated Jo-sun had been moving toward. In addition, because there were not official rules and logics required institutionally when a society change, not only life customs, but also whole ordinary culture had been expressed as confusion connoting multiplicity. But We should pay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re were public desires to be reborn widely as the core of the brand new history, dreaming 'the independence' through the liberty in the gap between liberation and independence beyond the chaos. They were not frivolous pseudo liberalists who misused and dealt secretly their liberty. 이 글은 8ㆍ15 해방을 계기로 새롭게 조성된 문화적 표상과 일상적 풍속에 관한 당대 르포르타주를 재구성해 해방공간 문화사의 일면을 파악하고자 했다. 르포의 재구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서울의 거리는 우리가 상상하고 평가해왔던 반제반봉건 민주주의혁명의 정치적 열정이 가득한 역동적인 서울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왜정 때보다도 못하다’는 실망과 분노를 곱씹으며 그날그날의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존의지와 욕망이 적나라하게 펼쳐진 카오스의 공간이었다. 혼란과 미망 때로는 자가당착적인 희극으로 표출된 서울거리의 문화적 표상과 일상적 풍속은 픽션에서나 가능한, 그 어떤 픽션도 제압하는 카오스의 현실세계를 역연하게 보여준다. 그것은 경제보다는 정치가, 생산보다는 소비가 압도하는 해방 조선이 겪을 수밖에 없는 해방의 불가피한 독배였다. 방종, 퇴폐, 향락, 타락으로 규정되는 그 카오스에는 해방조선의 시대성이 깊이 각인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일제의 경제, 사상 기타 오락 향락방면의 극심한 핍박에 대한 반동의 격렬한 폭발이었고, 자유방임정책에 따른 서구적 풍조의 전염과 해방 후 경제 및 정치상황의 왜곡에 따른 대중들의 만성화된 체념의 발현이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해방조선이 향해 가고 있는 자본주의라는 사회구조의 필연적인 독화였다. 게다가 사회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공식적인 규칙과 논리가 제도적 형태로 존재하지 못한 관계로 생활풍속 뿐만 아니라 일상적 문화전반이 다양성을 내포한 미정형의 혼란으로 표출된 것이다. 하지만 그 카오스의 저변에 해방과 독립의 간극 속에서 자유를 통해 ‘해방’을 꿈꾸며 새로운 역사의 주체로 신생하고자 했던 대중들의 욕망들이 광범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자유를 남용하고 해방을 밀매하는 부박한 사이비자유주의자가 아니었다. 지배와 저항, 파괴와 생성, 자유의지의 능동적 실현과 예속화가 모순적으로 현출된 해방공간의 역동적인 카오스, 그 해방의 드라마가 내포한 역사적 전망이 무엇이었는가는 문화담론 및 표상체계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더불어 새롭게 논구돼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

        검열의 내면화와 그 정치적 발현-1960년대 보수우익문학의 동향을 중심으로

        이봉범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The paper is focusing on the trend of conservation literature which is inseparable from that of anticommunism in 1960’s. As regulation and control through cold war anticommunism were strengthened in this period, anticommunism development mobiliz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new literature tendency appeared and authorization struggle lively unfolding situation, conservation literature came to face a crisis. In these conditions, conservation literature adopted the way to strengthen a close relationship with power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real power and firming symbol power through taking exclusive possession of history of literature. Its’ strategy to protect vested rights through collusion with power was straightforward more than before. This is supported by two representative examples, publishing ‘new nation library’ to concretize literarily ‘nation education constitution’ and planning ‘Korea war literature complete collection’ to re-monopolized cold war anticommunism. The former shows clearly how literature came to be politics way. Through this, we can find internalizing censorship actively and having literature a political means are other features of conservation literature. 이 논문은 1960년대 반공주의의 동향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보수우익문학의 동향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1960년대는 냉전적 반공주의를 통한 규율과 통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반공개발동원체제가 구축되고 다른 한편으론 새로운 문학조류가 등장해 인정투쟁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국면에서 보수우익문학은 위기에 직면한다. 이런 위기상황에서 보수우익문학은 문학사 전유를 통한 상징권력의 공고화와 현실권력에의 능동적 참여를 통해 권력과의 유착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해갔다. 그 과정에서 권력과의 야합을 통해 기득권을 수성하고자 하는 전략이 한층 노골화된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국가주의 강령을 담아낸 ‘국민교육헌장’을 문학적으로 구체화한 <새국민문고>의 발간과 냉전적 반공주의를 재전유해 낸 <한국전쟁문학전집>의 기획이다. 전자는 문학의 정치도구화가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경우로, 이를 통해 검열의 적극적인 내면화와 문학의 정치적 도구화가 보수우익문학의 자웅동체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후자는 선악 이분법에 기초한 냉전반공논리를 확대 강화하는데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배체제에 보수적으로 순응하는 경우로, 이를 통해 냉전적 반공주의와 순수문학이 표리일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체험적 서사와 역사적 진실성

