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s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various purposes during travel in selective transit spaces for physiological solutions. In this change of life, the spatial design change of the rest area of ​​the future will continue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ace program through research on the physical & value change of the space program in current rest area by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social change. (Method) First, a framework for research analysis is prepar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definition and role of rest areas and existing spatial program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through a survey of male and female rest stop users in their 20s and 70s. Third, based on the planes of the rest area spaces established at each time period from 1970 to 10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occupancy ratio of the area b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otal analysis space are analyzed. Fourth, we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t spatial awareness of the customer space and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time and interval through graphs for each result. Fifth,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proves the connection between changes in the rest area program and the lifestyle of the gues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past generation of main users as the 60s and 70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pace for business and relief from physiological needs. Otherwise,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perience space and service space for user toward the future generation of 20~30 generations was found to be greatly recognized. As to analysis results of spatial program changes in rest area, in the past, dining spaces, business spaces such as convenient shops, and space for relieving physiological needs were focused on, but the current rest area was gradually expanding to provide user service spaces such as relaxation experiences and spaces to resolve cultural experience needs.(Conclusions) Two results of graphing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age and the proportion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are similar formally, so this is the result that the change of the rest area program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lifestyle by age group. With upcoming the commercialization of future autonomous vehicl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 variety of new concept space programs by preemptively predicting the users lifestyle of rest area.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개념은 생리적 해결을 위한 선택적 경유 공간에서 여행 중 다양한 목적의 장소로서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 배경으로는 운영사의 경쟁에 의한 자체적 시설투자 뿐 아니라 이용객의 생활수준 향상에서 오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 등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삶의 변화 속에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디자인 변화는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재 휴게소의 물리적 변화와 공간프로그램은 어떠한 가치로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속도로 휴게소의 정의 및 역할, 기존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둘째, 20대부터 70대까지 남, 여의 휴게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대별 휴게소의 중요 인식공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셋째, 1970년부터 10년 단위로 각 시기에 개설된 휴게소 공간의 평면을 기반 하여 공간의 특성 및 전체 분석 공간 대비 특성별 면적의 점유비율을 분석한다. 넷째, 고객층의 중요 공간 인식도와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와의 관계성을 각 결과별 그래프를 통해 비교분석 한다. 다섯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와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과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과거의 주 이용객 세대인 60~70대로 갈수록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과 영업적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미래의 주 이용객 세대인20~30대로 갈수록 문화 체험적 공간과 이용자 서비스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 프로그램 변화의 분석 결과 과거 식사 공간, 매점 등의 영업 공간,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위주에서 현재의 휴게소 공간은 휴식 체험 등 이용자 서비스 공간, 문화 체험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 형태와 연령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중요 인식 공간의 비율 형태를 그래프 화하여 비교한 결과 두 그래프의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가 연령대별 대별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다가올 미래의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는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의 선제적 예측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개념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분석 경향에 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는 공간을 해석하는 범위와 방법의 확장성을 가져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각도의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념에 의한 형태론, 행태에 의한 현상론 등 정성적 해석에 의한 기존의 공간분석은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물리적 형태에 대한 사회학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공간구문론은 많은 연구들에 유의미하게 활용되어지고 있지만 단위공간의 관계성 외 공간의 의미와 현상에 대한 포괄적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다양한 방법론적 데이터들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활용 현황과 향후 개선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선행연구의 영역, 분야, 시간적 특성 등 연구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후 새로운 분석체계로 재검증하여 그에 대한 원인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통제변수, 매개변수, 독립변수, 종속변수로 분류하고 변수 영역별 공간분석 키워드(위계성 정립)를 도출하여 기호화한 변수영역별 기호체계(SSV: System of Symbol Variable)를 마련한다. 이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의 영역별 특성과 경향을 통시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로 분석하였다. 키워드로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여 RISS, 국회도서관을 통해 검색된 371개의 학위 논문 중 제목, 목차, 요약의 내용에 키워드가 직접 언급된 68개의 국내 박사학위 논문을 연구의 대상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전체 대상의 발표 시기를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결과)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구는 공간의 시대적 변화와 특정 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전기와 후기로 분류한 결과 연구의 경향 및 특성에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SSV로 분석한 결과 전기에는 공간구문론만을 활용하여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경향과 특정 대상의 공간을 분석하는 연구경향이 균등한 비율로 나타난 반면 후기에는 타 이론과 병합되어 특정 대상의 공간만을 분석하는 경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기의 연구는 공간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기의 연구는 공간과 인식, 행태, 현상 등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었다. 