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외 유아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이범묵,전선혜,김남원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8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early-childhood of domestic and overseas to use it as a basic research data in the development of new guidelin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of 8 countries including WHO and Korea, most of the guidelines are based on the age, frequency/week, time/day, types of physical activity, and intensity. Some of them suggest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time. ‘Guideline’ or ‘Recommendation’ is used as a name, and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is presented daily in all guidelines. The time varies among countries from 60 minutes to 180 minutes, and the limitation of screen time varies from 120 minutes in Korea to 60 minutes or less in other countries. A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riteria presented in the guidelines are not standardized,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early-childhood in Korea i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sufficient research on Korean children. 본 연구는 국내⋅외 유아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조사를 바탕으로 항목과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가이드라인 및 지침 개발 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WHO와 한국을 포함한 8개국의 유아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은 대상연령, 빈도/주, 시간/일, 신체활동 종류, 강도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고, 좌식 시간(Screen time)제한/일을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명칭은 Guideline 또는 Recommendation을 사용하고 있으며, 신체활동 빈도는 매일 하는 것으로 모든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다. 시간은 60분 이상에서 최대 180분 이상까지 각 나라별로 상이하게 제시되어 있고, 좌식시간(screen time) 제한 시간은 국내에서는 120분, 국외에서는 60분 이하 또는 최소화로 제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이 통일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국내에서는 한국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충분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아케이드형 전통시장 내 부유미생물 실태 조사

        이범묵(Lee, Pum-Mook),정명규(Jung, Myeong-Gyu),박장현(Park, Jang-Hyun),송찬근(Song, Chan-Geu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아케이드형 전통시장의 대기 공기질을 조사하여 부유미생물의 농도를 분석하고, 종류를 검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지역 소재 J시장으로 150m 거리의 십자가 형태의 구조이며, 분기별인 1월, 4월, 7월, 10월에 각 2회씩, 총 8회 시장 내 부유세균, 부유곰팡이, 온도, 습도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부유세균과 부유곰팡이의 농도는 입구와 교차로 모두 10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4월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내 권장 기준치 이하로 나타난 시기는 4월(3, 4차)과 1월(2차)이고, 1월(1차), 7월(1, 2차), 10월(1, 2차)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름과 가을에 부유미생물 농도가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다. 상대습도 55% 이상일 경우 대부분의 부유미생물 농도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구와 교차로 지점의 부유미생물 농도 분석 결과 TNTC가 나타난 8차시를 제외 한 모든 지점에서 교차로 지점이 입구 지점보다 높았다. 시장 입구와 교차로 지점에서 검출된 부유미생물은 총 47종이었고, 부유세균은 26종, 부유곰팡이는 21종이었다. 16회 측정 중 8회 이상 나타난 부유세균과 곰팡이는 각 4종이었으며 부유세균과 곰팡이 모두 3종은 병원성을 나타냈고, 1종은 비병원성으로 나타났다. 아케이드형 전통시장 내 부유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내실자의 건강을 위해 대기 정화시스템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본 연구결과는 전통시장의 위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ir quality of an arcade-type traditional market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and to detect the type of bioaerosol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t an arcade-type traditional market twice each quarterly in January, April, July, and October, for a total of 8 times.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highest in October at the entrance and at the intersection, and the lowest in April. The periods that showed below the indoor recommended standard were January(2nd) and April(3rd, 4th). It was found that January(1st), July(1st, 2nd) and October(1st, 2nd) exceeded the recommended standard, so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ntration of bioaerosols was high in summer and autumn. When the relative humidity ratio was above 55%, in most cases the concentration of bioaerosols were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centration of bioaerosols at the entrance and intersection points, the intersection point was higher than the entrance point at all times except for the 8th time when TNTC was revealed. 26 types of airborne bacterias and 21 types of airborne fungis were detected. And 4 types of airborne bacterias and fungis appeared more than 8 times out of 16 measurem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ioaerosols in the arcade-type traditional market, it seems that the introduction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is necessary for the health of the insider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hygiene management in the traditional market.

