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r Pollution Expo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이병재,이규홍,김범석 한국독성학회 2014 Toxicological Research Vol.30 No.2

        Ambient air pollution (AAP) and particulate matters (PM) have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adverse health effects such as respiratory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adverse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short- and long-term exposure to AAP and outdoor PM on respiratory disease. However, the effect of PM size (PM2.5 and PM10) on cardiovascular disease has not been well studied. Thus, it remains unclear how the size of the inhalable particles (coarse, fine, or ultrafine) affects mortality and morbidity. Airborne PM concentrations are commonly used for ambient air quality management worldwide, owing to the known effects on cardiorespiratory health. In this article, we assess the relationship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s and PM, with a particular focus on PM size. We discuss the association of PM2.5 and PM10, nitrogen dioxide (NO2), and elemental carbon with mortality and morbidity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stroke, and altered blood pressure, based on epidemiological studies. In addition, we provide evidence that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AAP and PM are more pronounced among the elderly, children, and people with preexisting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conditions. Finally, we critically summarize the literature pertaining to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atherosclerosis and stroke, and introduce potential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the health significance of AAP and PM on cardiovascular disease.

      • KCI등재

        2016년 미국 대선에 나타난 소수인종의 투표결과 분석: 라티노의 경우

        이병재 한국사회역사학회 2018 담론 201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2016년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라티노의 클린턴 지지율이 실제로 2012년 오바마에 대한 지지율보다 낮았다는 주장을 검증하는 것이다. 출구조사결과와 실제 투표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 문제는 특히 소수인종의 경우에 더욱 두드러진다. 왜냐하면 소수인종의 경우 특정 지역에 밀집되어 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대표성을 가진 표본을 추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본상의 문제점 때문에 출구조사는 여러 주에서 결과를 잘못 예측하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카운티별 집적데이터와 비모수적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라티노 인구비율과 민주당의 대선후보 지지와의 관계를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주장과 달리 라티노 인구비율과 클린턴 지지의 관계는 선형적이지 않으며, 2012년의 오바마에 대한 라티노 지지와 2016년 클린턴에 대한 라티노 지지에는 강도의 차이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라티노의 민주당 지지와 투표율이 출구조사보다 높았다는 주장은 근거가 약하며, 이러한 주장은 라티노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적용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검증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roversial claim that Latino support for Clinton in the 2016 Presidential election was much lower than that for Obama in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There are many instances in which exit poll resul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actual results, expecially in the case of minority population. This discrepancy is primarily due to the fact the minority groups tend to live in concentrated areas (cities), and hence, they tend to be under-represented in survey samples. This problem was highlighted in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the results of the some states were even reversed later. This paper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for Democratic candidate and Latino population is not linear and that the claim that Latinos actually supported Democratic candidate more than the exit poll results are only partially correct. Using the county-level data from American Community Survey and election results, and non-parametric Generalized Additive Models (GAM), this paper shows that the support rate for Democratic presidential candidate tend to increase linearly in the areas with Latino population over 50%, which is not observed in the areas with low Latino population rates.

      • 한국언론을 통해 본 한미관계의 변천

        이병재 제주평화연구원 2021 JPI 정책포럼 Vol.2021 No.6

        2000년대 이후 한미 관계는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본 글에서는 국내 주요언론의 한미관계 관련 기사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1990년대 이후의 한미관계의 양상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보수와 진보 성향의 일간지에서 한미 관계 관련 기사를 추출하여, 변화시점 탐색기법, 키워드 빈도 분석, 중심어 네트워크 분석, 그리고 토픽모델을 사용하여 각 시기별 특성과 시계열적 변화를 추적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한미관계에 관한 기사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등장한 단어는 “북한”이었으며, 2010년대 이후 “중국”에 대한 언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북한에 대한 언급은 대부분 “미사일”과, “중국”에 대한 언급은 “사드”, “미사일”에 대한 언급과 관련되었다. 변화시점 포착기법을 사용하여 2000년대 이후 기사의 양적 측면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발견하였다.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의한 여중생 압사 사건, 2003년 이라크 파병 요청,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관련 촛불 시위, 한미 FTA 등을 둘러싼 뉴스량의 증가가 미국에 대한 언론의 관심도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2000년대 이후 정부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북한 관련 문제들이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한국 정부를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후의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의 경우는 “미국”, “한미관계”와 밀접하게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시계열적 토픽변화 분석을 통하여 2000년대 이후 한미관계에서 여전히 북한 혹은 안보에 관한 이슈가 가장 큰 관심사였으나, 관련된 뉴스에 추가해서 한미 간의 갈등 혹은 협력이라는 이슈의 비중도 커지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 KCI등재

        Sulfur Polymer Emulsion을 활용한 반강성 포장용 시멘트 주입재의 특성

        이병재,이준,현정환,김윤용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4

        the desulphurization process. To exploit this abundance, the applications of sulphur must be expanded. as excellent durability of reuse of leftover sulphur which has high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s, the study is actively in progress. Meanwhile,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semi-rigid pavements that draw on the strengths and overcome the weaknesses of asphalt and concrete pavements. Acrylate is used to prevent cracking but involves a high cost, thus, an alternative material is required. As such, this study presents methods on the reuse of leftover sulphur and examines the engineering performance of grout containing sulfur polymer emulsion (SPE) for use in semi-rigid pavements. Our analysis shows that grout in which 30% of acrylate is replaced with SPE has superior properties in terms of time of flow and strength compared to regular grout. However, performance declined when more than 50% of acrylate was replaced by SPE, indicating that the optimum replacement level is 30%. Through SEM analysis, we found that grout with utra harding cement in this study at three hours had similar hydration properties to that of Type 1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at seven days, and maintained the properties regardless of grout containing SPE. OPC and grout with a replacement level of 30% displayed similar levels of chloride invasion resistance, whereas grout without SPE was far less resistant. Within the scope of this paper, the optimum replacement level of acrylate with SPE was found to be 30%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roperties such as time of flow, strength, and chloride invasion resistance.

