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 논문의 질적 수준에서 측정한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의 SCI 성과 분석

        이방래,임종연,이우주,원동규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In Korea, there is a high demand for the operation of differentiated programs in basic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search competence, the higher the quality of research outputs. The results also tell us that the quality level of the research output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eld of study.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 method to differentiate the selection rate of each discipline in the system that operates the individual basic research projects by the level of research capacity. 우리나라 개인 기초연구사업은 연구역량단계별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학문분야별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운영이나 학문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비 배분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기존 수월성 위주의 기초연구지원사업 틀로는 다양성과 창의성을 골자로 하는 연구자주도형 기초연구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연구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투자시스템 전환에 관한 논의의 시발점을 제공하기 위해, 논문의 질적 성과지표를 활용하여 연구역량단계별, 학문분야별 연구 성과를 분석한 후 기존 기초연구사업의 운영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개인 기초연구사업의 경우 연구역량단계가 높을수록 연구의 질적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학문분야별로 연구 성과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연구역량단계별로 운영하는 개인 기초연구사업의 운영체제에 취약기초과학을 선배정후 학문분야별 선정률에 차이를 두는 방안을 제안한다.

      • 서지데이터 분석 툴에 대한 특성 및 편의성 비교분석

        이방래(Lee bang-rae),이준영(Lee June Young),여운동(Yeo Woon-dong),이창환(Lee Chang-Hoan),문영호(Moon Young-Ho),권오진(Kwon Oh-jin)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1

        최근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계량서지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독립형 데이터 분석 시스템 Knowledge Matrix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 수준을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분석툴인 VantagePoint와 BibTechMon과 비교분석 하였다. 기능 비교는 데이터, 행렬, 분석, 시각화, 데이터 전처리 부문에서 수행 하였다. 분석결과 각 분석툴의 특장점이 서로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KnowledgeMatrix가 좀 더 우수한 기능을 보였다. Recently KISTI has developed the KnowlegeMatrix which is a stand-alone type bibliographic data analysis software. In this paper, we try to benchmark test on the performance level of KnowledgeMatrix with well-known S/Ws such as VantagePoint and BibTechMon. We compare distinctive functions and usability of each S/Ws on comparative categories including Data, Matrix, Analysis, Visualization and Preprocessing. Test results show that all S/Ws have differentiated specific feature, but there is some performance gaps. KnowledgeMatrix overally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s.

      • 계량정보분석시스템 KnowledgeMatrix 개발

        이방래(Lee Bangrae),여운동(Yeo Woon Dong),이준영(Lee June Young),이창환(Lee Chang-Hoan),권오진(Kwon Oh-Jin),문영호(Moon Yeong-ho)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기획자, 정책의사결정자들이 활용하는 움직임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분야 중 대표적인 것이 계량정보학이고 이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서 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분석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의 분석시스템은 실제 수요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고가이면서 한글이 지원되지 않아 국내 연구 기획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과 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계량정보분석시스템 KnowledgeMatrix를 개발하였다. KnowledgeMatrix는 논문 및 특허의 서지정보를 분석하여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독립형(stand-alone) 시스템이다. KnowledgeMatrix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행렬 생성, 클러스터링, 시각화, 데이터 전처리로 요약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KnowledgeMatrix는 외국의 대표적인 정보분석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특히 영문 데이터 처리 이외에 한글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Application areas of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 (KDD) have been expanded into many R&D management processes including technology trends analysis, forecasting and evaluation etc. Established research field such as informetrics (or scientometrics) has recently fully utilized techniques or methods of KDD. Various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works of analyzing large-scale R&D related databases such as patent DB or bibliographic DB by a few researchers or institutions. But extant systems have some problems for korean users to use. Their prices is not cheap, korean language process not available, and user's demands not reflected.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developed stand-alone typ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named as KnowledgeMatrix. KnowledgeMatrix system offer various functions to analyze retrieved data set from databases. Knowledge Matrix main operation unit is composed of user-defined lists and matrix generation, cluster analysis, visualization, data pre-processing. KnowledgeMatrix show better performances and offer more various functions than extant systems.

