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 일본 · 중국 3자 전쟁 모델 : 패권이론에 의한 역사성과 교훈

        이병희(Rhee Byoung-hee)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1

        이 글은 동북아 3국 체계에서 전개된 전쟁 - 백강구 전쟁, 동정, 임진왜란, 청일전쟁 - 을패권전쟁으로 가정하고, 비교 역사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한국을 비패권국, 중국과 일본을 패권(항쟁)국으로 정의하고, 동북아 국제체계의 역사에서 일반이론으로서 패권이론을 적용하려고 하였다. 필자는 이 전쟁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규칙성과 반복성을 찾았다. 첫째, 한국사의 고대, 중세, 근세, 근대라는 국면에서 한 차례 씩 일중전쟁이 터졌다. 둘째, 중국과 일본이 한국을 침략한 것은 한국에 대한 패권강요 혹은 한국의 패권거부와 관련이 깊다. 셋째,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상태는 패권국가의 것과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한반도의 점령 혹은 한반도의 자신의 영향권으로의 편입은 동북아시아 국제체계에서 패권의 상징을 의미하였다. 다섯째, 일중전쟁의 주기성과 반복성을 지적할 수 있었다. 여섯째, 동북 국제 체계 구성원들 사이의 힘의 균형은 동북아 질서의 불안정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동북아 국제체계에서 한국은 패권국 중국과 일본을 각각 은혜적 패권과 악의적 패권으로 분류하는 경향을 보인다. 4건의 전쟁분석에서 일반이론으로 패권이론을 적용할 수 있다면, 냉전시대와 탈냉전시대의 추세를 다음과 같이 짐작할 수 있다. 다양한 모델을 적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래 동북아 국제체계의 안정의 필요조건은 힘의 균형이 아니라 안정적인 패권국가의 등장이고, 현존의 한반도 분단과 남북한관계 불안정의 일차적 원인에도 같은 논리를 적용할 수 있다. The article seeks to analyse four Japan-China Wars - the War of Paekang'gu, Mongol invasion on the island Kyushu,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Sino-Japanese War - in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System in the light of hegemonic stability general theory. My basic assumption of this study on Japan-China Wars is that these wars as hegemonic wars not only involve the rivalry and the clash between declining hegemonic state and ascending challenger but also determine the nature, order and stability of the system. It finds the distinctive repetitive and cyclical elements of four hegemonic wars. Firstly, Each phase of Korean History - ancient era, middle age, near modern age and modern age - Japan--China War broke out one time. Secondly, The Causes of foreign invasion of Korean Peninsula were her negative attitudes towards contesting hegemonic powers especially the strong hegemonic state: Japan and China. Thirdly, the stability and peace in Korean Peninsula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the Hegemonic state. Fourthly, the occupation of Korean Peninsula or Korea's falling in another's 'sphere of influence' is the symbol of the Hegemonic state. Fifthly, Japan-China wars were to bound to repeat itself in cycles. Sixthly, the balance of powers in the East Asia is the main cause of instability and hegemonic war. Lastly, Korea tends to regard China as beneficiary hegemony but Japan as coercive hegemony. It also finds that in the forming period of post-cold war era, the four hegemonic wars can give us its historicity and lessons.

      • KCI등재

        모스카의 정치계급 이론: 변천과정과 의의

        이병희 ( Rhee Byoung-h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지역과 세계 Vol.41 No.2