      • KCI등재

        좌우균형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신체균형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범묵(Lee Pum Mook),전선혜(Jun Sun Hy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좌우균형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균형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와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오른손잡이 유아를 대상으로 평균대 걷기와 외발서기,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를 통해 좌우균형 유아체육 프로그램에 참여 한 실험집단 9명과 일반유아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 9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평균대 걷기, 외발서기 좌·우 모두 실험집단에서 평균값은 증가하였지만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창의성의 집단 간 차이는 신체영역에서 나타났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는 3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창의성 요인 4부분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균형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평균대 걷기와 유창성, 독창성, 종합부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외발서기 왼쪽 집단도 유창성, 독창성, 신체영역, 종합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좌우균형 유아체육 프로그램은 신체균형 향상에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체육 프로그램보다 창의성 증진에 더 큰 효과를 나타냈으므로, 발달과정에 적합한 유아체육프로그램 구성을 위해서는 신체 좌우균형을 고려할 수 있는 요소가 포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ft-right balanced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LRBP) on right handed children’s body balance and creativity,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gram an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LRBP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general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low beam walking, single leg stance and creativity 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lues of low beam walking and single leg stance were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Second, differences of creativity between the groups appeared in the body area, only 3 are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4 creativity factor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balance and creativi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w beam walking, fluency, originality, and synthesis. Also, one leg stand(left)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luency, originality, body area and synthesis. In conclusion, LRB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body balance and showed a greater effect on the creativity enhancement than the general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elements that can consider the left-right body balance in order to organize mak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 appropriate for developmental process.

      • KCI등재

        유소년 축구리그(i-리그)의 융합적 발전방향 모색

        전선혜,이범묵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소년 축구리그(i-리그)가 마주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 중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8명이고, 연구 결과는 다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i-리그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홍보와 지역 내 리그 진행이 부각되었고, 그 해결방안으로 대한체육회 또 는 대한축구협회의 일원화 시스템과 권역별 운영이 제시되었다. 둘째, 유소년 클럽리그와 i-리그의 통합으로 인한 이슈 는 팀별 수준차이와 승패 동기여부로 나타났고, 해결방안으로 승강제 운영이 제시되었으며 동기부여를 위해서는 유소년 의 중요한 덕목을 이끌어낼 수 있는 페어플레이상, 봉사상 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리그가 나아갈 방향으 로 설명회나 공청회를 통해 궁극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대한체육회와 대한축구협회는 융합 및 화합을 통해 시설확보, 지도자 및 관계자 교육, 선수 등록과 같은 제반 환경과 행정적인 부분에 대한 추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facing the youth soccer league(i-league) and present their development directions. The study method used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promotion and regional league operation were highlighted as problems of i-League and the solution was the unification system of the Korean Olympic Committee(KOC) and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KFA), and the operation of each region by itself. Second, issues resulting from the integration of youth club league and i-league were revealed as level differences by teams and leak of the motivation for winn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system was proposed as a solution, and such as fare play team award, voluntary activity team award will derive important virtues for youth. Third, KOC and KFA need additional support for various environments and administrative areas such as facility security, training for leaders and officials, and registration of players.

      • KCI등재후보

        Plastic house의 형태, 재배양식 및 시설내 위치에 따른 기상환경의 차이가 암면재배 오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임준택(June Tag Lim),임정(Jung Mook Lim),권병선(Byung Sun Kwon),신동영(Dong Young Shin),현규환(Kyu Hwan Hyun),김학진(Hak Jin Kim),정순주(Soon Ju Chung),이범선(Beom Seon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2

        재배시기, 시설형태 그리고 시설내 계배위치에 따른 가상환경의 차이와 이에 따른 양액계배 오이의 생장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름재배와 억제재배, 1-2W형 하우스와 무기둥 하우스에 양액계배를 통해 오이를 패배한 후 시설내 부위별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과 생장해석을 통해 얻어진 생리적 형질들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우스 내부의 평균기온이나 평균상대습도는 하우스 형태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사량은 1-2W형 하우스가 무기둥 하우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일누적일사량은 1-2W형에서는 남서쪽이 무기둥 하우스에서는 북서쪽이 대체로 높았다. 초장과 엽수는 억제재배보다 여름재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엽면적은 억제재배에서 많았다. 상대생장율은 순동화율 및 엽면적비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대생장율에 대한 기여도는 순동화율이 엽면적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생장율은 엽면적지수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엽면적지수의 증대가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증대에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생육기간의 일평균기온는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억제재배에서는 전 생육기간의 누적일사량과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matic factors varied due to the type of plastic house, cultural season and location in the house on the growth of cucumber plants grown by nutrient solution. There were two growing periods, summer culture and retarding culture, two types of plastic houses, 1-2W type house and post-less house.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mount of solar radiation in the plastic houses were measured. Also, dry weight of leaves and stems,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per plant, leaf area per plant and fresh weight of fruits per plant were observed. Plant growth analysis were conducted and interrelationships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ype of plastic houses in the average air temperature and average relative humidity in the plastic house, but amount of solar radiation in 1-2W type hou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ostless house. Daily cumulative solar radiation were highest in southwest side of 1-2W type house and northwest side of postless house.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per plant were higher in summer culture than retarding culture, while leaf area per plant was higher in retarding culture than summer culture. Relative growth rate (RGR) showed high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net assimilation rate (WAR) and leaf area ratio (LAR). Contribution of NAR to RGR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LAR. Crop growth rate (CGR) showed high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f area index (LAI). It appeared that increase of LAI was important to increase productivity of cucumber. Average daily air temperature for the whole growing period showed high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RGR and NAR. Furthermore,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the whole growing period in retarded cultu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GR and NAR.