      • KCI등재

        계량정보분석시스템으로서의 KnowledgeMatrix 개발

        이방래(Bangrae Lee),여운동(Woon-Dong Yeo),이준영(June-Young Lee),이창환(Chang-Hoan Lee),권오진(Oh-Jin Kwon),문영호(Yeong-Ho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식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기획자, 정책의사결정자들이 활용하는 움직임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분야 중 대표적인 것이 계량정보학이고 이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서 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분석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의 분석시스템은 실제 수요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고가이면서 한글이 지원되지 않아 국내 연구기획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계량정보분석시스템 KnowledgeMatrix를 개발하였다. KnowledgeMatrix는 논문 및 특허의 서지정보를 분석하여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독립형(stand-alone) 시스템이다. KnowledgeMatrix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행렬 생성, 클러스터링, 시각화, 데이터 전처리로 요약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KnowledgeMatrix는 외국의 대표적인 정보분석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특히 영문데이터 처리 이외에 한글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Application areas of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KDD) have been expanded to many R&D management processes including technology trends analysis, forecasting and evaluation etc. Established research field such as informetrics (or scientometrics) has utilized techniques or methods of KDD. Various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works of analyzing large-scale R&D related databases such as patent DB or bibliographic DB by a few researchers or institutions. But extant systems have some problems for korean users to use. Their prices is not moderate, korean language processing is impossible, and user's demands not reflected.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developed stand-alone typ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named as KnowledgeMatrix. KnowledgeMatrix system offer various functions to analyze retrieved data set from databases. KnowledgeMatrix's main operation unit is composed of user-defined lists and matrix generation, cluster analysis, visualization, data pre-processing. Matrix generation unit help extract information items which will be analyzed, and calculate occurrence, co-occurrence, proximity of the items. Cluster analysis unit enable matrix data to be clustered by hierarchical or non-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s and present tree-type structure of clustered data. Visualization unit offer various methods such as chart, FDP, strategic diagram and PFNet. Data pre-processing unit consists of data import editor, string editor, thesaurus editor, grouping method, field-refining methods and sub-dataset generation methods. KnowledgeMatrix show better performances and offer more various functions than extant systems.

      • KCI등재

        과학기술 지식맵의 형태적 분류와 정보분석 관점의 지식맵 사례 도출

        이방래(Bangrae Lee),이준영(June Young Lee),김도현(Dohyun Kim),노경란(Kyung Ran Noh),양명석(Myung Seok Yang),권오진(Oh-Jin Kwon),최광남(Kwang-Nam Choi),김한준(Han-J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식맵을 형태적으로 분류하고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지식맵의 유형을 제시함과 동시에 정보분석 관점에서 활용할 만 한 가치가 있는 과학기술 지식맵 모델을 도출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지식맵의 정의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의 정의와 범위를 다시 정리하였다. 또한 육하원칙을 정보속성으로 취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요 과학기술 지식맵을 그 형태에 따라서 단순 도표, 트렌드 지식맵, 분포도 지식맵, 네트워크 지식맵으로 분류하였다. 네 가지 과학기술 지식맵 유형에 따라 주요 지식맵의 세부 모델을 정리하고 추가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지식맵 모델의 유형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분석 관점에서 유용한 13가지 지식맵 모델 사례를 도출하고 각 세부 모델에 대한 지식맵의 유형, 정보 항목, 모델의 설명 및 활용 목적 등을 제시하였다. Knowledge maps for science and technology are used extensively in the research projects. However, they are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and are not necessarily suitable to be used in the research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rganize the knowledge maps in order to support scientific research projects. To this end, the existing knowledge maps for science and technology are classified as one of four types based on data representation methods; the frequency summary map, trend summary map, distribution-based knowledge map and network-based knowledge map. Additionally, by summarizing and classifying the knowledge maps through the principle of five ws and one h, the unexplored area are investigated. Finally, some examples of useful knowledge maps in terms of data analysis are provided with details such as definitions, components and utilization purposes. These findings may be a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 into a better understanding of knowledge maps for science and technology.