        이봉범 반교어문학회 2007 泮橋語文硏究 Vol.0 No.23

        The paper is focusing on considering Oh Yoo-kweon's short stories in the view point of representing experience in works. Through this, we intend to give the right position suitable for Oh Yoo-kweon, who has been unknown writer,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is truly reflecting experience in a story that is the core of his short stories, which is really rare case. His novels, which are based on experience, portray historical changes and farmers' lives in the postwar rural society in the viewpoint of people. His works can be separated into three division- works showing lives of farm lower class and its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portraying the tragedy of the war in the post-clod war sight, and dealing with country women's lives and willingness. Especially, the work called 'Poor Brothers' is regarded invaluable. The reason is that it is the first postwar work describing not only that monopolistic capital in home and abroad controled agriculture, but also that distorted division of the farm class caused class specialization in 1950's through lives of workers. In addition, the work represents farmers' conscious awakening and subjective resistance against contradictory reality. In a word, his short stories, different from the trend of postwar literature subsided abstract universalism, show the possibility of realism literature concretely. At the same time, they make peasant literature tradition broken during the war restored and renewed. In these aspects, his short stories are considered crucial in literature history. 이 논문은 체험의 형상화라는 관점에서 오유권의 단편소설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 미지의 작가였던 오유권을 문학사적으로 복원해 정당한 자리매김을 하고자 했다. 오유권 소설의 핵심은 체험의 진실한 반영에 있다. 체험과 작품이 표리일체를 이루는 희귀한 사례이다. 체험에 의거한 그의 소설은 전후 농촌사회의 역사적 변화와 농민적 삶의 실상을 민중적 관점에서 탁월하게 재현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는 농촌하층민의 생태와 주체적 자각을 형상화한 작품, 전쟁의 비극을 탈냉전적 시각에서 조명한 작품, 촌부의 신산한 삶과 의지를 다룬 작품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히 <가난한 형제>는 국내외 독점자본의 농업지배와 왜곡된 농민층분해로 야기된 1950년대 농민층의 계층적 분화를 임노동자의 생태를 통해 묘파하고 있으며, 나아가 그들의 의식적 각성과 현실모순에 대한 주체적 저항의 맹아를 보여준 전후 최초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요컨대 오유권의 단편소설은 추상적 보편주의에 함몰됐던 전후문학의 주류적 경향과 달리 리얼리즘문학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시현하고 있으며, 전쟁을 겪으면서 단절되었던 농민문학의 전통을 복원하고 갱신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반공주의와 검열 그리고 문학

