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지명 표기 연구 - 규슈(九州) 지역 을 중심으로-

        이병운 우리말학회 1996 우리말연구 Vol.6 No.-

        지명은 특정 지역에 불여진 이름으로 그 지역을 중심으로 살아온 사람 들의 역사와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주민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반영된 지 명을 통해서 고대 일본과 한국의 교류에 대 한 잃어버린 고리를 우리는 찾 을 수 있을런지 모른다. 특히 일본의 규슈 지역은 고대 한국의 이주민들이 가장 먼저 정착한 지역이기 때문에 우리말의 잔재를 발견 할 수 있는 가 능성이 높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에서는 한정된 자료이기는 하나 일본 규슈 지명 을 중심으로, 지명 표기의 원리와 우리말 어원, 같은 표기의 다른 어형, 한 자음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沙背也峴 연원 연구

        이병운 한국지명학회 2016 지명학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etymology of Sabeyahyeon(沙背也峴).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st, ‘Sabaeyah-yeon(沙背也峴)’ was interpreted as 'North pass of Beomeo-sa,' 'Dawn pass,' and 'Yangsan(揷) pas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sume 'Saebaerye' because of the naming nature of the place name. Moreover, it is difficult to relate to 'Beomeo-sa' in geography. In addition, it is not a place related to 'mass production' in that the name of ‘Sabae, Saebae' is distributed nationwide. And 'Deokdam, Eong-gol, Seokweon, Dolteomi' which is near the 'Sabae Pass' can be reconstructed as 'high hill'. Second, Sabaeyah-yeon(沙背也峴) is read as 'Saebaerye' by i-du(吏讀)'s place name. Sabaeyah-yeon(沙背也峴) consists of ‘sa[沙]’ and ‘baeya'[背也]. ‘Sa[沙]’ is the meaning of the east, not the meaning of 'newness', 'between', and 'grass'. It is because the 'Sabaeya Pass' is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east of 'Geumjeong Mountain'. 'Baeya' is a term for 'hill, shore, cliff' and is equivalent to 'bire, birye, bero, byeolh'. Because it is named the pass is located at a geographically high place. 본 연구는 부산과 양산의 경계에 있는 ‘사배야현’, ‘사배현’, ‘사뱅이고개’, ‘사밧재’로 불리는 고개의 어원을 재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전에 ‘사배야현’은 ‘범어사의 북쪽 고개’, ‘새벽고개’, ‘삽(양산)의 고개’ 등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새배려’음은 지명의 명명 속성상 ‘새벽’으로 추정할 수 없으며, ‘범어사’의 ‘절[寺]’과 관련짓기에는 거리가 멀다. 또, ‘사배’ 혹은 ‘새배’라는 지명이 전국적으로 분포한다는 점에서 ‘양산’이라는 특정한 지명에 연유한 지명이 아니다. 둘째, 사배 고개 인근의 마을인 ‘덕담’, ‘엉골’, ‘석원’, ‘돌트미’ 등은 서로 관련된 지명이다. 사배 마을을 원래 지명인 ‘덕담’은 ‘언덕에 위치한 마을’, ‘엉골’은 ‘비탈의 마을’, ‘석원’은 ‘돌+벌’ 즉, ‘높은 마을’이며 ‘돌트미’는 ‘돌담’으로 석원의 고유어이다. 셋째, ‘사배야’는 이두식 지명으로 ‘새벼려’로 읽히는데, 이는 ‘새+배려’로 구성되어 있는 지명이다. 여기서 ‘새’는 고개의 위치가 금정산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동쪽’으로 해석된다. 배려’는 ‘언덕, 기슭, 벼랑’을 뜻하는 고유어 ‘비레, 비례, 벼로, 볋’을 의미하는데, 이 고개가 지형적으로 높은 곳에 가파르게 위치하기 때문에 명명된 것이다. 핵심어 : 양산 지명, 부산 지명, 사배야현(沙背也峴), 사배치(沙背峙), 석원(石原), 엉골, 덕담, 돌트미