      • 4차 산업혁명 관련 글로벌 주요국 동향에 대한 실증 연구 - 미국, 독일, 일본, 중국의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정용일,이방래,이태석,김한국,이선희 한국미래행정학회 2017 한국미래행정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4차 산업혁명 관련 논의나 정보자료에 대한 접근성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었지 만 글로벌 차원에서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의 주요 국가들에서 실제 현상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지에 대한 데이터 기반의 실증분석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4차 산업혁명 관련 글로벌 동향을 조사한 국가별 보고서 및 관련 자료 중 중점기술 및 핵 심 분야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관련 전문가가 선별하여 가공, 정제 및 구조화하였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경제 키워드 분석 결과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기술혁신이 ‘4차 산업혁명’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해당 기술이 실제 산업에 접목되어 국 가별 고유한 경제‧산업 환경 및 특성 반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차 산업혁명 관 련 현상과 논의를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국가별 로 정도차이는 있지만 해당 개념을 인식하고 실제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4차 산 업혁명에 대한 실체 파악을 위해 주요국 관련 자료와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사 및 수 집하여 선별, 분류, 해석함으로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미래 신산업 창출에 필요한 전략 발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SCOPUS

        우리나라 과학기술성과의 지역기술 특성화 분석

        정용일,이방래,주시형,원동규,배영문,Jeong, Yong-Il,Lee, Bang-Rae,Joo, Si-Hyung,Won, Dong-Kyu,Bay, Young-Mo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7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8 No.1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성과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지역별로 얼마나, 어떻게 산출되는가를 살펴보고 지역별로 어떠한 특성을 갖는가를 분석하였다. 지역특성화 분석은 주요 과학기술성과인 논문과 특허정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서울, 부산, 인천, 울산, 대구, 광주, 대전 등 1개 특별시와6개 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의 주요 지역의 기술 분야별 논문과 특허의 게재 및 등록 순위, 게재 건수 및 등록 건수 분포를 계량정보학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기술성과가 지역 차원에서 몇 개의 소수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역 차원에서 기술의 성과가 과학의 성과보다 좀더 소수의 몇 개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becomes the nerves of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industry of our future in the regional level as well as i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In Korea,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local governments launched, and they are strategically fostering their specialized regional industries.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governments prepare and execute policies to foster specialized regional industries. Though there are many kinds of methods to analyze the outcom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region, in this paper, we measure the outcom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region by applying an informetric analysis on the SCIE papers and USPA patents. To seek for the regional speciality, we analyze the total national outcomes and the regional outcomes of S&T activities in Korea.

      • KCI등재

        R&D Transitions in Response to Digital Transformation in Korea

        임종연,이방래,원동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10 No.-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measures are being devised to overcome Korea’s low-growth, high-cost structure. Accordingly, by examining the R&D investmentevaluation system of R&D PIE (R&D Platform for Investment and Evaluation), which has been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D transform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newpath for a sustainabl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follow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particular, from theperspective of R&D PIE, a MLP (Multi-level Perspective), which had been conducted as an abstract theoretical study, was attemptedwith specific cases and analysis for each of the three layers: niche, landscape, and regime. In conclusion, R&D PIE was intendedto elevate the abstract R&D investment evaluation system to a platform that leads innovation in the digital space of the Fourth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D PIE could be replaced or enhanced as a platform for innovation in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by providing an alternative to job creation and an escape from economic crisis.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현황 분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정용일,이방래,이태석,김한국,이선희 한국정책학회 2018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제4차 산업혁명으로 기술차별성 약화, 첨단 제품보다 고객가치 지향, 대량생산에서 주문연계형 맞춤생산으로 급변 등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산업 트렌드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과학기술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핵심 중점기술을 발굴하고 혁신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제4차 산업혁명 관련 논의나 정보자료에 대한 접근성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을 대상으로 실제 기술개발 결과나 연구사업 성과가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지에 대한 데이터 기반 실증분석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우리나라 제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현황 파악을 위해 과학기술분야의 대표 연구기관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 서비스(NTIS)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국가과학기술 발전에 필요한 전략 발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