이는 일반적 경향 분석에 대한 원인적 근거이며 공간 구문론의 한계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결론)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공간분석방법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나 현대에는 가시영역이론, VAE, ERAM, 등 다양한 이론들과의 병합으로 공간 구문론의 단점을 보완한 공간분석의 방법론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복합공간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전된 연구모형의 변화와 요인의 다양성, 변수간의 종속성에 의한 다중적 회귀 분석으로 좀 더 신뢰도의 발전을 가져와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변수영역별 기호체계를 통한 분석으로 선행연구의 경향을 객관적 수치로 검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the spatial recognition have led to the scalability of the scope and method of interpreting space. Existing spatial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morphology by concept and phenomenology by behavior, provides the first step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ological relations to physical forms with the emergence of space syntax. Space syntax theory has been significantly used in many studies, bu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phenomenon of space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nalysis of methodological data of space syntax theory. (Method) After analyzing the general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and its re-validation using a new analysis system, the causes and reasons for it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ontent, the space analysis keyword was derived to prepare the system of symbol (SSV: System of Symbol Variable). Previous research has analyzed the diachronic trend in quantitative terms by using SSV. When space syntax theory was used as a keyword, a total of 68 domestic doctoral dissertations among 371 theses searched via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set as the target scope of the study. (Results) The study using space syntax theory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of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pac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m into those belonging to the former and latter perio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As to the SSV analysis results, in the former perio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an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were found in equal proportions using only space syntax theory. However, in the latter period, the tendency to analyze only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ories was predominant. In addition, former studies focused only on the space itself, while the studies from the later period mainly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ce and perception, behavior, and phenomena. (Conclusions) After the appearance of space syntax theory, the methodological domain of space analysis in modern times has been expanded to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space syntax theory by merging it with various theories such as visual domain theory, VAE, and ERAM. To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complex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should be improv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hanges in the research model, diversity of factors, and interdependency among the variabl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was verified by objective figures through analysis using the preference system for each group of variables.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이범동,이종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고속도로 휴게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지만,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과거와 현재의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간변화에 대한 분석방법으로 형태, 면적, 공간프로그램 등의 분석을 통한 계획학적 접근법과 공간인식, 라이프스타일 등 사회, 문화적 요인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한 주관적 접근법 사용된다. 주관적 접근법은 개인의 공간인식 경향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기에 변화의 객관적 근거로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단위공간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여 대상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특성을 정량적 수치로 나타내는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적 변화와 요인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공간인식 변화에 따른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특성별 재 분류 및 공간프로그램의 형태적 변화를 분석한다. 둘째, 공간구문론 분석을 진행하여 공간의 관계성 변화에 대한 정량적 수치를 도출한다. 셋째, 공간의 형태와 관계성 변화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변화의 형태와 요인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한다. 연구의 범위는 초창기 1973년에 개설된 진영휴게소와 중반기 2004년에 개설된 문경휴게소(마산방향), 최근 2018년도에 재건축된 문경휴게소(양평방향)의 내부공간을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의 결과 필요공간은 초창기의 진영휴게소가 위상학적 중심성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충분공간의 경우 최근의 문경휴게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상학적 중심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계획학적 분석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며, 초창기 공간계획이 주변 공간으로의 다양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단순하게 형성된 반면 최근의 공간계획은 다양한 공간의 형성과 함께 깊고, 복잡화 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의의) 최근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의 변화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함과 동시에 효율적이면서도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여기는 현대인의 공간인식 변화를 반영한 결과임을 계획학적 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변화와 요인을 정량적 수치의 변화를 통해 객관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ighway rest areas, but research on spatial changes in highway rest areas is insufficient. It is used as a subjective approach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planning approach, space perception, and lifestyle by analyzing form, area, space