      • KCI등재

        경남 방언의 억양 연구

        이병운 우리말학회 1997 우리말연구 Vol.7 No.-

        경북방언을 포함한 경상방언은 그 억양적 특징 때문에 서울말에 잘 동화 하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렇게 서울말에 잘 통화하지 못하는 경상방언 이 가지는 억양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경남방언과 중부방언과의 비 교를 통하여 그 일반적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대한국어 한자음과 현대중국음과의대응관계 연구

        이병운 민족어문학회 2018 어문논집 Vol.- No.84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Modern Korean-Chinese Sounds and Modern Chinese Sound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labial sound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common similarities between the sounds of two languages are below. 1) ① The similarities of vowels [i, a, u] between two languages are very high. ② The coda [p, l, k] in Korean–Chinese syllables is deleted in Chinese syllable. ③ The coda [m] in Korean–Chinese syllables is merged into [n] in Chinese Syllable. ④ The coda [n, ŋ] in Korean–Chinese syllables is maintained in Chinese syllables. 2) The onset [m] in Korean–Chinese syllables corresponds to [m] in Chinese syllables with 79% ratio. The onset [m] in Korean– Chinese syllables under specific condition is changed to zero onset in Chinese syllables. 3) The onset [p]([pə], [pu], [po]) in Korean–Chinese syllable corresponds at high rate to the onset [f] in Chinese syllables. The onset [p]([pɛ], [pan], [pu]) in Korean–Chinese syllables corresponds at high rate to the onset [ph] in Chinese syllables. The onset [p] in Korean–Chinese syllables in the other condition corresponds at high rate to the onset [p] in Chinese syllable. 4) The onset [ph] in Korean–Chinese syllables under specific conditions corresponds to the onset [f] in Chinese syllable. The onset [ph]([phjəŋ], [phɛŋ]) in Korean–Chinese syllables corresponds at high rate to the onset [ph] in Chinese syllables, the onset [ph]([phil], [phik], [phan], [phje]) in Korean-Chinese syllables corresponds at high rate to the onset [p] in Chinese syllables. 이 연구의 목적은 순음에 한정하여 현대한국어 한자음과 현대중국음과의 대응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1) 음절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적인 대응규칙은 다음과 같다. ①한국어 한자음 음절에서 [i, a, u] 중성은 중국어 음절에서도 같을 확률이매우 높다. ②한국어 한자음 음절에서 [p, l, k] 종성은 중국어 음절에서 탈락한다. ③한국어 한자음 음절에서 [m] 종성은 중국어에서 [n] 종성으로 합류한다. ④한국어 한자음 음절에서 [n, ŋ] 종성은 중국어 음절에서 같이 유지된다. 2) 한국어 한자음 음절의 [m] 초성은 중국어 음절에서 79%의 비율로 [m] 초성으로 대응하고, 한국어 [m] 초성은 특정한 조건에서 중국어 음절에서 무초성(zero onset)으로 대응한다. 3) [pə]계, [pu]계, [po]계에서의 한국어 음절의 [p] 초성은 중국어 음절에서 [f] 초성으로 대응하는 비율이 높고, [pɛ], [pan], [puŋ]에서의 한국어 음절의 [p] 초성은중국어 음절에서 [ph] 초성으로 대응하는 비율이 높으며, 나머지 조건에서의 한국어 음절의 [p] 초성은 중국어 음절에서 [p] 초성으로 대응하는 비율이 높다. 4) 한국어 음절의 [ph] 초성은 특정한 조건에서 중국어 음절에서 [f] 초성으로 대응되고, 한국어 음절 [phjəŋ], [phɛŋ] 등에서는 중국어 음절에서 [ph] 초성으로 대응하는 비율이 높고, 한국어 음절 [phil], [phik], [phan], [phje] 등에서는 중국어 음절에서 [p] 초성으로 대응하는 비율이 높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