      • KCI등재후보

        주요 오이품종들의 억제작형 양액재배 수량성 비교

        임준택(June Taeg Lim),임정(Jung Mook Lim),권병선(Byung Sun Kwon),신동영(Dong Yeong Shin),현규환(Kyu Hwan Hyun),김학진(Hak Jin Kim),정순주(Soon Ju Chung),이범선(Beom Seon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여러 오이 품종들의 억제작형에서의 생장과 수량을 조사하여 이 작형에서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엽수에 있어서 청장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흑진주계 오이에서 가장 적어 영양생장으로는 청장계 오이가 가장 좋았다. 암꽃수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적었다. 암꽃비율에서도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았다. 퇴화 암꽃비율에서는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는 0%로 거의 퇴화를 보이지 않았다. 측지제거처리와 측지무제거 처리간 수량은 유이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아 억제작형재배에서 가장 적합한 품종은 흑진주계 오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proper varieties of cucumber by comparing growth and yield in retarding cultivation under hydroponic culture. Number of leaves appeared to be the highest Chungjangoi and the lowest in Heukjinjuoi. Heukjinjuoi showed higher vegetative growth rate. Heukjinjuoi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female flowers while Chungjangoi the lowest. The ratio of female flower was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in Chungjangoi. Abortion of female flower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with 0% in Chungjango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between treatments of removal and not-removal of lateral buds.

      • KCI등재후보

        Plastic house의 형태 및 재배시기의 차이에 따른 오이 품종들의 생식형질 및 수량반응

        임준택(June Taeg Lim),임정(Jung Mook Lim),권병선(Byung Sun Kwon),신동영(Dong Young Shin),현규환(Kyu Hwan Hyun),김학진(Hak Jin Kim),정순주(Soon Ju Chung),이범선(Beom Seon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2종류의 하우스, 즉 1-2W 형 하우스와 무기둥하우스에, 시설억제재배, 촉성계배, 반측성재배 그리고 여름재배의 4 재배시기에 8개의 오이 품종을 재식하여, 재배시기에 따른 품종들의 암수꽃의 발생, 개체 당 과실수에 따른 퇴화 과실수, 그리고 수량을 조사 비교하여 각 작형에 알맞은 품종들을 추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설억제재배에서는 낙합계나 흑진주계 또는 입추백다다기오이가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고, 촉성재배에서는 겨우살이청장오이, 입추백다다기오이 그리고 가을낙합오이가 추천된다. 반측성재배에서는 청장계 오이나 낙합계 오이가 비교적 양호한 수량을 보였으며 여름재배에서는 남부청장오이나 가을낙합오이가 양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roper varieties of cucumber at four different cultural seasons. Eight varieties of cucumber from four varietal groups were grown in two types of plastic house, 1-2W type and postless type, at four different cultural seasons, retarding culture, forcing culture, semi-forcing culture and summer culture. Number of female flowers, male flowers, aborted female flowers, leaves and fruits per plant and fresh weight of fruits per plant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listed as follows. Varietal group of Nakhap or Hukjinjoo and ibchubakdadakioi showed better growth and higher yield at retarding culture. Kyeusalichungjangoi, ibchubdadakioi and Gaulnakhapoi could be recommended as proper varieties at forcing culture. Varietal group of Chungjang or Nakhap showed relatively higher yield at semi-forcing culture. Naboochungjangoi and Gaulnakhapoi were recommended as proper varieties at summe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