      • KCI등재

        자발적 균열치유작용 최적화를 위한 미생물군 분리 및 균열치유작용 검증

        이병재,유연준,이효섭,양주경,이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7 No.1

        In this study,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secure microbial resources applicable to autonomous crack healing concrete. To this end, inthis experiment, biomineral-forming microorganisms were separated from natural sources, and the ability of survival in cement and calcium carbonateprecipitation were compared to secure suitable microbial resources. Bacillus-type bacteria forming endospores were isolated from the sample, and theamount of calcium carbonate produced by the six microorganisms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was compared. Two types of microorganisms,Bacillus velezensis and Bacillus subtilis, with the highest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were selected, and the survival of the microorganisms wasconfirmed through phase contrast microscopy after being cured after being added to the mort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nomouscrack healing capability by the crack healing material produced by microorganisms was confirmed by artificially generating cracks in the mortar. 이 연구에서는 자발적 균열 치유 콘크리트에 적용할 수 있는 미생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실험에서는 생체광물 형성 미생물을 시료에서 분리하고 시멘트 내부 생존 및 탄산칼슘 석출량을 비교하여 적합한 미생물자원을 확보하였다. 시료에서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는 Bacillus 계열의 박테리아를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법으로 동정한 6종의 미생물이 생성하는 탄산칼슘 석출량을 비교하였다. 탄산칼슘 석출량이 가장 많은 Bacillus velezensis와 Bacillus subtilis의 2종의 미생물을 선별하였고, 모르타르에 첨가 후 양생하여 위상차 현미경 관찰을 통해 미생물의 생존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르타르에 인위적 균열을 발생시켜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균열치유물질에 의한 자발적 균열 치유 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Sulfur Polymer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내화학성 표면보호재의 성능 평가

        이병재,이의성,정우정,김윤용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5

        Structures requiring chemical resistance are usually coated with surface protecting agents, but the cost for maintenance andre-construction is incurred due to the low dur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sulfur was polymerized and the performance wasexamined so that it could be used as the concrete surface protecting agents for structures requiring chemical resistance.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for the spray of the sulfur polymer surface coating agents, the application of the gravitytype was appropriate; and for the number of coating times, about 3 cycle spray gave the best results. For the surface condition ofthe concrete to be coated with the surface protecting agents, outstanding quality was obtained above room temperature (20~30℃),and the bond strength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filler content of the surface protecting agents indicated that about 20~40% filler mixing contributed to the strength improvementas it reduced the shrinkage of the sulfur polymer. Also, the mixing of silica showed larger increase in the bond strength than themixing of fly ash, and the most outstanding bond strength characteristics could be obtained by the mixing of both silica and flyash. In the case of the chemical resistance, the strength reduction was minimized and outstanding chemical resistance was obtainedwhen the fly ash and silica were substituted by 20%,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hloride ion penetrationindicated that for the specimens coated with the sulfur polymer surface protecting agents, the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increased by 29~48% compared to the specimen without the coating of the surface protecting agent. The examination of thecoating condition of the surface protecting agents, compressive strength, bond strength, chemical resistance, and salt damageresistance indicated that in the range of this study, the optimal level was when the silica and fly ash were substituted by 20%,respectively, as the filler for the sulfur polymer. 본 연구에서는 유황을 폴리머화하여 내화학성능이 요구되는 구조물의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성능을 검토하였다. 평가 결과, 유황폴리머 표면도포재의 중력식 스프레이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포횟수는 왕복 3회 이상 도포했을 때 1MPa 이상의 부착강도 확보가 가능하였다. 표면보호재가 도포될 콘크리트 표면조건은 상온조건 (20~30℃) 이상에서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내었으며,온도가 높을수록 부착강도가 증가하였다. 표면보호재의 채움재 혼입량에 따른 강도특성 평가결과, 20~40% 정도 혼입된 채움재는 유황폴리머의 수축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강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또한, 플라이애시 보다는 규사 혼입시 부착강도가 높았고, 동시 혼입시가장 우수한 부착강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저항성은 플라이애시 및 규사를 각각 20% 대체한 배합에서 부착강도 저하가 최소로 되어우수한 내화학성을 나타내었다. 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표면보호재를 도포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하여 유황폴리머표면보호재를 도포한 경우, 29~48% 정도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이 증대되었다. 표면보호재의 도포조건, 압축강도, 부착강도, 화학저항성, 염해저항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범위에서는 유황폴리머에 채움재로서 규사와 플라이애시를 각각 20%씩 대체하는 것이 적절한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