        이 글은 모스카의 고전적 <정치계급> 이론의 변천 과정을 추구하고 그 의의를 파악하고 있다. <정치계급> 이론의 핵심은 두 계급의 인간만이 있다는 것이다. 즉 <정치계급>과 피지배계급이다. 하지만 모스카는 청년기, 장년기와 노년기를 거치면서 의회정치의 중요성, 혼합정체의 옹호, 민주적 원칙과 귀족적 원칙에 의한 엘리트의 순환과 선발, 사회세력들의 균형과 법에 의한 지배, 정치계급의 억제 등을 옹호함으로써, 정치계급이론의 한계와 모순성도 뚜렷이 보여준다. 이런 모스카의 <정치계급> 이론의 진화에서, 엘리트 이론이 수정·발전될 수 있는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자유 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도 사실이다. 냉혹한 <정치계급>에서 출발한 모스카 정치이론의 진화는 우리에게, 민주주의에 대한 현실적·상대적 견해를 내놓고 있으며, 민주주의 혹은 사회주의의 이상에 취한 미몽(迷夢)에서 우리를 깨게 한다. 그래도 민주주의와 지유주의, 의회정치를 수용하게끔 해 준다. 사회주의는 아닐지라도 말이다. 오늘날 모스카는 <정치계급>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정치계급>과 민주주의가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적· 다원적이며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좌파와 우파를 넘어설 수 있게끔 한다. 모스카의 <정치계급>이 소수지배의 필연성을 제시하기기보다는 정치현상 -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의회정치, 엘리트주의 - 을 설명할 수 있는 지침이며, 동시에 그 의의와 한계를 밝혀 낼 수 있는 유익한 도구역할을 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the changing phases and the significance of Mosca`s political class theory. The essence of the political class theory is that only two classes of people exist. One is the political class and another is the governed class. During his lifetime, Mosca shows us the limits and contradictions of his political class theory. So we can trace the importance of parliamentary system, the advocacy of mixed constitution, the selection and circulation of the elite in terms of democratic/autocratic principles, the rule by law, the balance of social forces and deterrence of the political class in democracies etc. This evolutionary process of the politica l class in Mosca makes us confirm the elements that can be corrected and developed. So we can gain an insight into not only the significance of the political class but also the relative and realistic view of modern democracy. Nevertheless, this process allows us to accept democra cy as good constitutions and to enlighten us on the illusion about democracy (socialism). Mosca` s political class could setup a guidelines to explain the political phenomena - democracy, sociali sm, parliamentarism, elitism and oligarchy - and play a constructive role to understand their significance and limits rather than the inevitability of the minority rule.

      • KCI등재
      • KCI등재

        파레토의 행위 이론: 개관

        이병희 ( Byoung Hee Rh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4

        이 글은 파레토의 대저 『일반사회학』에 바탕을 두어 그의 비논리적 행위를 분석하고 있다. 파레토 이전, 루소와 마르크스, 칸트, 헤겔, 벤담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상가들은 3개의 수레바퀴 ― 오로지 존재하는 것이란 수레바퀴, 무엇이 되어야만 하는가란 수레바퀴, 그리고 예언자들이 말하는 미래에 무엇이 될 것인가란 수레바퀴 ― 가 달린 수레를 끌었지만 우리를 객관적 지식과 경험의 세계로 인도하지 못하고 삐걱삐걱하였다. 탁월한 파레토는 자인(Sein)이란 하나의 수레바퀴만 달린 수레를 끌고 우리를 지식과 경험, 과학의 세계로 명쾌하게 이끌고 있다. 인간 심리인 감정과 본능 그리고 파생과 잔기에 근거한 그의 비논리적 행위 이론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부터 20세기 이르는 역사적 사건을 실증적 자료로 활용하여, 사회 형태의 결정, 사회적 이질성, 사회적 균형, 엘리트 순환, 사회 운동, 사회체계와 구조, 선동적(군사적) 금권정치에 대하여 총합적 설명을 할 수 있는 사회 행위 이론의 기초를 마련한다. 그를 고전(현대) 사회학의 창건자로 자리잡게 할 수 있다. 정치사회적 미로에서 우리가 경험-과학적 지식을 찾으려고 하는 한, 파레토의 행위 이론과 『일반사회학』은 사회 과학의 안내자 역할을 여전히 할 것이다. The paper deals with Pareto’s nonlogical action detailed in his opus magnum the 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 Thinkers before Pareto, such as Adam Smith, Kant, Rousseau, Aristoteles, Hegel and Bantham, tried to lead social scientists to the realm of objectiv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three wheel ― Sein, Sollen and Prediction ― wagon, but produced a creaking sound, as a result their views were incomplete. Howerver, Pareto clearly leads the way to the experimental-scientific world by one wheel - Sein - wagon. I argue that his theory of nonlogical actions coming from psychological factors, residues and derivations, has a great contribution to synthetically and lucidly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social structure, social system, social heterogeneity, social equilibrium, circulation of elite, demogogic(military) plutocracy, and social change, for more than a century.

