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전광역시민의 최근 금연정책에 대한 의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이보우,박지현,김현주,이무식,이진용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2 No.4

        Background: The anti-smoking policy in Korea has been recently focusing on reducing the harmful effects of tobacco smoke pollution by establishing smoking bans or restri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regarding this current policy. Methods: A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by Gallup Korea involving 1,200 adult residents (older than 19year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Area. The number of respondents included in the assessment was 1,013people (sampling error: ±3.1% in 95% confidence interva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main categoriesgeneral characteristics, knowledge and attitude of tobacco smoke pollution, agreement on non-smoking area designation of 9 public facilities, and opinions for imposing smoking fines. We conducted the Pearson’s chi-square test to identify the different opinion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ll statistic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8.0K.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the risks of tobacco smoke pollutio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smokers (79.0%) were less likely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obacco smoke pollution than non-smokers (94.7%) (P<0.001). In regard to their opinions for designating outdoor non-smoking areas, both groups agreed that designating non-smoking zones for children is the most important. Lastly, regarding the imposing of smoking fines, smokers were less supportive (58.3%) of the policy than non-smokers (92.2%) (P<0.001).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urvey, establishing non-smoking zones for children is the top priority of all non-smoking public areas, followed by restaurants, bus stops, and parks. For a successful non-smoking policy in public facilities,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smokers is required. Therefore,we should make every effort to educate smokers focusing on public relations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tobacco smoke pollution. 연구배경: 최근 우리나라의 금연정책은 실외 공공장소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함으로써 간접흡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민을 대상으로 최근 금연정책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를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파악하기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전화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최종 응답자는 1,013명이었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간접흡연 피해에 대한 인식, 실외 금연구역 지정 대상, 과태료 부과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흡연자와 비흡연자로 나누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접흡연의 폐해에 대한 지식정도는 흡연자(85.5%)와 비흡연자(87.0%)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이지 않았다(P=0.616). 본인이 생각하는 간접흡연의 심각성에 대해 흡연자는 79.0%만이 동의한 반면 비흡연자는94.7%가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P<0.001). 9개의 대표적인 실외 공공장소에 대한 금연구역 지정에 대한 찬반의견을 조사한 결과 어린이 보호구역을 금연구역으로 선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98.5%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 음식점/식당 94.2%, 버스/택시 정류장 89.9%, 공원/놀이터 87.0% 순이었다. 9개 공공장소 모두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의 찬성률이 낮았다(P<0.05). 과태료 부과에 대해 흡연자 그룹은 58.3%만이 찬성하였고 비흡연자그룹은 92.2%가 찬성하였다(P<0.001). 결론: 실외 금연구역을 지정하는 데 있어 어린이 보호구역을 최우선 대상, 음식점/식당, 버스/택시정류장, 공원/놀이터를 우선 지정 대상으로 하고 향후 실외 금연구역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실외 금연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려면 흡연자들의 협조와 참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그들이 간접흡연의 심각성과 공공장소에서의흡연이 다른 사람의 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을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홍보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과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의 보건소 이용 만족도에 관한 융합연구

        이보우,이영주,장선주,김창규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2

        This study divided 409 local residents in G city of Gyeongsangbuk-do into urban area and rural area,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with using public health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4 people who had experience using public health centers among 409 people. In rural areas, satisfaction with general care, oriental care, dental care, physical therapy, examination, and vaccination was low.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rove facilities so that smooth public health services can be provided to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health care policies to resolve medical inequality betwee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이 연구는 경상북도 G시의 지역주민 409명을 대상으로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보건소 이용에 대한 만족도와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건강사업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09명의 대상자 중 보건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84명을 대상으로 보건소 진료에 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일반진료, 한방진료, 치과진료, 물리치료, 검사, 예방접종 등 모든 분야에서 농촌지역의 만족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주민에게 원활한 공공의료서비스가 제공 될 수 있도록 시설 확충 및 개선이 필요하며, 도심지역과 농촌지역 간의 의료 불평등 해소를 위한 보건의료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것 이다.