        이봉범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systems and the aspects of the literature censorship throughout the relationship of anti-communism, censorship, and literature. Censorship aims at the internalization of censorship as well as the violent suppression as the systematic device for reproducing stable control organization effectively. It is used systematic-ally and officially in various ways.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the two-mechanism of ideology and national security law-complemented each other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censorship was conducted all over the society as the form of violence. Thus the freedom of idea, conscience, and expression meant to accept and obey ultra-rightists anti-communism system or to cooperate in the system. Under this system, literature had to be censored several times for going into the society. The formal and informal censorships like internalized self-censorship by punishment-temptation system, censorship of media, censorship acted by private autonomous organizations, the violence of suppressive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so on were conducted in all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enjoyment of literature. And the only literary works passing through censorship could be accepted as lawful publications. The very things to show most the violence of censorship in literate are prohibited books and serious slip of the pen. The prohibited books have been made constantly since the liberation from Japan. This shows that censorship was done to effectively achieve the political purpose rather than to prevent leftist powers from spreading, when considering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formation of ultra-rightists of anti-communism system in 1948 and the perfect destruction of leftist powers. More directly censored serious slip of the pen not only showed the guideline of lawful expression but also made people recognize anew how literature against dominant ideology was oppressed. It led to forced selection and, at least, passive same opinion by silence. In other words, the serious slip of the pen was the most effective device to censor literature. 이 논문은 반공주의와 검열 그리고 문학의 관계를 통해 해방 후 문학 검열의 체계 및 양상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국가권력이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효과적으로 재생산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인 검열은 폭력적 억압이라는 강제와 동시에 피지배자들을 지배의 동의체계 속으로 포획·순치시켜 검열을 당연시하고 자발적으로 검열케 하는 검열의 내면화를 겨냥한다. 내면화된 검열과 이에 기초한 타자에 대한 검열이 현실에서 광범하게 비가시적으로 작동케 하는 것이 검열의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지점이다. 그것은 다양한 기제를 통해 제도적으로 또 공식적으로 행사된다. 해방 후 한국사회에서는 반공이라는 이데올로기적 기제와 국가보안법이 상호보완을 이루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검열이 폭력적인 형태로 자행되었다. 1948년 극우반공체제가 구축되면서 배타적인 권위를 획득한 반공이데올로기는 이후 냉전체제 및 분단구조와 악순환의 관계를 통해 확대재생산되어 "수상-불순-좌익/좌경-친북-용공-간첩"이라는 반공주의의 자동적 조건반사의 회로판을 작동시키게 되고 나아가 한국사회 전반을 사상색맹증의 도가니에 갇히게 만든다. 교육과 언론매체 또한 반공주의의 확대재생산에 기여했다. 그리고 반공은 그 자체로 논리적 체계를 갖춘 이데올로기라기보다 그 어의처럼 대타성을 본질로 하면서 존재·작동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그것의 대립적 실체를 끊임없이 재생산하여 사회내부의 적으로 규정해야 하는데, 그러한 상징조작을 제도화하는 효과적인 법적 장치가 필요했고 그 중심에로 국가보안법이 존재한다. 따라서 국민들에게 주어진 사상·양심·표현의 자유란 극우반공주의체제를 인정하고 그 체제에 순응하거나 또는 체제 내에서의 협력을 전제로 하는 것이었다. 이런 체제 하에서 문학은 이중삼중의 검열을 거쳐 사회적으로 소통 가능했다. 처벌-유인시스템에 의한 내면화된 자기검열, 매체의 검열, 민간자율기구의 대행적인 검열, 억압적 국가기구의 폭력 등 문학의 생산-유통-향유의 전 과정에 공식적·비공식적인 검열이 작동했으며 그 과정을 통과해야만 비로소 문학작품은 합법적인 출판물이라는 사회적 승인을 받을 수 있었다. 문학에서 검열의 폭력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부분은 금서와 필화이다. 금서 혹은 이적표현물은 해방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양산되는데, 이는 1948년 극우반공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좌익세력의 완전 괴멸이 이루어진 역사적 상황을 감안할 때, 좌익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보다 정략적인 목적(정권안보)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차원에서 검열이 행사되었음을 말해준다. 직접 검열의 칼날이 가해지는 필화는 합법적인 표현의 가이드라인을 보여줌과 동시에 지배이데올로기에 반하는 문학이 어떤 탄압을 받게 되는가를 재인식시키는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그것은 선택을 강요하는 것이며 적어도 침묵에 의한 수동적 동의를 유인하는 것이었다. 즉 필화는 문학 검열의 효과가 가장 강력하게 발휘되는 지점인 것이다.

      • KCI등재

        상허학회가 걸어온 길과 이태준 연구의 전망

        이봉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article was written as part of an academic conference to commemorat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Sanghur Society. I reviewed meaningful academic practices in the course of the Sanghur Society and sought ways to critically develop their unfinished achievements. I suggested two things. First, there is a need to reset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the societ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existence and society functions of the society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nfusion of the society and the deepening asymmetry betwee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researchers. The society and the researcher are one body. At the external leve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adjusting the society environment centrally, while seeking a method to protect and enhanc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researchers. It is a time when efforts to find a way out are urgently needed as the field of academic activities is drastically reformed, includ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 Open Access movement. Reorganization of society activities focused on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improving the editorial system of academic journals,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academic solidarity based on academic publicity. Second, as the prospect of Lee Tae-joon’s literature research, an integrated south korea labor party affiliation literary study was proposed. It is necessary to take Lee Tae-joon’s research, which has been practiced for 30 years by the Sanghur society, to restore the reality of the south korea labor party affiliation literature centered on Lee Tae-joon, to dismantle the widow of the Cold War division, and to start research on inter-Korean integrated literary history again. It is the mission given to us by the history of literature to restore the unrestored things that have passed through 40 years of exclusion and prohibition and 30 years of lifting. 이 글은 상허학회3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상허학회의 역정에서 의미 있는 학문적 실천들을 개관하고 그 미완의 성취를 비판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봤다. 두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 학회의 정체성과 그 기능을 재설정할 필요성이다. 학회의 난립과 한국연구재단/학회·연구자 간 비대칭성의 심화 등 여러 내·외적 요인으로 말미암아 학회의 존립 및 그 학술적 기능을 수행하기가 곤란한 형편에 처한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학회와 연구자는 한 몸이다. 대외적인 차원에서 학술 환경을 우리 중심적으로 조정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연구자의 권익을 보호·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적 모색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오픈 액세스(OA)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비롯해 학회활동의 영역을 과감히 쇄신하는 가운데 활로를 찾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학술대회 개최, 학회지 발간으로 치중된 학회 활동의 개편, 학회지의 편집체제 개선, 학술의 공공성에 기초한 학회 연대의 실질적 지향 등. 둘째, 이태준문학 연구의 전망으로 남북통합적인 남로당계 문인(학) 연구를 제안했다. 상허학회가 30년간 실천해온 이태준 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켜 이태준을 구심점으로 한 남로당계 문인(학)의 실체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냉전분단의 미망을 해체하는 동시에 남북통합적인 문학사 연구를 다시금 시작할 필요가 있다. 배제 및 금지의 40년, 해금(제)의 30년을 관통하고 있는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복원(권)하는 일은 문학사가 우리에게 부여한 소명이다.