      • KCI등재

        성공잠재력 기반으로 한 원격교육연수원의 콘텐츠 개발 전략

        전병호(Byeong Ho Jeon),이병희(Byoung-Hee Rhee),정종인(Jong-In Chu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3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의 요구사항과 시대적 요구를 적용하고, 운영기관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원격교육을 이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원격연수동기, 효과적인 콘텐츠 유형, 적정한 상호작용 비율,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방법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둘째, 성공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의 요구사항과 교수자의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성공잠재력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콘텐츠 개발 전략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교육콘텐츠 개발전략을 현장에 적용하여 12개 주요 개발 분야를 산출하였다. 12개 주요 개발 분야는 카테고리 A와 B로 나누어 카테고리 A는 성공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이고, 카테고리 B는 단점을 보완할 경우 성공잠재력이 높은 분야로 산출하였다. To develop the contents making profit, we propose the program operation methods that can apply the needs of students and the demand of the times, and consider the capacity of the operating agency overall. First, we suggest the distance training motivation, the effective content type, appropriate interaction ratio,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assessment methods. Second, we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y of educational contents, assess quantitative the demand of students and the will of teacher overall, measure the potential success. Third by applying the strategies in the educational field, we product the 12 major development field. These fields are divided into categories A and B, category A is the very high success field and category B is the high potential success field. By applying the proposed strategy, You will select the most suitable contents here and now.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시민윤리」 교과서의 문제성 분석

        이병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이 글은 고등학교 교과서 「시민윤리」 교과서의 문제성 분석을 위해 제2장 <시민사회의 윤리적 과제>만을 텍스트를 중심으로 비평하였다. 12쪽 분량의 2장에서, 그릇된 설명, 정확하지 못한 설명, 악의 없는 엉터리, 불완전하고 부정확한 기술이 꽤 발견되는 데 필자는 크게 실망하였다. 첫째, 잘못된 기술과 오기를 지적할 수 있다. 교과서 필자는 분야에 정확한 지식을 객관적 입장에서 통합하는 데 상당한 문제를 보이고 있다. 둘째, 주관적인 관점에 근거한 피상적인 교과서 저자의 기술을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짧고 쉬운 문장과 거리가 먼 불필요한 내용도 있다. 마지막으로 몇몇 용어가 마구잡이로 사용되고 있다. 단기적 관점에서 최선의 해결책은 교과서의 필자는 시민윤리 내용이 항상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견지에서 교과서의 잘못을 수정할 준비를 해야 한다. 더 정확한 「시민윤리」 교과서를 위하여, 교과서 필자의 책임성(accountability), 학생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시민윤리」 교과내용을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용으로 알맞음(teachability), 편견이 없고 공정한 전문적인 평가(evaluation), 학생과 선생에 대한 사회적 책임성(social responsibility)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을 부단히 적용하고 수정하고 개선해야만 한다. This article suggest that writing a textbook "Civics" for high school students should include following aspects to help them learn "Civics" efficiently with better textbooks 1) avoidance of bias, misrepresentation. 2) accurate explanation. 3) clear, easy and objective description. After reviewing only the second chapter of the textbook "Civics"(pp. 10-24) we can fi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ivics". In order to improve the content of "Civics", this paper focuses on its weaknesses and problems. The result is a little discouraging &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tome "Civics" is sometimes poorly written & grammatically incorrect. And also using some subjective & ambiguous terms. In order to publish better "Civics" for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We develop and improve criteria: Accountability, Professional Evaluation, Teach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Civics" writers must remember that for better Civics writing, objectivity, easy and understandable information synthesis are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