program, etc. as an analysis method for space change. The subjective approach has limitations in presenting as an objective basis because it can be derived with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individual's space recogn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present spatial changes and factors of highway rest areas though the analysis of space syntax which shows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ace as quantitative figures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unit space. (Method) First, it analyzes the classification of spaces in highway rest areas according to changes in space perception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space programs. Second, it derives quantitative figures for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space syntax. Finally, it present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shape and factor of the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pe of the space and the relational change. The scope of the study was to set the interior space of the Jinyoung Rest Area which opened in early 1973, the Munkyeong Rest Area (masan-direction) which opened in the middle of 2004, and the Mungyeong Rest Area (yangpyeong-direction) which was reconstructed in 2018.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quired space was found to have strong topological centrality in the early Jinyoung Rest Area, whereas in the case of sufficient space, it was found that the recent Mungyeong Rest Area showed relatively high topological centrality. This is the same result as that of the planned analysis, and the recent space plan in highway rest area was found to be profound and complicated with the formation of various spaces while the initial space plan was simply formed based on various connections to the surrounding space.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syntax theory along with the plann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cent changes in the space of highway rest areas is a result of reflecting changes in space recognition of modern people who reflect various needs of users according to lifestyle changes and at the same time is effective and important for personal privacy. These results can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pace changes in future highway rest are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space changes and factors of highway rest areas were objectively presented through the quantitative numerical changes.

      • KCI등재

        고속도로휴게소 화장실 확장에 따른 감성적용 디자인 개발

        이범동 ( Boumdong Lee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6,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achieved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ld lavatory through “The Innovative Lavatory Improvement Project.” Following a self-survey that revealed travelers` desire to make use to the digital features of the space based on the idea of sharing experience and making memories especially,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pace`s narrow physical footprint still remains as an unsatisfactory part after the improvement. In addition, there is an opinion that fundamental innovation i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commercializ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that will bring the needed change to existing rest area behavior. Therefore, the lavatory in the future needs to undergo expansion of the physical space outside the fixed structure and the area, an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concept of the highway rest area (HRA) from being just a toilet area to a full-featured lavatory that can satisfy various human emotional des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lavatories in HRAs of Korea, and as a futuristic value, to propose a new lavatory design applying emotional-centered adaptations. (Method) First, based on various predictions of the HRA du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possibility of the lavatory`s shape change in the future HRA was explored several years ago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the current calculation standard of estimated area of lavatory and actual application was analyzed with four HRAs that have been remodeled since 2016, including the Man-Nam Square HRA. Lastly, the space of the lavatory was divided into five areas―working, waiting, moving, rest, experience―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plied areas was examined after the application ratio in functional space and emotional space was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arrow space,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he calculation standard in the old past area, represents a common phenomenon, and that despite the number of facilities with technical advances, and the application rate of emotional spaces was still low. However, the larger the area of applied space compared to the standard space, the higher proportion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space proportio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ept of a new lavatory design in HRAs was put forth with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expansion of emotional Space.” The proposed lavatory design is for the Chilgok Rest Area in the Gyeongbu HRA, which is scheduled for completion at the end of this year. (Conclusions) Future lavatory for HRAs is necessary to meet the spatial change requirements of the futuristic car and driving behavior. Also, the lavatory space should be recognized as a space of emotional recharging as well as technological recharging, through the technique of “emptying and filling emotion” beyond “physical relief.” The design proposal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hange the lavatory in HRA into a special space that can be helpful to modern people for charging their emotions and also to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the design of lavatories in HRAs for the future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