      • KCI등재

        1950년대 문화정책과 영화 검열

        이봉범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한국문학연구 Vol.0 No.37

        In the 1950s, various kinds of Culture Policies were used for planning the stabilization of control system by the media of culture. The basis of Culture Policies has many contradictories within the Control of Culture and Rearing of Culture, this shows the character that it was diverted into an active and positive way in 1955 as a cardinal point. It has been possible throughout various kinds of institutional drafting that were related to culture as well as structured readjustment of Cultur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ambilaterality of Culture policies prescribes the basis, the direction and the functioning of censorship. The crux of the matter was to strengthen the ideology censorship as the core of anticommunism censorship and antiJapannism censorship. In addition, the customs censorship corresponded to the establishment of people's morality on the rise. The spirits development had circumstances that were needed to promote the postwar rebuilding work which was to provide further strengthening as well. According to Amendment of the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he film censorship had become legitimate at the moment that the education ministries managed film affairs. When movies were produced, the planning step, the production step, the approval step, and the screening step were regulated directly and indirectly. Particularly, the conflict between corrector and receiver who were concerning the matter of the official authority of the education ministries as various enforcement ordinances were taken effect excessively couldn't help becoming serious because there wasn't the film law on the censorship of the production step. Throughout the screening suspension of “PIAGOL”, it had been verified that the Film censorship of the education ministries didn't exercise its own hegemony directly in substance on the ideology censorship. In addition, this paved the way for the film censorship to have organized flexibility, thus causing the conflict dually between the state power and the film subject on censorship as well as the process of the film censorship. In brief, the film censorship after the war was the core institutional provision which regulated the historic existence way of an art film of the time comprehensively when the foreign film import restriction and home production film promotion were mingled. 1950년대는 문화를 매개로 지배체제의 안정적 재생산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문화정책이 구사된다. 문화정책의 기조는 문화 통제와 육성의 모순성을 지녔는데, 그것이 1955년을 기점으로 적극적ㆍ공세적인 방향으로 전환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것은 문화행정기구의 체계적 정비, 문화관련 각종 제도적 장치의 입안을 통해서 가능했다. 문화정책의 양면성은 검열의 기조와 방향 그리고 작동양상을 규정한다. 그 핵심은 반공주의검열 및 반일주의검열을 핵심으로 한 사상검열의 강화이다. 아울러 전후재건사업의 추진에 필요한 기풍조성의 차원에서 대두된 국민도의의 확립과 상응한 풍속검열도 한층 강화된다. 영화검열은 정부조직법의 개정에 따라 문교부가 영화 사무를 관장하게 되는 것과 동시에 본격화된다. 영화는 기획단계, 제작단계, 허가단계, 상영단계 모두에 검열의 직간접적인 규정을 받는데, 특히 허가단계의 검열은 ‘영화법’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각종 시행령이 남발되면서 문교부의 직권문제를 중심으로 한 검열자와 피검열자 간의 갈등이 고조될 수밖에 없었다. 『피아골』 상영중지사건을 통해서 문교부의 영화검열이 사상검열에 있어서는 실질적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영화검열의 작동과정에서 검열을 둘러싼 국가권력과 영화주체, 영화주체 간의 갈등이 중층으로 야기되면서 영화검열 장이 탄력적으로 조정되어 가는 계기가 마련된다. 요컨대 전후 영화검열은 외국영화수입 제한과 국산영화 진흥의 교차 속에서 당대 영화예술의 역사적 존재방식을 거시적으로 규정한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