      • KCI등재

        원자력안전법 수시출입자 안전관리체계 개편에 대한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의 융합적 인식 연구

        이보우,김창규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6

        This study will examine the awareness of students in radiology who have applied the reorganiz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frequent visitors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the Nuclear Safety Act. A survey was conducted on 175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t K University. 98.1% of th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90.3% in the third grade, and 97.7% in the fourth grade were recognized as need to be classified as person with frequent access by the Nuclear Safety Act. Limiting the operation of radiation equipment in radiography practice is a regulation that violates students' right to learn, and it is necessary to enact an exception rule for learning so that the right to study is not violated. 이 연구는 원자력안전법 개정에 따른 수시출입자 안전관리체계 개편이 적용된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K 대학교 방사선학과 재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원자력안전법에 의해 수시출입자로 분류되어 관리를 받을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재학생은 2학년 98.1%, 3학년 90.3%, 4학년 97.7%로 나타났으며, 수시출입자로 구분되어 촬영실습의 조작에 제한을 받는다는 재학생이 2학년 96.3%, 3학년 74.2%, 4학년 93.2%로 나타났다. 방사선촬영실습에서 방사선장비를 조작하는데 제한을 두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규정으로 학습에 대한 예외규정을 제정하여 학습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것 이다.

      • KCI등재

        방오성 복합막의 막생물반응기에 대한 영향

        이보우,이선우,라즈쿠마 파텔 한국막학회 2020 멤브레인 Vol.30 No.1

        막 생물 반응기(MBR)에서, 활성화 된 슬러지는 생물학적 성분을 분해하고 막 공정은 이 부유 물질인 박테리아를 분리시킨다. 그러나 MBR에서의 주요 문제는 ‘막 오염’이다. 이 리뷰에서는 ‘막 오염’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시된 ‘복합막’을 논의하고 있다. ‘복합막’은 탄소 또는 비탄소 재료 포함하는 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복합막의 친수성은 그래핀, 산화그래핀 (GO) 및 탄소 나노 튜브 또는 그들의 변형 된 부분을 깨끗한 막에 도입시킬 때 향상된다. 이산화규소(SiO2) 또는 이산화티타 늄(TiO2)과 같은 무기 물질 또한 막의 물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합막 형성에 통합된다. In membrane bioreactor (MBR), activated sludge degrade the biological component and membrane process separate this bacterial flocks as well the suspended solids. However, membrane fouling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MBR. In this review, composite membrane used in MBR to overcome fouling is discussed. It is classified into membrane containing carbon and noncarbon materials. Introducing graphene, graphene oxide (GO) and carbon nanotubes or their modified part into pristine membrane enhance hydrophilicity of the composite membrane. Inorganic materials like silicon dioxide (SiO2) or titanium dioxide (TiO2) are also incorporated for preparing composite membrane to increase its water flux.

      • 신용카드의 경쟁정책에 대한 소고

        이보우 한국공정경쟁연합회 2003 경쟁저널 Vol.- No.89

        신용카드산업에 대한 경쟁정책은, 변형된 과점상태의 시장이라는 특성이 심도 있게 고려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용카드시장의 pricing이 상대적 비탄력성 등으로 인해 야기하는 담합의 문제는 엄격하고 객관적인 정황증거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과점시장의 가격일치는 의식적 병행행위(conscious parallelism)로 생성된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러한 단순한 행위에 대하여는 합의를 추정할 만한 정황증거가 없는 한 위법이 아니라는 견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에 그러하다.

      • Synthesis of Bio-derived Poly(ketal-ester) Using Dual-Acidic MOF Catalyst

        이보우,서진영,최정규,백경열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The substitution of petrochemical commodities into Bio-derived polymer has been attracting great attention to deal with depletion of fossil-fuel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turn, the Levulinic acid (LA), which could be easily produced from glucose, was researched for platform material in bio-refinery. However, two different functional group in LA (carboxylic acid and ketone) cannot be directly polymerized, it requires two kinds of competitive chemical reaction (ketalization and esterification) with tri-ol. To secure high molecular weight, and well defined polymer from LA, the reactivity balance between ketalization and esterification was critical, but it cannot be achieved by conventional catalysts. In this study, we strategically design site-isolated dual-acidic catalyst with Brønsted acid and Lewis acid. The dual functional catalyst present high selectivity in ketalization, and well-defined linear polymer with high molecular weight was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